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and Intermediate-Level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5초

불포화 암반 파쇄대를 통한 핵종 이동 (Fracture Flow of Radionuclides in Unsaturated Conditions at LILW Disposal Facility)

  • 김원석;김정진;안진모;남성식;엄우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465-471
    • /
    • 2015
  • 불포화대 암반 단열에서 방사성 핵종인 $^3H$, $^{90}Sr$ and $^{99}Tc$의 흡착실험이 진행되었다. 천층처분시설의 인공방벽을 통과해 누출된 방사성 핵종은 빗물이나 공극수에 의해 불포화대 암반 단열을 통하여 지하수로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처분장의 장기간 안전점검을 위해, 불포화대 암반 단열을 통한 방사성 핵종의 거동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층처분주변에서 채취된 불포화대 암반 단열 샘플을 이용하여 X-ray microtomography 분석을 수행하였고, 회분식 흡착실험을 이용하여 방사성 핵종인 $^3H$, $^{90}Sr$ and $^{99}Tc$의 흡착실험이 진행되었다. 암반 단열의 충전물질로 불석광물 및 점토광물 존재 시 중흡착성 핵종인 $^{90}Sr$의 흡착 분배계수 값이 충전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암반 단열 특성화 및 방사성 핵종의 흡착분배계수를 구했으며, 불포화대 암반 단열을 통한 핵종의 거동이 지연됨을 이해할 수 있었다.

지진감시를 위한 국내 해안지역 시추공 내 단열계 변화 특성 (Characterizing Fracture System Change at Boreholes in a Coastal Area in Korea for Monitoring Earthquake)

  • 정재열;함세영;옥순일;조현진;김수진;윤설민
    • 지질공학
    • /
    • 제29권1호
    • /
    • pp.1-12
    • /
    • 2019
  • 지진은 진원지 주변의 지반의 응력상태를 변화시키고, 암반의 단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에서 2016년 9월 12일과 2017년 11월 15일에 각각 발생한 지진규모 5.8의 경주지진과 지진규모 5.4의 포항지진은 양산단층대와 관련되며, 양산단층대 및 인근 지역 암반의 단열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지역에 위치하는 중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 내 암반의 단열계 특성(방향성, 주향에 따른 절리개수, 절리간격, 절리간극, 경사각, 심도 구간별 절리빈도, 상대 암반강도)이 경주지진 및 포항지진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지내 감시공에서 2005년과 2018년에 실시한 초음파 주사검층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초음파 주사검층 분석 결과, 주향에 따른 절리개수, 절리간극, 심도 구간별 절리빈도는 2005년보다 2018년에 대체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지진의 영향으로 인한 단열체계의 변화로 인한 영향이거나, 2005년 감시공 설치 이후 10년 이상의 오랜 기간 나공 상태에서 공벽의 풍화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KB-14공에서 전체 절리의 방향성과 절리의 평균 간격이 2005년과 2018년 사이에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절리면 경사와 상대 암반강도는 전반적으로 2005년과 2018년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3차원 속도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북한지역의 지각구조 연구 (Study of Crustal Structure in North Korea Using 3D Velocity Tomography)

