• 제목/요약/키워드: Luminance contrast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9초

안개 영상에서의 가시성 향상 기법 (Method for increasing visibility in single image dehazing)

  • ;;김원하;김선국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
    • /
    • 2013
  • We proposed a method for increasing visibility of dehazed images by enhancing luminance component of dehazed image. For this purpose, we analyze shape of luminance histogram in multi bunches and observe that increasing visibility those bunches does not bear over contrast enhancement. From the analysis and observation, histogram equalization intends to increase visibility of each bunch with less computation.

  • PDF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을 이용한 영상 대비 향상 기법 (Image Contrast Enhancement Technique Using Clustering Algorithm)

  • 김남진;김용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10-315
    • /
    • 2004
  • 야간에 비디오카메라로 촬영시 열악한 주위 환경과 영상 전송에 기인하여 다양한 잡음에 의하여 왜곡되고 흐린 저대비 (low contrast)영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획득한 저대비 영상을 대비 향상시켜주는 기법을 제안한다. MPEG-2는 인간의 시각 특성상 색차(chrominance)신호보다 밝기(luminance)신호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밝기신호와 색차신호를 분리하여 압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밝기신호만을 추출하여, K-means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교차점을 자동으로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최적의 교차점을 선정하는 과정은 획득한 영상을 물체와 배경으로 분리하는 두 개의 클래스 문제로 보고 K-means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구한 교차점을 사용하여 영상을 양분하고 양분된 영상의 각각에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성 지수(index of fuzziness)를 사용하여 향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저대비 영상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확산필름 부착 위치에 따른 광선반 성능개선 연구 (Research o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Light Shelf Depending on the Diffusion Film Installation Position)

  • 박은수;이행우;송석재;김용성
    • KIEAE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91-97
    • /
    • 2017
  • Purpose: Various studies on a light shelf are in progress, but it has the problem of glare occurrence.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diffusion film as the method for resolving the glare problem, and aimed to establish light shelf-related basic data by conduct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 light shelf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ffusion film. Method: To carry out the light shelf performance evaluation depending on the diffusion film installation position, three cases were established: no diffusion film installation (Case 1), diffusion film installation on the reflector (Case 2), and diffusion film installation on the upper glass surface of the window for light shelf installation (Case 3); and the energy reduction performance, luminance, and luminance contrast were analyzed based on a testbed. Resul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en the diffusion film was applied, the amount of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light shelf decreased, and the average indoor illumination decreased accordingly. 2) For Case 3, the lighting energy reduction performance was identical to the lighting energy reduction efficiency of the existing light shelf; and for Case 2, it was found to be inappropriate as the lighting energy consumption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existing light shelf. 3) The analysis of the glare for the ca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luminance contrast was low for Case 3, and thus the glare problem could be minimized. 4) The specific angle of the light shelf could induce the glare problem by increasing the luminance depending on the external condition. 5)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ontent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ffusion film for improving the lighting performance and glare problem of the light shelf was found to be the upper glass surface of the window for light shelf installation.

평균밝기와 대비성의 차원으로 구성된 결 공간에서 결 분리에 작용하는 두 가지 기제 (Two independent mechanisms mediate discrimination of IID textures varying in mean luminance and contrast)

  • 남종호
    • 인지과학
    • /
    • 제10권3호
    • /
    • pp.39-49
    • /
    • 1999
  •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결 자극(texture stimulus)은 확률의 개념을 이용하여 만들어졌다. 결 자극은 결 요소들의 확률분포로부터 계산된 평균과 분산으로 완전하게 기술되어 질 수 있으며, 또한 평균과 분산이 서로 직교로(orthogonal) 변화할 수 있는 유클리드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결 분리과정에 관여하는 기제로는 결의 평균정보를 사용하는 기제와 결의 분산정보를 사용하는 기제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유클리드 결 공간에서 짝 지워진 결 자극을 분리하는 확률을 결 자극의 평균차이와 분산차이의 함수로서 측정하였다. 두 명의 피험자로부터 얻어진 자료는 평균과 분산으로 정의된 결 공간에 두 가지 기제가 결 분리과정에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두 기제의 반응을 확률 총합(probability summation) 원리에 따라 종합적으로 처리한다는 모형이 자료를 잘 설명하였다. 그러나 두 기제가 담당하는 결 자극의 각각의 차원이 결의 평균과 분산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평균과 분산이 독립적인 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유클리드 공간에서 생성된 결 자극의 분리과정에는 두 개의 상호 독립적인 기제가 관여하고 있다. 각 기제의 특성을 살펴보면, 한 기제는 결 자극의 밝기 정보를 처리하고, 다른 기제는 결의 밝기(luminance)정보와 대비 성(contrastness)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보인다.

