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facial height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9초

성장기 아동의 상하악골 성장 및 제1대구치 위치적 변화에 대한 연구 (A STYDY ON GROWTH CHANGES OF MAXILLA AND MANDIBLE AND POSITION CHANGES OF FIRST PERMANENT MOLARS OF GROWING CHILDREN)

  • 조대희;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1-320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nges of maxilla and mandible and position changes of first permanent molars of growing children The author analyzed the data using cephalometric roentgenogram of 43 boys and 39 girls age of 6 to 11 with normal occlus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ruption path of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superimposed on TM-ANS and mandibular plane shows individual variation 2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es of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but positive correlation in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3 As the eruption, the forward changes of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4 As the ages were increased, there were irregular growth changes of maxilla and mandible 5 Growth changes of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was relatively stable 6 N-S-${\bar{6}}$ was stable after age 7.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이모장치에 대한 반응성 및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RESPONSE TO THE CHINCAP THERAPY IN SKELETAL CLASS III CHILDREN)

  • 김병호;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99-81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itial skeletal pattern and growth change of whom had responsed well to chincap therapy. 93 patients seleted for this study were in mixed dentition and treated with chincap for more than 2 years. And 54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se total samples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the improvement of four measurements : ANB difference, APDI, Wits appraisal, and AF-BF. One was good response group which consisted of 26 children and the other was poor response group with 19 patients. Various measures of the craniofacial structure in the initial lateral cephalograms and the annual increment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wo groups with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ood response group had more horizontal growth pattern in initial stage of treatment than poor response group, and the contributing factors of this result were anterior posterior facial height ratio, gonial angle, lower genial angle and SN-mandibular plane angle. 2. The maxilla was positioned more anteriorly in good response group. 3. The amounts of vertical growth of maxilla was smaller but the horizontal growth of maxilla was larger in good response group. 4. The mandible rotated more infero-posteriorly in good response group. 5. The good response group had more vertical growth pattern of mandibular condyle.

  • PDF

Open versus closed reduction of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 A systematic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 Kim, Jong-Sik;Seo, Hyun-Soo;Kim, Ki-Young;Song, Yun-Jung;Kim, Seon-Ah;Hong, Soon-Min;Park, Ju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1호
    • /
    • pp.99-107
    • /
    • 2008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was to provide reliable comparative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any interventions either open or closed that can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fractured mandibular condyle Patients and Methods : Research of studies from MEDLINE and Cochrane since 1990 was done. Controlled vocabulary terms were used. MeSH Terms were "Mandibular condyle" AND "Fractures, bone". Only comparative study were considered in this review using the "limit" func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two review autho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abstracts of studies resulting from the searches. The stud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some criteria, and following were measured: Ramus height, condyle sagittal displacement, condyle Towns's image displacement, Maximum open length, Protrusion & Lateral excursion, TMJ pain, Malocclusion, and TMJ disorder. Results : Many studies were analyzed to review the post-operative result of the two methods of treatment. Ramus height decreased more in when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s opposed to open reduction. Sagittal condyle displacement was shown to be greater in closed reduction. Condyle Town's image condyle displacement had greater values in closed reduction. Maximum open length showed lower values in closed reduction. In protrusive and lateral movement, closed reduction was less than ORIF. Closed reduction showed greater occurrence of malocclusion than ORIF. However, post-operative pain and discomfort was greater in ORIF. Conclusion : In almost all categories, ORIF showed better results than CRIF. However, the use of the open reduction method should be considered due to the potential surgical morbidity and increased hospitalization time and cost. To these days, Endoscopic surgical techniques for ORIF (EORIF) are now in their infancy with the specific aims of eliminating concern for damage to the facial nerve and of reducing or eliminating facial scars. Before performing any types of treatment, patients must be understood of both of the treatment methods, and the best treatment method should be taken on permission.

