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land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5초

Optimum PVD installation depth for two-way drainage deposit

  • Chai, J.C.;Miura, N.;Kirekawa, T.;Hino, T.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권3호
    • /
    • pp.179-191
    • /
    • 2009
  • For a two-way drainage deposit under a surcharge load, it is possible to leave a layer adjacent to the bottom drainage boundary without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PVD) improvement and achieve approximately the same degree of consolidation as a fully penetrated case. This depth is designated as an optimum PVD installation depth. Further, for a two-way drainage deposit under vacuum pressure, if the PVDs are fully penetrated through the deposit, the vacuum pressure will leak through the bottom drainage boundary. In this case, the PVDs have to be partially penetrated, and there is an optimum installation depth. The equations for calculating these optimum installation depths are presented, and the usefulness of the equations is studied by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s well as laboratory model test results.

수종 상록식물의 월동 중 수분상태 (Water Status of Several Evergreen Plants during Overwintering)

  • Kim, Joon-Ho;Chang-Seok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4호
    • /
    • pp.201-208
    • /
    • 1986
  • The water status of the leaves of several evergreen plants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discuss the geopgraphical distribution of them. Relastionship between relative water content and water potential of the leaves showed linear decrease for evergreen conifers but exponential decrease for Korean box tree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On the basis of the leaf water potential, the water status of the conifers during wintering was distinct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hardening, cold resistance and dehardening, but lacking in those periods for the Korean box tree, where the status continously decreased. In the cold resistance the leaf water potentials were -23 bar for both spruce (Picea jezoensis) and yew (Taxus cuspidata). From these results and threshold temperature at beginning of hardening, distribution of the conifers was explained that in order of the red pine, the Korean white pine, the yew and the spruce the distribution could be extended at higher altitudes and in more northward areas, whereas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box tree was restricted to the lowland of temperate zone.

  • PDF

일본(日本)의 수변(水邊) 생태계(生態系) 복원(復元)과 녹화(綠化)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Wetland Ecosystems in Japan)

  • 모리모토 유키히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4-118
    • /
    • 1998
  • Present status of Japanese wetland ecosystems and several trials towards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of them are reviewed. Most of wetlands are altered to paddy fields and city areas, and natural wet lowland including tideland is the most endangered nature in Japan. Not only the preservation of natural wetlands but also the conservation of secondary nature of paddy field and waterways in traditional rural areas and restoration of original nature in city areas became the most concerned theme for nature conservation according to the national strategy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Not only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based on the conservation ecology, but also the development of mitigation banking system are needed in Japan.

  • PDF

Riffle beetle genus Leptelmis (Coleoptera Elmidae) in Korea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 Jung, Sang-Woo;Bae, Yeon-Ja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254-259
    • /
    • 2012
  • The riffle beetle genus Leptelmis is newly recorded in the Korean fauna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L. coreana, n. sp. and L. ochra, n. sp. Dorsal habitus and line-drawings of diagnostic characters are provided. The adults of L. coreana and L. ochra are similar to those of L. gracilis Sharp or L. parallela Nomura in general appearance, bu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absence of apical spurs on the middle and hind tibiae, light brown body color, smaller body size, and the shape of aedeagus apex. Leptelmis coreana can be distinguished from L. ochra by the absence of hindwings, lack of prominent humeri and wider elytra in posterior portion. Adults of both species occur in lowland streams and large rivers, but L. ochra were encountered relatively infrequently.

A New Record of Proreus simulans (Dermaptera: Chelisochidae) in Korea

  • Kim, Taewoo;Kim, Sangsu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5권1호
    • /
    • pp.21-29
    • /
    • 2019
  • The earwig Proreus simulans($St{\aa}l$, 1860) has been recently reported from Jeollanam-do in the far southern section of the Korean Peninsula. Natural photographs of this species were obtained from Gwangyang Province for the first time in 2013, with specimens being physically collected in light traps from Suncheon Province in 2018. The species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Oriental region, where its main habitat is lowland paddy fields. The earwig belongs to family Chelisochidae, subfamily Chelisochinae, and genus Proreus, which are newly recognized in Korea. The diversity of the order Dermaptera is currently estimated to be 6 families, 14 genera, and 24 species in Korea.