  • PDF

차량용 HUD의 인지적 감성 평가 -주행정보의 색채 시인성을 중심으로- (Vehicle HUD's cognitive emotional evaluation - Focused on color visibility of driving information)

  • 최원정;이혜미;이설희;박영경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95-206
    • /
    • 2013
  •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자동차 주행 중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 분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면서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HUD(Head Up Display)시스템을 이용해서 자동차 앞 유리(windshield)에 투영된 주행정보의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주행정보는 전방시선 $0^{\circ}$에서 약 하방 $9^{\circ}$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고, 실험실의 형광등, 5개의 LED 조명등과 TV출력 영상을 통해 25[lux]의 야간 운전 시 조도 환경, 100,000[lux]의 주간 운전 시 조도 환경을 재현하였다. 먼셀 표색계의 기본 5색(R, Y, G, B, P)과 신호등의 색 YR, W 총 7색의 단일 색과 W를 제외한 6개 글자에 각각 흰색 글자 외곽선, 회색 글자 외곽선을 주어 외곽선 있는 글자 12개를 만들었다. 총 19개의 실험 자극물을 주간과 야간 환경에서 각각 주행정보의 컬러 시인성, 피로도, 선호도, 방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시인성이 유의미하게 나왔는데, 첫째, 주간에서는 Y와 G 색상같이 색상 자체의 휘도가 높은 경우 시인성이 높았다. 둘째, 텍스트의 외곽선이 있는 경우, 외곽선이 배경색으로 작용하여 색상과의 휘도대비를 일으켜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셋째, 외곽선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의 휘도가 배경색 휘도로 작용하여 글자의 휘도와 큰 대비를 이룰 때 시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운전자의 주시야를 고려해 전방에 제공되는 가상의 영상, HUD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주행정보의 색채시인성이 중요한데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배경과 글자의 휘도대비를 고려해볼 수 있다.

  • PDF

Regional Contrast Enhancement for Local Dimming Backlight on Small-sized Mobile Display

  • Chung, Jin-Young;Kim, Ki-D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72-974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smart regional contrast enhancement technique of partitioned image for local dimming backlight on small-sized mobile display to reach two goals. One is to save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other to improve contrast ratio of display image. Recently new advanced method is proposed, named local dimming method, that backlight LED is positioned on backside of the display panel. So it is important to partition an image by sub blocks and then post-processing independantly. This means regional contrast enhancement. After partitioning, we compare the mean luminance(Y) value of each sub-block image with the one of original whole image. If some blocks have the mean value lower than the one of whole image, they are processed with the proposed method and others are bypassed. Simultaneously the information of the processed blocks are transferred to BLC(Backlight LED Controller). And then the supply current of each backlight LED is reduced to realize the contrast ratio enhancement and at the same time to power consumption reduction. In addition, we verify this proposed method is free from blocking artifacts.

  • PDF

Contrast map과 Salient point를 이용한 중요객체 자동추출 (Automatic salient-object extraction using the contrast map and salient point)

  • 곽수영;고병철;변혜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808-81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Contrast map과 Salient point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중요한 객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인간의 시각 체계와 유사한 밝기(luminance), 색상(color) 그리고 방향성(orientation) 3가지의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특징정보로부터 feature map을 생성하고 이 3가지의 feature map을 선형 결합하여 contrast map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하나의 contrast map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Attention Window (AW)의 위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영상으로부터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하여 salient point를 찾고, salient point의 분포와 contrast map의 중요도에 따라 AW의 크기를 실제 중요 객체의 크기와 가장 유사하도록 축소시킨다. 이렇게 선택되고 축소된 AW안에서 실제 중요 객체를 추출하기 위해 AW 내부에 존재하는 영상에 대해서만 영상 분할을 하고 불필요한 영역을 제거하여 자동으로 중요객체를 추출하도록 한다.

  • PDF

빛공해 방지를 위한 관리기준 및 조명환경관리구역 설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Standards and an Environmental Lighting Zone-Setting method for Making Light Pollution Management)

  • 김기태;오민석;김회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27-33
    • /
    • 2011
  •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problems, which occur when environmental lighting zone is set by use-zone on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rtificial illumination luminance.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ontrol standards of light pollution and to suggest a practical environmental lighting zone-setting method. I checked out the standards of average surface luminance and luminance contrast as for light pollution management. In addition, I did some research on evaluation of light pollution on surroundings based on investigation of use-environment as for lighting environment setting method.

White LED Local Dimming Backlight for Aggressive Power Saving and Artifact Minimizing

  • Yeo, Dong-Min;Kwon, Yong-Hoon;Kang, Eui-Jeong;Park, Se-Ki;Yang, Byung-Choon;Kim, Gi-Cherl;Jang, Tae-Seo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156-1159
    • /
    • 2008
  • Local dimming driving has advantages in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improving contrast ratio(CR). In an LED backlight unit(BLU), many small LED blocks are implemented in 2-dimmensional space, and luminance of the blocks is controlled by a local dimming algorithm. However, such a BLU can induce various recognizable artifacts. A new novel algorithm is proposed for exact block luminance calculation to correct local dimming artifacts. Also we discuss modified low-gray-level dimming to achieve much aggressive power saving in a local dimming BLU system.

  • PDF

Area-Focused Luminance Control Backlight for LCD TV applications

  • Hong, Hee-Jung;Kwon, Kyung-Joon;Choi, Jong-Hyun;Lee, Si-Hoon;Hwang, Hak-Mo;Lim, Moo-Jong;Oh, Eui-Yeol;Chung, In-Ja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5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vol.II
    • /
    • pp.1157-1160
    • /
    • 2005
  •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a large size LCD-TV, the Area-Focused Luminance Control (AFLC) technology with data processing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The AFLC backlight consists of 16 U-shaped lamps, and controllable areas are divided into 8 blocks. Based on the AFLC technology, the backlight luminance of each block is automatically and separately controllable. Consequently, the contrast ratio is greatly enhanced whereas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is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backligh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