성인의 연조직 측모 변화 (A longitudintal study of soft-tissue profile changes In korean adults aged from 24 to 32 years)

  • 황상희;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14
    • /
    • 2000
  • 한국인 성인에서 연령 증가에 따른 연조직 측모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남자 17명과 여자 8명을 대상으로 24세와 32세에 촬영된 측모 두부X-선 규격사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관찰 기간 동안, 남녀 모두 경조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p>0.05). 2. 연조직의 전후적 계측치에서 남자는 턱부위 (Pog', Gn')의 유의한 증가를, 여자는 하순 (LI)의 유의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5). 3. 연조직의 수직적 계측치에서 남녀 모두 상순의 길이 (Sn-Sto) 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남자에서만 나타났고 하안면 고경 (Sn-Gn') 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4. 연조직 두께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턱부위 (Pog', Gn') 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P<0.05).

  • PDF

An Anthropometric and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ic Evaluation of Two-Point Fixation of Zygomatic Complex Fractures

  • Jo, Taehee;Kim, Junhyu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493-499
    • /
    • 2014
  • Background Maintaining stability and restoring the aesthetic appearance are the fundamental goals when managing zygomatic fractures. We ai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anthropometric outcomes of zygomatic fracture patients who underwent two-point fixation involving the infraorbital rim and zygomaticomaxillary buttress via the transconjunctival and gingivobuccal approaches without any skin incisions. Methods We examined 15 zygomatic fracture patients who underwent two-point fixation during a 3-year period. St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ree-dimensional facial bone computed tomography. Superoinferior and antero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zygoma was quantified.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periorbital region was evaluated using indirect anthropometry with standardized clinical photographs. The ratios between the eye fissure height and width, and lower iris coverage ratio were used to evaluate aesthetical changes. The bony displacement and aesthetic ratios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or Friedman tes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operative zygoma position and anthropometric values was analyzed. Results The positions of the zygoma were similar to those on the contralateral side at the long-term follow-up. The preoperativ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n the fractured side differed from those on the contralateral side, although these values were close to the normal values at the long-term follow-up. Furthermore, we noted that the anteroposterior displacement strong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ower iris coverage rate (Spearman's coefficient=0.678, P=0.005). Conclusions Two-point fixation of zygomatic fractures achieved stable outcomes on long-term follow-up, and also appeared to be reliable in restoring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periorbital region.

이모장치의 적응증에 관한 후향적 고촬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INDICATION OF THE CHIN CAP THERAPY)

  • 양원식;김병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1995
  • 본 연구는 초진시의 골격형태로부터 이모장치에 대한 반응성을 예측하는 지표를 구하여 III급부정교합환자의 조기 치료를 결정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기준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성장기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아동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영구치열완성 이후의 교합의 안정성과 최대성장기 이후의 안모의 개선도를 기준으로하여 양호반응군 25명과 불량반응군 15명으로 나누었다. 초진시 두 군 사이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골격계측항목을 선택하고, 판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치료전 $Bj\ddot{o}rk$ sum, 전후안면고경비율, genial angle, lower genial angle, occlusal plane to SN, occlusal plane to AB plane angle 등의 항목에서 두 군 사이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양호반응군이 불량반응군에 비해 치료전에 보다 수평적인 안모형태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이었다. 2. $Bj\ddot{o}rk$ sum등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각 항목들의 임계값과 판별력을 구하였다. 3. 판별에 기여도가 높은 세 항목 즉, $Bj\ddot{o}rk$ sum, genial angle 그리고 occlusal plane to An plane angle을 이용한 판별식을 구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때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의 $85\%$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었다.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n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 황충주;김석현;길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1-230
    • /
    • 1997
  •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있으나, 교정환자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기 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1 III 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l II 에 비해 Cl III 에서 설골이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l I, II, III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A N B, Wits 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Cl II 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 (extension)은 Bjork Sum, ANB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Cl II 와 Cl III 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 과 NSL/VER은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10세에서 14세 사이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아안면두개의 형태학적 특성에 대하여 (Dental and skelet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between skeletal ages of 10 and 14)

