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9초

유통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 문제와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Behaviors and Problems of Female Retail Workers)

  • 김숙영;윤순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7-145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health behaviors and health problems. and the relations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problems of female workers in the retail business. The number of subjects were 200 female workers of 6 department stores in Seoul and Kyonggi area, whose jobs last more than 6 months as retail employees.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2 months from July 1 to August 30, 1998. The Cornell Medical Index Health Questionnaire(CMI) was used to measure their health problems, while health behaViorn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diet', and 'sleep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test, and $X^2-test$ by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ut of health problems. Digestive symptoms occupied the highest percent number. nervous ones the second and cardiovascular ones the third among physical health problems of retail female workers. The most frequent mental health problem was 'adequacy' and the next, 'tension' and 'anger', 2,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shown that the younger or the unmarried complained more than the older or the married, especially in the items of 'eye and ear', 'respiratory system', 'cardiovascular system', 'digestive tract', 'nervous system', 'adequacy', and 'depression'. The longer working duration they have had, the more they complained of 'respiratory system' and 'adequacy'. The lower academic careers complained of 'nervous' than the higher on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3. The analysis of daily health clinic notes showed that respiratory complaints were the highest percent, successively followed by digestive tract, nervous one, external injury, musculoskeletal system, urinary-reproductive system and others. 4. The level of their health practice was generally low in smoking, diet habit and alcohol intake, exercise, sleeping, very low especially in smoking, diet, alcohol intake, and exercise among them all. 5. Present smokers and ones with past experience complained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respiratory system', 'digestive tract', 'skin', 'nervous', 'urinary-reproductive system', 'fatigability', adequacy', 'depression', 'anxiety', 'anger' and 'tension', than non smokers, with statistical difference. Workers without having breakfast and with irregular diet had more complaints on 'digestive tract', 'adequacy' and 'tension', than those who had regular dietary habit. The less the subjects slept, the more they complained of eye and ear, cardiovascular system. The subjects who drank alcohol complained more digestive problem. However, whether they exercise or not did not affect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a significant manner. 6. The subjects' age and marital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ng to health behaviors, as the younger or unmarried recorded a low level of health practice in smoking, drinking, dietary habit.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1. Health education program on smoking, alcohol intake, diet habit is needed to improve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 of female retail workers. 2. The unmarried workers of late teen and twenties, who are transitional period from teenagers to adulthood are important target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especially for maternal health. 3. Better working environment with sufficient time and facilities for workers to relax is required to promote female sales workers' health. 4.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workers' visual fatigue and intense lights for the display of goods.

  • PDF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 비뇨기계 증상 및 검사 소견 (Urolog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in Patients with Tethered Cord Syndrome)

  • 정태성;김은정;이은실;신손문;문한구;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2호
    • /
    • pp.155-160
    • /
    • 1997
  • 목적 : Tethered cord 증후군은 척수내 지방종이나 종사의 섬유대 등에 의해 척수 원추가 천골에 부착, 견인됨으로 하지의 신경 결함이나 족부의 변형을 일으키는 질환군으로 척추 유합부전증의 경우에서 흔히 나타난다. 신경학적 소견 외에 빈뇨, 요실금, 유뇨증, 급뇨, 배뇨 감각 장애 등의 비뇨기계 증상도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고 하며 수술적 치료의 예후는 조기에 진단될수록 양호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비뇨기계 증상 및 소견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보고된 것이 많지 않다. 저자들은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의 비뇨기계 증상을 여러 특징을 파악하여 tethered cord 증후군 환자에서의 조기 진단 및 치료 방침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1월부터 1997년 7월까지 5년 9개월간 영남 대학 병원에서 tethered cord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소아 환자 9례를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분포, 비뇨기계 이상에 관한 증상 및 비정상 검사소견의 여부와 수술 후 경과에 대하여 의무 기록을 조사하는 후향적 연구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 9례의 연령 분포로는 0-2세가 5례, 2-6세가 1례. 6-10세가 3례였으며 남아가 2례, 여아는 1례였다. 2) 요실금, 빈뇨, 유뇨증, 급뇨, 배뇨 감각 장애 등의 비뇨기계 증상을 가진 경우가 6례였으며, 비뇨기계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신경성 방광을 보인 경우가 5례, 수신증과 수뇨관증이 동반된 경우가 3례, 방광-요관 역류를 보인 경우가 3례였다. 3) 요동력학적 검사는 3례에서 시행되었으며 3례 모두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었다. 4) 진단시 비뇨기계 증상 및 이상 검사 소견을 가진 7례 중 5례에서 detethering이 행해졌으나 증상의 호전은 1례에서만 관찰되었다. 결론 :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 비뇨기계의 증상 및 비정상 검사 소견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비뇨기계의 이상을 시사하는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검사상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Tethered cord 증후군 환아의 평가는 신경학적 이상 유무는 물론이고 비뇨기계의 이상 여부에 대한 평가도 필히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립선비대증 초음파 영상에서 GLCM을 이용한 컴퓨터보조진단의 영상분석 (Image Analysis of Computer Aided Diagnosis using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in the Ultrasonography for Benign Prostate Hyperplasia)