  • So Gu Kim;Jong Woo Shin
    • 지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93-308
    • /
    • 2003
  • 북한 지역 60km 하부 지각구조에 관한 새로운 결과를 토모그래피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한반도와 주변에서 얻어진 1013개의 P파와 S파 주행시간이 사용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 토모그래피 알고리즘에 의해서 모든 지진의 진원이 재결정 된다. 속도구조의 파라미터화는 지진파 밀도에 따라 분포된 Node에 의해서 결정된다. 4개 Level의 120 Node가 각각 P파와 S파의 속도 구조에 적용된다. 연구 결과로 깊이 8Km의 량림 육괴의 깊이에서 P파와 S파 속도 이상변화는 각각 높고 낮게 나타났다. 그 반면에 평남분지의 P파와 S파 속도는 24km 깊이까지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것은 량림 육괴는 지하수나 온천 등으로 포화 된 단층 및 파쇄대를 많이 갖고 있는 시생대-초기 하부 원생대육괴로 되어 있고, 반면에 평남분지의 평양-사리원 일대는 상부 원생대, 실루리안, 상부 고생대와 하부 중생대 기원의 퇴적층으로 채워진 내부 플렛트 폼 함몰로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백두산 하부 8, 16. 24km 깊이에서 높은 P파와 5파의 속도이상은 고결된 마그마 물체의 천부 도랑일지 모른다. 그러나 38km에서 낮은 P파와 S파 속도이상은 용융상태의 저속도 마그마방과 관련 된 것으로 본다. 우리는 또한 사리원을 포함한 옹진 분지에서 Moho불연속면이 약 55km임을 발견하였다. 백두산의 모호불연속면은 38km가량 된다. 특히 백두산 Moho에서 V/sub p//V/sub s/의 높은 비율은 지각과 맨틀 경계에서 용융물체가 있는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본 연구는 또한 량림육괴 순상지(Shield)의 끝 가장자리인 묘향산 지역 하부 40km에서 매운 높은 P파와 S파 속도 구조를 갖는 물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다른 광도에서 생육한 먼나무, 붓순나무의 생리적 차이 (Physiological Differences of Ilex rotunda and Illicium anisatum under Low Light Intensities)

  • 손석규;제선미;우수영;변광옥;강영제;강병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1-67
    • /
    • 2006
  • 내음성정도가 서로 다른 두 수종 먼나무와 붓순나무를 대상으로 높은 광도조건인 자연상태와 낮은 광도 조건인 비음 처리구로 나누어, 두 수종간의 적응 반응을 비교하였다. 두 수종의 묘목을 처리구에서 각각 1년간 비음처리하였을 때, 엽록소함량과 광합성계, 엽육세포내 $CO_2$농도, 수분이용효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두 수종모두 자연조건(full sunlight)일 때, 비음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엽록소 함량들(Chl a, Chl b, Chl a+b)을 나타냈으며, 붓순나무에서 특히 자연조건과 비음 처리구간의 엽록소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중용수인 먼나무는 PPFD $1000\;{\mu}mol\;m^{-2}s^{-1}$ 이상 일 때, 자연조건(full sunlight)에서 높은 광합성율과 높은 수분이용효율을 보였지만, PPFD $1000\;{\mu}mol\;m^{-2}s^{-1}$ 이하에서는 비음처리구에서 자연조건에 비해 더 높은 광합성율과, 수분이용효율을 나타냈다. 이에 반해 붓순나무는 모든 광도에서 비음처리를 하지 않은 묘목이 비음처리를 한 묘목에 비해 낮은 광합성율과 수분이용효율을 나타냈다. 먼나무가 탄력적으로 광도변화에 따라 유동성 있는 반응을 보이는 것에 비해 내음성이 강한 붓순나무는 광환경 변화에 따른 민감성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aw Fish Consuming Behavior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among Populations at Risk of Cholangiocarcinoma in Nakhon Ratchasima Province, Thailand