  • 민승기;이영준;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19-435
    • /
    • 2003
  • 이 연구는 두부X선 규격사진을 이용하여 III급 부정교합자의 안모를 연령 성별로 분류하고,각 분류에 대한 두개 안면 형태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 60명과 III급 부정교합자 60명을 표본으로 하였으며 각 군은 10세, 12세, 14세 군 남녀로 구분되었다. 50개의 선 및 각계측치를 Krogman-Walker의 기준평면을 기준하여 측정하였다. 1. III급 부정교합군은 전방두개저의 길이와 안상각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하여 작고 하악골체와 하악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남녀 모두 10세부터 유의하게 나타났다. III급 부정교합군에서의 하악하연각의 유의한 증가는 남녀 모두 12세때 나타났다. 2.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상악골의 후방 위치와 상악골체 크기의 유의한 감소는 남녀 모두 10세부터 나타난다. 3.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유의한 하안면부 수직고경의 증가는 주로 하악골체 크기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골체의 경우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더 크고 전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전체적인 수직고경의 유의한 증가는 12세군에서 유의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4. 본 연구에서는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두개저부각의 감소와 (Ba-S-N, 3A) 하악골체의 전방 위치는 남녀 모든 연령층에서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Rothstein 등에 의해 주장된 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의 두개저부각의 변화가 하악골체의 전후방 위치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주장을 부정하며, 디벳 등에 의해 주장된 앵글씨의 부정교합분류와 두개안면형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를 지지한다.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두부 규격 방사선 계측학적 기여 인자 (Cephalometric Predisposing Factors of the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서은우;이호경;한민우;서미현;김현준;송승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61-16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erform a cephalometric comparison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SA in the lateral cephalogram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Fifty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Sleep Disorder Clinic at the Ajou University Hospital and evaluated with the polysomnograph (PSG) and cephalogram,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atients had the apnea-hypopnea episode over 5 times per hour (apnea-hypopnea index $[AHI]{\geq}5$) were diagnosed as OSA after the overnight PSG. To evaluate the hard and soft tissue profiles, the cephalometric radiograms were taken at the maximal intercusp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AHI was inspected in the OSA and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OSA and control group was evaluated (Mann-Whitney U Test). The cephalometric influencing factors to OS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ally using SPSS statistics. Results: The OSA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BMI than the control group. The mean lower facial height (ANS-Me) was longer in the OSA group;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detected in the anteroposterior craniofacial measurements. The distance between mandibular plane and hyoid bone of the OSA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yoid position (MP-Hyoid)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HI (P<0.001). However, the measurements of oropharyngeal airwa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hypothesis, that the antero-posteriorly narrow oropharyngeal airway may aggravate the airway resistance and give rise to a higher AHI, was rejected in the study.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lateral cephalogram may be utilized as a useful method to evaluate OSA. The patients with a lower hyoid position can be expected to have higher risks of OSA. However, a comprehensive intraoral inspection, including the soft palate and tonsilar hypertrophy, is emphasized, as the lateral cepahlogram cannot visualize the oropharyngeal status completely.

한국인 8세에서 16세까지 비부외형의 성장 변화 (GROWTH CHANGES IN EXTERNAL NOSE OF THE KOREAN PEOPLE FROM 8 TO 16 YEARS OLD)

  • 박혜경;경희문;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49-261
    • /
    • 1993
  • 측모의 형태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부외형의 나이에 따른 성장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정상교합을 가진 평균 8.5세의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16.5세까지 연속두부방사선 계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cdot$ 남, 녀별로 각 계측항목의 연령에 따른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cdot$ 비부고경은 연령증가에 따라 남,녀 모두 증가하였다. 하비부고경에 대한 상비부고경의 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 녀 모두 약간의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기간 동안 평균 비는 남자가 3.69 : 1, 여자가 3.83 : 1로 나타났다. 비부후경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계측항목 가운데 가장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시상후경은 대부분의 연령군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백 큰 값을 보였다. $\cdot$ 상, 하 비부경사도는 연구기간동안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cdot$ 최종 연령에 대한 최초 연령의 성장 백분율은 시상후경에서 가장 높았고(남자 $87.14\%$, 여자 $91.20\%$), 남자에 있어서는 하비부고경$(73.04\%)$, 여자에 있어 서는 비부후경 $(79.09\%)$이 가장 낮은 백분율을 보였다. $\cdot$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상비부 경사도와 비부후경이었다. $\cdot$ 이 기간동안 전체적인 비부의 성장은 전하방으로 일어났으며, 수직 성장보다 수평 성장이 더 많이 일어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