  • 조진영;김창수;강세식;고성진;예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84-191
    • /
    • 2015
  • 전립선 초음파영상은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을 진단하고 전립선암의 생검과 전립선비대에서 전립선 크기 확인 등을 위해서 사용된다. 전립선비대증은 노인 남성의 가장 흔한 질병 중의 하나이다. 전립선은 주변구역, 중심구역, 이행구역과 전방 섬유근 간질부분 4개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전립선비대증은 조직학적으로 전립선 이행구역에서 결절성 증식을 동반한 요도주위의 진행성 과증식이 특징으로 이 결절로 인한 요도 폐쇄를 야기함에 따라 하부요로 증상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전립선 이행구역 영상과 전립선비대 이행구역 영상에 대한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GLCM을 적용하여 정상영상 60증례와 전립선비대증영상 60증례을 분석영역($50{\times}50$ 픽셀)으로 설정하고, 각 영상에서 Autocorrelation, Contrast, Cluster Prominence, Entropy, Max Probability, Sum average 6가지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Autocorrelation, Cluster Prominence, Entropy, Sum Average 4개의 파라미터에서는 병변의 질감 검출 효율이 92-98%로 높게 나왔다. 이에 전립선 이행구역의 결절성 증식 변화를 정량적인 영상분석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전립선비대증 진단에 있어 2차적인 수단으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전립선 초음파 영상에 있어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Cumulative Probability of Prostate Cancer Detection Using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n a Prostate-specific Antigen-based Population Screening Program in Japan

  • Kitagawa, Yasuhide;Urata, Satoko;Narimoto, Kazutaka;Nakagawa, Tomomi;Izumi, Kouji;Kadono, Yoshifumi;Konaka, Hiroyuki;Mizokami, Atsushi;Namiki, Miki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079-7083
    • /
    • 2014
  •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is often used as an interview sheet for assessing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at the time of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testing during population-based screening for prostate cance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tate cancer detection and LUTS status remains controversial. To elucidate this relationship, the cumulative probability of prostate cancer detection using IPSS in biopsy samples from patients categorized by serum PSA levels was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ostate cancer detected using IPSS during screening were also investigated. A total of 1,739 men aged 54-75 years with elevated serum PSA levels who completed the IPSS questionnaire during the initial population screening in Kanazawa City, Japan and underwent systematic transrectal ultrasonography-guided prostate biopsy between 2000 and 2013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Of the 1,739 men, 544 (31.3%) were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probability of cancer detection at 3 years in the entire study population was 27.4% and 32.7% for men with $IPSS{\leq}7$ and those with $IPSS{\geq}8$,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men with serum PSA levels of 6.1 to 12.0ng/mL at initial screening, the probability of cancer det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with $IPSS{\leq}7$ than in those with $IPSS{\geq}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of patients stratified by IPS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use of IPSS for LUTS status evaluation may be useful for prostate cancer detection in the limited range of serum PSA levels.

급성 신우신염의 진단을 위한 영상 검사의 유용성 (The Significance of Renal Imaging Studies in the Diagnosis of Acute Pyelonephritis)

  • 한혜정;김지희;이인실;이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212-219
    • /
    • 2007
  • 목 적 : 소아의 급성 신우신염은 어릴수록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진단이 어렵고 신반흔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나,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로써 신반흔의 유병률을 줄일 수 있다. 소아의 발열성요로 감염 환아에서 급성 신우신염의 조기 진단을 위한 요로계 영상 검사를 비교함으로써, 연령별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발열성 요로 감염으로 진단받고, 급성기에 DMSA 스캔과 신초음파 및 배뇨중 방광 요도조영술을 시행했던 총 53명(2세 미만 34명, 2세 이상 19명)을 대상으로 하여, 두 연령군 사이에 영상검사의 민감도 및 그 연관성을 관찰하였다. 결 과 : DMSA 스캔의 신피질 결손율은 2세 미만에서 23.5%로서, 2세 이상의 63.2%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DMSA 스캔의 신피질결손은 말초 혈액 백혈구 증가와 연관이 있을 뿐, 발열 기간, ESR, CRP와는 연관이 없었고, 신초음파 이상소견 및 방광 요관 역류 유무와도 유의한 연관성 이 없었다. 결 론 : 2세 미만에서는 DMSA 스캔의 민감도가 낮아서 급성 신우신염의 진단에 어려움이 있고, DMSA 스캔만으로 방광 요관 역류의 유무를 예측할 수 없으므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함께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