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 유리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2초

로이유리의 전도성 금속박막을 이용한 발열유리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heatable glass using conductive metal thin film on Low-e glass)

  • 오재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05-112
    • /
    • 2018
  • 본 논문은 로이유리(Low emissivity glass) 표면에 증착되어 있는 금속박막의 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발열유리(Heatable glass)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로이유리의 발열량은 로이유리 표면저항에 의한 주울(Joule) 열에 의존하므로 소재의 표면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예측 및 설계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방사층이 11nm인 소프트로이유리 시료에 각 50mm 간격으로 은(Ag) 전극을 형성시키고, 4단자법으로 면저항을 측정하여 로이유리의 소비전력과 발열량을 예측한 후에, 제작 및 실험을 통해 발열성능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발열유리 제작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일반유리(Normal glass)에 니크롬(Nichrome) 열선을 삽입하는 방법과, 일반유리에 전도성 투명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이 있다. 니크롬 열선 삽입 방식은 발열성능은 우수하나 유리 고유의 투명성을 저해하고, 전도성 투명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은 투명성은 양호하나 공정이 복잡하여 실용성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건축물의 단열효과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로이유리를 이용하여 로이유리 전면에 코팅되어 있는 전도성 금속박막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원하는 발열성능을 가지는 발열유리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니크롬 열선을 삽입하는 방법에 비해 투명성이 양호하고, 전도성 투명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에 비해 제작과정이 보다 수월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레이저를 조사하여 로이유리의 표면 박막을 패터닝(Patterning) 하는 형태에 따른 발열특성의 비교와 로이유리에 적합한 레이저 출력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RF-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된 근적외선 차폐용 나노 박막 소재를 이용한 고투과성 단열창호 연구

  • 김혜진;이건희;서문석;한종훈;신권우;김선민;조진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1-221
    • /
    • 2011
  • 최근, 대외적으로 기후변화협약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배출이 큰 에너지의 22.3%를 소비하고 있는 건축물로 인한 환경부하에 관심이 높아지며 고효율 창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Low-E (저방사) 유리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단열 유리로서 겨울철에 유리하지만, 건물 전면에 약 50~95% 창호가 사용되는 office 건물에는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단열뿐만 아니라 일사 차폐가 가능한 근적외선 차폐유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Low-E 유리의 문제점인 근적외선 투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근적외선 영역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박막코팅 물질(흡수체, 반사체) 및 Low-E 대체용 Themochromic 등 나노 박막을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제조하여 복층유리 구조로 조합해 UV-visible을 측정하였으며 IR Lamp와 태양광 아래에서 온도변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Low-E 복층유리 대비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층유리의 근적외선 차폐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Low-e 복층유리의 현장 내 물류흐름 파악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개선안 방향 (The Improvement Plans for Material Flow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of Low-e Double Glazing on Site)

  • 이상혁;임명복;이재성;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341-344
    • /
    • 2003
  • 도심지내 대형화, 고층화 공사에서는 증가하는 자재의 종류와 양에 비해 한정된 공간과 장비의 제한 등의 문제로 효용성 제고가 요구되고 있어 물류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들로 인해 공사비 증대, 공기지연, 생산성 저하, 안전사고 발생 등의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내 물류관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시생산(just-in-time. 이하JIT)관리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건설자재의 기존 물류흐름 프로세스를 개선한 양중 및 조달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콘크리트와 같은 주요 자재의 JIT적용 연구는 이미 많은 연구와 수행이 진행이 되고 있으나 마감자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하겠다. 이에 커튼월과 더불어 주요 마감자재라 할 수 있는 유리, 그중 Low-emissivity 복층유리(이하 Low-e 유리)를 적용하여 현재의 물류관리 흐름 파악과 JIT관리 적용시 발생하는 효과와 양중조달 시스템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진공챔버 내 프리트 이용 진공유리 봉지공정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of Vacuum Glazing Encapsulating Process using Frit inside a Vacuum Chamber)

  • 박상준;이영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67-572
    • /
    • 2013
  • 냉난방을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대부분 창문을 통해 열손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Low-E 유리, 복층유리 또는 진공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공유리 제작공정의 최종공정인 봉지공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기존 상압 접합이 아닌 진공챔버 내 접합이 고려되었다. 봉지과정의 효율성을 위해 진공챔버 내에서 히터온도에 따른 프리트 용융온도 및 접합시간을 최적화하였고 열응력으로 인한 유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예열온도를 최적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진공유리를 제작하였고 측정된 열관류율은 약 $5.7W/m^2K$로 진공유리 내부압력은 약 $10^{-2}$ torr로 판명되었다.

방사율에 따른 진공유리 열관류율 수치해석 연구 (A Study on Numerical Analysis of Overall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of Vacuum Glazing with Emissivity)

  • 황일선;이영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56-758
    • /
    • 2012
  • 인구증가와 지속적인 산업발전으로 인하여 건축이 매우 활발해지고 냉난방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게 되면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건물에서 손실되는 에너지의 약 20~40%가 창문을 통해 손실이 일어나며 이를 해결하고자 현재 Low-E 유리, 복층유리등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에너지 손실을 더욱 낮추기 위하여 진공유리가 개발 중이나 아직 보급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공유리의 열관류율 측정 장치와 진공에서의 중요한 열전달 요인인 복사열전달이 진공유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 PDF