  • Chavengkun, Wasugree;Kompor, Pontip;Norkaew, Jun;Kujapun, Jirawoot;Pothipim, Mali;Ponphimai, Sukanya;Kaewpitoon, Soraya J;Padchasuwan, Natnapa;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6호
    • /
    • pp.2761-2765
    • /
    • 2016
  • Opisthorchiasis is a health problem in rural communities of Thailand, particularly in the northeast and north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aw fish consuming behavior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among the population at risk for opisthorchiasis and cholangiocarcinoma (CCA).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Meuang Yang district, Nakhon Ratchasima province, northeast Thailand, between June and October 2015. Participants were screened for CCA, and samples who had a high score of CCA risk were purposively selected. A predesigned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collect the data from all participants. $X^2-test$ was used for analysis of associations between demographic data and raw fish consump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had past histories of stool examination (33.0%), liver fluke infection (21.0%), praziquantel use (24.0%), raw fish consumption (78.0%), relatives family consuming raw fish (73.0%), and relatives family with CCA (3.0%). Participants consumed several dished related to liver fluke infection, mainly raw fermented fish (13.0%), under smoked catfish (5.00%), raw pickled fish (4.00%), and raw spicy minced fish salad (3.00%). The most common types of cyprinoid fish were Barbodes gonionotus (39%), Hampala dispar (38%), Puntius brevis (37%), Cyclocheilichthys armatus (33%), Puntioplites proctozysron (32%), and Luciosoma bleekeri (30%), respectively. Participants had a low level of knowledge (mean=3.79, SD=0.74), moderate attitude (mean=7.31, SD=7.31) and practice (mean=38.64, SD=6.95) regarding liver fluke prevention and control. Demographic variables like age (>36 years old; $X^2-test=17.794$, p-value=0.001), education (primary school; $X^2-test=18.952$, p-value=0.001), marital status (married; $X^2-test=12.399$, p-value=0.002), and income (<5,000 baht; $X^2-test=27.757$, p-value=0.01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aw fish consump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opulation had risk consumption for liver fluke infection particularly of various cyprinoid fishes that are $2^{nd}$ intermediate hosts. Therefore, health edu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ir behavior.

4,4'-Methylenedianiline의 환경매체별 위해성평가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4,4'-Methylenedianiline)

  • 김현수;이대엽;우경숙;유시은;이인혜;지경희;서정관;조훈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334-343
    • /
    • 2023
  • Background: South Korea's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etc. of Chemicals (known as K-REACH) was established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from hazardous chemicals. 4,4'-Methylenedianiline (MDA), which is used as a major intermediate in industrial polymer production and as a vulcanizing agent in South Korea, is classified as a toxic substance under the K-REACH act. Although MDA poses potential ecological risks due to industrial emissions and hazards to aquatic ecosystems, no ecological risk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cological risk of MDA by identifying the actual exposure status based on the K-REACH act. Methods: Various toxicity data were collected to establish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s (PNECs) for water, sediment, and soil. Using the SimpleBox Korea v2.0 model with domestic release statistical data and EU emission factors,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PECs) were derived for ten sites, each referring to an MDA-using company. Hazard quotient (HQ) was calculated by ratio of the PECs and PNECs to characterize the ecological risk posed by MDA. To validate the results of modeling-based assessment, concentration of MDA was measured using in-site freshwater samples (two to three samples per site). Results: PNECs for water, sediment, and soil were 0.000525 mg/L, 4.36 mg/kg dw, and 0.1 mg/kg dw, respectively. HQ for surface water and sediment at several company sites exceeded 1 due to modeling data showing markedly high PEC in each environmental compartment. However, in the results of validation using in-site surface water samples, MDA was not detected. Conclusions: Through 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K-REACH act, the risk level of MDA emitted into the environmental compartments in South Korea was found to be low.