수도에 대한 시비방법이 질소효율 및 잡초군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Methods on the Nitrogen Efficiency and Weed Population under the Lowland Rice)

  • 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9-276
    • /
    • 197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o increase efficiency of fertilizer nitrogen and how to change the weed population with different methods of nitrogen application. Mudball deep placement, at 10-12cm soil depth, produced significantly the highest grain yield within the application methods with same amount of nitrogen (60kg N/ha). It produced also same grain yield with conventional application methods, timely split application method, with 90kg N/ha. Basal application of nitrogen increased weed population and it showed higher dry weight of weed than top dressing methods at early growth stage of rice.

  • PD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Circulation Winds Observed using Climate Data in the Complex Terrain of Chilgok, Gyeongbuk

  • Ha-Young Kim;Soo-Jin Park;Hae-Dong Ki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75-384
    • /
    • 2023
  • Climate data were obtained over an eight-year period (July 2013 to June 2021) using an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system (AWS) installed at the foot of Mt. Geumo in Chilgok, Gyeongbuk. Using climate data, the statistical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irculation between the Nakdong River and Mt. Geumo were analyzed. This study is based on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system data for Dongyeong, along with comparative climate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hilgok) and the Gumi meteorological observatory. Over the eight- years, mountain and valley winds have occurred 48 times a year on average, with the highest occurring in May and the weakest winds in June and December. When mountain winds occurred, the temperature in the nearby lowland region more strongly decreased than when valley winds blew. However, the potential to use mountain wind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is limited because mountain winds occur infrequently in summer when a drop in nighttime temperature is required.

중ㆍ남부 평야지산 발 형태 및 이화학적 특성의 품종 및 산지간 변이 (Varietal and Locational Variation of Grain Quality Components of Rice Produced n Middle and Southern Plain Areas in Korea)

  • 최해춘;지정현;이종섭;김영배;조수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26
    • /
    • 1994
  • 주요 미질특성에 대한 품종 및 환경변이정도를 파악하고자 자포니카 5개 품종과 통일형 두 품종을 1989년에 중부평야지인 수원 및 이천과 중서해안간 척지인 남양, 호남평야지인 이리 및 남서해안간척지인 계화에서는 보통기 보비재배로, 영남평야지인 밀양에서는 맥후작 만식으로 재배하여 생산된 쌀의 외관 및 도정특성과 주요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 외관 및 도정특성을 비롯하여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밥의 물리성 및 식미총평 등 모든 미질특성에서 현저한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산지간변이가 두드러졌던 미질특성은 쌀 외관, 도정특성, 알칼리붕괴도, 단백질함량, K/Mg율, 호화개시온도, 강하점도(breakdown) 및 치반점도(setback)였는데 이들 특성의 산지변이는 전변이의 14~54%에 달하였으며 품종$\times$산지간 교호작용변이가 특히 켰던 미질특성은 식미총평과 응집(consistency) 및 치반점도였다. 2. 벼 품종간 미질특성의 차이는 특히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군간에 현저하였는데 통일형 품종들이 자포니카품종들에 비해 쌀 외관품질 및 도정률이 떨어지고 1.0% 저농도 KOH 용액의 쌀 붕괴도와 아밀로스함량이 약간 낮은 반면 단백질함량과 K/Mg율은 약간 높은 편이었으며 최고점도, 강하점도 및 응집점도가 다소 높은 반면 치반점도는 유의하게 낮았고 식미가 크게 떨어졌다. 식미가 양호했던 자포니카품종들은 단백질함량이 약간 낮으면서 K/Mg을 및 밥의 점성/경도비율이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3. 현미천립중은 이리산미가 타 지역산미에 비해 두드러지게 무거웠고 수원, 계화 및 밀양산미가 소립인 경향이었으며 정현비율이나 등숙면에서는 밀양산이 가장 떨어졌고 이리나 이천산이 양호하였다. 건전미율은 남양간척지산미가 가장 높았으며 계화간척지산미가 가장 낮았다. 4. 쌀의 아밀로스함량은 계화간척지산미가 타 지역산미에 비해 약 1%가량 낮았고 단백질 함량은 중부지역산미가 남부지역산미에 비해 유의하게 약 1%가량 낮았으며 K/Mg율은 계화 및 이리산미가 가장 낮았던 반면 밀양산미가 가장 높았다. 식미총평은 품종별로 생산지에 따라 상당히 달랐는데 평균적으로 남양산미가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수원>이리>이천>계화>밀양 순이었다 5. 쌀의 알칼리 붕괴도는 밀양 맥후작산미가 가장 높았고 호남평야지산미가 가장 낮았는데 비해 아밀로그래프의 호화개시온도는 수원과 이리산미가 가장 낮았던 반면 밀양산미가 가장 높았다. 강하점도는 밀양산미가 가장 낮았고 다음이 이천산미가 낮았던데 비해 계화 및 이리산미가 가장 높았으며 치반점도는 이와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밥의 점성 /경도비율은 지역간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남부평야산미가 중부평야산미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식미와 관련이 있는 쌀 외관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서 전정보의 약 59% 설명이 가능한 제 1 및 제 2 주성분치상의 7개 품종별 6개 산지미의 분포로 보아 품종에 따라서 산지 반응이 달랐는데 대체로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군간 구분과 밀양, 중부평야 및 호남평야의 세 산지간 구분이 가능하였다. 산지내 품종간 미질변이는 남양간척지와 이리산미가 비교적 작았는데 수원산미는 이천과 남양산미의 미질변이를, 계화산미는 이리산미의 미질변이를 거의 포괄하였다.