전자빔 조사에 의한 유리상 탄소에서의 구조적 변화와 열전 성능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a Structural Change and a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a Glassy Carbon Thin Film Induc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오인선;조준현;안기석;유정우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156-160
    • /
    • 2016
  • 유리상 탄소는 열적으로 안정하고, 화학적 반응성이 매우 낮으며,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전기적 저항 또한 낮아서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 논문에서는 전자빔 조사가 유리상 탄소 박막의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열전효과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라만 분광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유리상 탄소 박막에 전자빔 조사에 따라 결정화 또는 비정질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정변화가 유리상 탄소 박막의 자유전자 도핑 농도의 변화시키며 그에 따른 제백 상수나 전기적 전도도의 변화도 확인하였다. 전자빔 조사로 인하여 유리상 탄소의 열전파워 펙터가 최대 200%까지 향상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사암계 석탄폐석을 활용한 E-glass fiber 조성의 유리 제조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ass with E-glass fiber composition by using silica-alumina refused coal ore)

  • 이지선;임태영;이미재;황종희;김진호;현승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80-188
    • /
    • 2013
  • 삼척도계지역의 탄광에서 석탄채굴시에 부산물로 발생되는 사암계 석탄폐석을 원료로 사용하여 E-glass fiber 조성의 유리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카본함량이 비교적 적은 실리카-알루미나질의 사암계 석탄폐석을 사용하였으며, 폐석의 투입량을 0~35 %까지 변화시켰다. 서로 다른 석탄폐석 투입량을 갖는 배치원료를 $1550^{\circ}C$에서 2시간 용융하여 E-glass조성을 갖는 투명하고 맑은 유리가 얻어졌고, 81~84 %의 높은 가시광투과율, $5.39{\sim}5.61{\times}10^{-6}/^{\circ}C$의 열팽창계수, 851~$860^{\circ}C$의 연화점을 나타내었다. 유리섬유 시편은 $1150^{\circ}C$에서 섬유인상장치를 통해 얻어졌고, 복합재료의 보강용 유리섬유로서 내화학성 시험과 기계적 특성평가를 위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석탄폐석을 사용한 E-glass fiber의 특성이 석탄폐석을 사용하지 않은 보통 E-glass 섬유에 비해 충분히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어 E-glass 섬유용 원료로서 석탄폐석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이유리 발코니 창호의 단열성능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평가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Building Energy Rating depending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Balcony Window with Low-E glazing)

  • 이나은;안병립;장철용;이승복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58-63
    • /
    • 2012
  • As the exterior of building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 important parts, the use of glass that is suitable to express various appearances gets raised. However, windows have 6~7times lower insulating performance than insulated walls. Lately, highly efficient windows are required as the needs for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come to the force. Therefore, Nowadays more people use cooling systems in summer, more the use of Low-E glazing is increasing. Because it is good to block Solar Radiant Energy which can cause much of heat loss while cooling system is working. This study measures U-value of the double Low-E glazing window and commonly used single Low-E glazing window. And then the effect of each window on the efficiency rating has been analyzed applying to 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which has implemented.

공동주택 세대내 발코니 유형별 창호의 냉난방 에너지 성능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Window System with the Balcony Types of Apartments)

  • 윤종호;안영섭;김병수;황상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83-90
    • /
    • 2007
  • Apartment balcony has been indiscreetly remodeled since the government permitted remodeling on January 2006. But remodeled balcony has a few problems such as increase of heating energy, surface condensation and cold draft. The reason of thermal problem is mainly caused by the window system in a extended balc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eating and cooling energy and propose the efficient window types for the extended balcony area of a apartment building. 4 types of window system which have fairly high U value in Korea are investigated as follows ; double clear glass, double low-e glass, triple clear glass and triple low-e glass. Comparing double clear 91ass with double low-e glass, triple clear glass and triple low-e glas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10%, 7% and 15% saving of total primary energy can be expected.

지르코니아 함량에 따른 내알칼리 유리섬유의 특성 (The properties of AR(Alkali Resistant)-glass fiber by zirconia contents)

  • 이지선;임태영;이미재;황종희;김진호;현승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63-271
    • /
    • 2015
  • 기존의 내알칼리 유리섬유는 복합재료의 보강섬유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E-glass fiber보다 우수한 내화학 특성을 갖고 있으나 용융유리의 점도가 너무 높아 섬유화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아 함량이 상용 제품에 비해 낮은 범위에서 지르코니아 함량별로 내알칼리유리섬유를 제조하고 이들의 특성을 E-glass 섬유와 비교하였다. 지르코니아의 함량을 0.5~16 wt%까지 변화시키면서 제조한 각각의 배치원료를 $1600^{\circ}C$에서 2시간 용융하여 투명하고 맑은 유리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 유리는 약 90 %의 높은 가시광 투과율을 나타내었고, 열적특성에서 $703{\sim}887^{\circ}C$의 연화점을 나타내었으며, 지르코니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화점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지르코니아 함량이 4 wt%인 조성을 E-glass 조성과 비교한 결과, 연화점에서는 $-94^{\circ}C$의 차이를, 고온점도에 있어서는 log3 온도가 $+68^{\circ}C$, log5 온도가 $-13^{\circ}C$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내알칼리 유리섬유를 알칼리용액에 48시간 및 72시간 침적 후 SEM을 통해 섬유의 내침식성이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인장강도도 일반 E-glass 섬유에 비해 48시간에서 1.7배와 72시간에서 2.2배의 높은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내알칼리 유리섬유는 쉬운 제조조건과 낮은 지르코니아 함량에도 불구하고 좋은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 내알칼리 유리섬유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