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Taehwa riv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태화강 하류의 적조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Red Tide Blooms in the Lower reaches of Taehwa River)

  • 조홍제;윤영배;강호선;윤성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2
    • /
    • 2011
  • This study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cause of red tide at 10 and 30 days antecedental rainfall, stage and discharge in the Taehwa River, tidal data of Ulsan port, also, it was analyzed variation of red tide population, salinity, BOD, COD, T-N, T-P at S1, S2 each point. Most of the red tide in the Taehwa River occurred by provision of proper nutrients with antecedent, the proximity between discharge and low-flow capacity, and stage and discharge of stabilized condition after the sea water was inflowed by maximum tide difference. Red tide population is not nearly related to the change of salinity, the Taehwa River seems specific features of Non-coastal rivers downstream, because red tide was occurred when salinity quite low-end condition.

울산 태화강하류의 겨울철 조류 모니터링 연구 (Winter bird monitoring of lower Taehwa river in the Ulsan city)

  • 이종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81-88
    • /
    • 2005
  • 2001년부터 2004년동안 4년간에 걸쳐 조사된 태화강하류의 겨울철새는 11목 21과 58종 최대 출현개체수는 14,034개체이다. 연도별로 출현 사항을 보면 종수의 경우 2001년 48종에서 2004년 31종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다. 한편 개체수의 경우 2002년에 11,991개체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2004년이 3,476개체로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5% 이상의 우점종은 흰죽지 Aythya ferina(6,946개체),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1,643개체),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undus(1,193개체),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805개체)로서 이들 4종의 개체수 합(10,587개체)이 전체 개체수의 75.4%를 차지한다. 태화강에 도래하는 조류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강변 가까운 곳에 조류들의 먹이장소 조성, 쉼터 등 완충지대를 만들어주고 도로와 고수부지 사이는 수목대 또는 차광대와 방음벽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의 철새에 대한 보호 의지가 강해야 한다. 또한 철새들이 많이 도래하는 태화강과 동천의 합수부 일대, 조류들의 번식지와 잠자리로 이용하는 대밭 지역($2{\times}0.1km^2$)의 서식지 보호 및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울산 태화강 하류 태화동 홀로세 중·후기 식생환경 변화 (The Change of Vegetation Environment since middle-late Holocene in the lower reaches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Korea)

  • 김혜령;윤순옥;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3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pollen compositions in archaeological site on alluvial plain of Taehwa River, Taehwa-dong, Ulsan-si vegetational and environmental change during 6,200~3,000 yr BP. The results consist upward of Pollen Zone I (Inner Bay environment), Pollen Zone II (Quercus-Alnus stage) and Pollen Zone III (Alnus stage). The pollen grains of Fagopyrum and reddish gray silty horizon including artifacts of the Bronze Age suggest that there was cultivation on dry-field around the study site, although it is not sure that there was paddy-field cultivation.

수공구조물이 하천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I) : 수질 및 생태학적특성 (A Study on Effects of Hydraulic Structure on River Environment(II) :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 안승섭;최윤영;이수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9-317
    • /
    • 2002
  • In this study, water protection reservoir is selected as the target which is located at the estuary of Taehwa river to analyze and examine the effects of hydraulic structure on river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water quality variation characteristics among many effects of hydraulic structure on river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reservoir when low flow is yielded. This study aims at the definition of factors which cause the change of ecological environment of river due to the effects of the sediment protection reservoir, and the proposal of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river space develop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stream variation conditions(depth, velocity, and etc.) and riverbed variation characteristics with ecological depth condition of Taehwa-river's channel for each representative species of fish and examination those. Firstly, from the examination result of water quality when low flow is yielded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sediment protection reservoir for problems about water quality of river due to flow amount decrease in river, it is found that DO decreases about 0.78~0.86ppm at the lower stream of Myeongchon-gyo, and BOD decreases about 0.06~0.24ppm from right upper stream to the direction of estuary when the sediment protection reservoir is removed. It is known from the above that there is som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from the lower stream of Taehwa-gyo to the estuary in case of removal the sediment protection reservoir. Nextly, it is thought that the effects on ecosystem due to water depth and draw down in channel is not serious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of water quality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removal of sediment protection reservoir and hydraulic depths for reservation of ecosystem, these are 10~40cm for breeding season, 10~50cm for fry period, and 10~100cm for adult period of the representative species of fish in Korea.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외래종 틸라피아(tilapia)의 잠재적 서식처 확산 (Dispersal of potential habitat of non-native species tilapia(Oreochromis spp.) inhabiting rivers in Korea)

  • 왕주현;한중수;최준길;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41권2호
    • /
    • pp.101-108
    • /
    • 2023
  • 본 연구는 온배수가 유입되는 대구시 달서천을 대상으로 틸라피아 산란장의 물리적 서식 환경을 파악하고, 나일틸라피아와 블루틸라피아의 국내·외 분포 및 수온에 따른 잠재적 서식 가능지역을 예측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일틸라피아와 블루틸라피아의 국외 서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원개체군이 서식하는 국가를 중심으로 많은 국가와 섬 지역에 도입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대적으로 추운 지역인 캐나다, 영국, 러시아 등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곡교천, 달서천, 금호강과 낙동강 일대에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온배수 유입으로 인해 겨울철에도 높은 수온을 유지하고 있는 하천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틸라피아 개체군이 서식 가능한 지역은 영산강 하류와 낙동강 하류에 국한되어 있으나, 2050년에는 기온상승으로 인해 잠재적 서식 가능지역이 금강, 만경강, 동진강, 섬진강, 태화강, 형산강과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과 탐진호, 나주호, 주암호, 상사호, 진양호, 주남저수지, 회동저수지 등 정수역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서식 가능지역이 확대되고 틸라피아가 산란할 수 있는 서식처가 증가함에 따라 틸라피아 개체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서식처 교란의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잠재적 위해종이며, 기온상승으로 인해 향후 국내 여러 하천에서 서식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틸라피아 개체군 관리를 위해 틸라피아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는 하천을 대상으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위해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개체군 확산 방지를 위한 법적·제도적인 규제가 필요하며, 물리적인 포획, 온배수 수온 감소를 통한 제거 등 다양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틸라피아 개체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서식처 교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울산시 언양 지역 최종빙기 뢰스 형성과 퇴적물 특성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oess sediments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in the Eonyang area, Ulsan-si, Korea)

  • 윤순옥;박충선;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57-168
    • /
    • 2012
  • 언양단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의 삼동천이 태화강에 유입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언양단면에서 OSL 연대측정, 대자율, Y값 및 입도 분석 등 다양한 물리적 분석을 행하였다. 상부층의 조립 물질은 바람에 의해 주로 근거리에서 운반되었으며, 점이층과 하부층의 조립 물질은 유수에 의해 퇴적되었다. 언양단면은 대자율 변화의 불규칙성, Y값의 높은 편차, 매우 불량한 분급 등 한국의 봉동, 거창, 대천 등 다른 지역 퇴적층과 차이가 크다. 이러한 언양단면의 특성은 기존의 중국 뢰스고원과 인접한 범람원 등 다양한 기원지로부터 운반되었거나 다른 작용의 영향을 전체적으로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언양단면의 퇴적물은 MIS 3 후기부터 MIS 2 시기까지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