  • PDF

강원지역(江原地域) 지대별(地帶別) 논잡초(雜草) 분포(分布) (Weed Flora Changes in Lowland Rice Field in Gangweon Province)

  • 김기식;김재록;고종한;사종구;장진선;김두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8-264
    • /
    • 1994
  • 본 조사연구(調査硏究)는 1992년도(年度) 기상조건(氣象條件)이 서로 다른 강원도(江原道) 지방(地方) 15개군(個郡)의 농가포장(農家圃場) 잡초무방제답(雜草無防除畓)에서 지대별(地帶別)로는 표고(標高) 100m 이하(以下)인 평야지(平野地), 표고(標高) 101-400m인 중산간지(中山間地), 표고(標高) 401-600m인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 표고(標高) 100m 이하(以下)인 동해안지(東海岸地) 등(等) 4개지대(地帶)와 답유형별(畓類型別)로는 보통답(普通畓), 습답(濕畓), 사질답(砂質畓)과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는 손 이앙(移秧), 재배이앙(栽培移秧), 중묘(中苗), 어린모 건답직파(乾畓直播) 등(等) 59개소(個所)에서 논 잡초(雜草)의 발생상태(發生狀態), 발생(發生) 변천(變遷) 및 시기(時期)를 조사(調査)하여 연대별 잡초(雜草) 변이(變異)에 따른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구명하고자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대별(地帶別) 논 잡초(雜草)의 분포(分布)는 평야지(平野地)와 동해안지(東海岸地)는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가, 중산간지(中山間地)와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다. 화본과(禾本科)는 평야지(平野地)와 산간(山間) 고랭지(高冷地)에서, 광엽잡초(廣葉雜草)는 중산간지(中山間地)와 동해안지(東海岸地)에서 피복도(被覆度) 비율(比率)이 높았다. (2) 지대별(地帶別) 우점잡초(優點雜草)로서는 평야지(平野地)는 나도겨풀 등(等) 4과(科) 5종(種), 동해안지(東海岸地)는 올미 등(等) 4과(科) 5종(種), 중산간지(中山間地)와 산간고랭지(山間高冷地)는 피 등(等) 3과(科) 5종(種)이었다. (3) 연대별(年代別) 우점도(優點度)는 1971년대(年代)에는 1년생(年生) 잡초(雜草)가, 1981년대(年代)와 1991년대(年代)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이 절대적(絶對的)으로 많았지만 대체적으로 광엽잡초(廣葉雜草)가 주종(主種)을 이루었다. (4) 논 유형별(類型別)로는 보통답(普通畓)과 사질답(砂質畓)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습답(濕畓)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피복도(被覆度) 비율(比率)이 높았고 보통답(普通畓)에서는 광엽잡초(廣葉雜草), 습답(濕畓)과 사질답(砂質畓)에서는 화본과(禾本科) 잡초가 주종(主種)을 이루고 있었다. (5)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는 손 이앙답(移秧畓)과 중묘(中苗)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 어린모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과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비율(比率)이 높았고, 손 이앙(移秧)과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는 광엽잡초(廣葉雜草),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가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경운시기별(耕耘時期別)로는 춘경(春耕)에서는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 추경(秋耕)에서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각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라나라 농경지(農耕地)의 주요(主要) 잡초분포(雜草分布) 현황(現況) (Weed flora of agricultural area in Korea)

  • 김순철;오윤진;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7-334
    • /
    • 1992
  • 우리나라 농경지(農耕地)에 발생(發生)되는 주요(主要) 잡초분포현황(雜草分布現況)과 변화(變化) 양상(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최근(最近)에 보고(報告)된 연구결과(硏究結果)를 토대(土臺)로 논과 밭을 중심(中心)으로 분석(分析)하였다. 1. 논의 경우 1971년(年), 1981년(年), 1991년(年), 3 회(回)에 걸쳐 잡초분포양상(雜草分布樣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주요(主要) 문제(問題) 잡초(雜草)의 종류(種類)는 18과(科)29종(種)으로 연차간(年次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점초종(優占草種)의 구성양상(構成樣相)은 연차간(年次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다. 1971년(年)에는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의 구위비율(構威比率)은 79%였고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마디꽃(41%), 쇠털골(12%), 물달개비(11%), 알방동사니(8%), 피(7%), 등(等)이었다. 1981년(年)에는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의 발생비율(發生比率)이 53%로 크게 증가(增加)하였고 이때의 주요(主要) 우점초종(優占草種)은 물달개비(22%), 올미(18%), 벗풀(9%), 가래(9%), 너도방동사니(9%), 마디꽃(6%), 등(等)이었으며 피의 우점도(優占度)는 2.3%로 매우 낮아졌다. 1991년(年)에는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가 58%이었고 주요(主要) 문제잡초(問題雜草)는 올방개(20%), 올미(16%), 벗풀(13%), 피(12%), 물달개비(11%), 올챙고랭이(6%) 등(等)으로 올방개와 피의 발생(發生)이 급속도(急速度)로 증가(增加)하였다. 2. 주요우점초종(主要優占草種)의 구성내용(構成內容)은 지역적(地域的)으로도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호남지방(湖南地方)에서는 1991년(年) 현재(現在)까지 올미가 전체(全體) 발생량(發生量)의 30% 이상(以上)을 차지하는 가장 중요(重要)한 잡초(雜草)인데 반(反)해 중부지방(中部地方)과 영남지방(嶺南地方)에서는 1991년(年) 현재(現在) 올방개, 벗풀, 피가 가장 문제잡초(問題雜草)로 인식(認識)되었다. 3. 1981년(年) 발생(發生) 비율(比率)이 2.3% 이였던 피가 최근(最近)에 급속도(急速度)로 발생량(發生量)이 증가(增加)하고 있는데 이는 최근(最近)의 경운정지(耕耘整地) 작업(作業)의 성략화(省略化) 및 성력화(省力化)와, 물관리(管理) 불철저(不撤底)의 재배(栽培) 환경변화(環境變化)와 아울러 제초제(除草劑) 푸마시 이후(以後)의 일발처리제(一發處理劑) 사용면적(使用面積) 확대(擴大)와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4. 밭 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에 발생(發生)되는 잡초(雜草)는 46과(科) 216종(種)이었는데, 동작물(冬作物) 보다 하작물(夏作物) 지대(地帶)에 24종(種)이 더 많이 발생(發生)되었다. 작물종류별(作物種類別)로는 과수원(果樹園)과 마늘 재배지(栽培地)가 약(約) 85종(種)의 잡초(雜草)가 분포(分布)되어 가장 많은 잡초(雜草)가 자라는 작물(作物)이었고 참깨, 감자 및 풋고추 재배지(栽培地)는 45~56종(種)의 잡초가 발생(發生)되어 비교적(比較的) 적은 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였다. 주요(主要) 우점(優占) 초종(草種)으로는 동작물(冬作物) 재배지(栽培地)의 경우 둑새풀, 명아주, 벼룩나물, 별꽃, 갈퀴덩굴, 속속이풀, 냉이, 방동사니 등(等)이었고 하작물(夏作物) 재배지(栽培地)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 강아지풀, 방동사니, 명아주, 망초, 쑥 등(等)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