Articulatory Attributes in Korean Nonassimilating Contexts

  • Son, Minj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109-121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several kinematic properties of the primary articulator (the tongue dorsum) and the supplementary articulator (the jaw) in the articulation of the voiceless velar stop (/k/)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We examined in particular the spatiotemporal properties (constriction duration and constriction maxima) from the constriction onset to the constriction offset by analyzing a velar (/k/) followed by the coronal fricative (/s/), the coronal stop (/t/), and the labial (/p/) in across-word boundary conditions (/k#s/, /k#t/, and /k#p/). Along with these measurements, we investigated intergestural temporal coordination between C1 and C2 and the jaw articulator in relation to its coordination with the articulation of consonant sequences. The articulatory movement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electromagnetic midsagittal articulometry (EMMA). Four native speakers of Seoul Korean participated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a velar (/k/) in C1 was not categorically reduced. Constriction duration and constriction degree of the velar (/k/) were similar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k#s/=/k#t/=/k#p/). This might mean that spatiotemporal attributes during constriction duration were stable and consistent across different contexts, which might be subsequently associated with the nontarget status of the velar in place assimilation. Second, the gestural overlap could be represented as the order of /k#s/ (less) < /k#p/ (intermediate) < /k#t/ (more) as we measured the onset-to-onset lag (a longer lag indicated shorter gestural overlap.). This indicates a gestural overlap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may not be constrained by any of the several constraints including the perceptual recoverability constraint (e.g., more overlap in Front-to-Back sequences compared to the reverse order (Back-to-Front) since perceptual cues in C1 can be recovered anytime during C2 articulation), the low-level speech motor constraint (e.g., more overlap in lingual-nonlingual sequences as compared to the lingual-lingual sequences), or phonological contexts effects (e.g., similarity in gestural overlap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As one possible account for more overlap in /k#t/ sequences as compared to /k#p/, we suspect speakers' knowledge may be receptive to extreme encroachment on C1 by the gestural overlap of the coronal in C2 since it does not obscure the perceptual cue of C1 as much as the labial in C2. Third, actual jaw position during C2 was higher in coronals (/s/, /t/) than in the labial (/p/). However, within the coronals, there was no manner-dependent jaw height difference in C2 (/s/=/t/). Vertical jaw position of C1 and C2 was seen as inter-dependent as higher jaw position in C1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2. Lastly, a greater gap in jaw height was associated with longer intergestural timing (e.g., less overlap), but was confined to the cluster type (/kp/) with the lingual-nonlingual sequence.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jaw articulation was independent from coordinating primary articulators in gestural overlap in some cluster types (/k#s/, /k#t/) while not in others (e.g., /k#p/). Overall, the results coherently indicate the velar stop (/k/) in C1 was robust in articulation, which may have subsequently contributed to the nontarget status of the velar (/k/) in place assimilation processes.

혼용된 2종의 살균제 살포 농도 및 간격에 따른 잔디 동전마름병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n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under Different Application Rates and Intervals with Two Mixed Fungicides)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408-412
    • /
    • 2013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 골프장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일반적이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잔디 병 중 하나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과 boscalid를 혼합제로 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혼합제의 약량은 기준량과 기준량의 1/2량, 2/3량으로 하였고, 살포간격은 각각 10일과 15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반복별 평균 48.3, 60.0%의 발생을 보였다. 각 처리구는 1개의 처리구(기준량의 1/2 처리구로 15일 간격 살포)를 제외하고 처리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농약회사에서 추천하는 기준량의 농도보다 낮은 농도(기준량의 2/3 및 1/2 농도)로 15일 간격으로 살포하게 될 경우 기준량에 준하는 약효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살포 농약량, 인력,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 등을 낮추는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cdot}$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리고화체의 물리${\cdot}$화학적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trified Forms of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 김천우;박병철;김향미;김태욱;최관식;박종길;신상운;송명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839-845
    • /
    • 2001
  •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폐수지, 잡고체, 붕산폐액을 유리화 하기 위하여 폐기물별 조성을 바탕으로 유리조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폐수지, 잡고체를 각각 유리화 할 수 있는 두 개 의 후보유리 RG-1과 DG-1 그리고 폐수지, 잡고체, 붕산폐액을 혼합하여 처리할 수 있는 후보유리 MG-1을 개발하였다. 각 후보유리에 대해 운전변수, 고화체 품질, 가용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일부 특성들은 실험실적으로 확인하였다. 운전 변수 가운데 유리의 점도와 전기 전도도는 세 후보유리 모두 적정운전 범위값 내에 만족하였으며 밀도, 화학적 견고성, 상안정성 등 고화체의 품질 또한 우수하였다. 개발한 유리 조성 연구를 바탕으로 폐수지, 잡고체, 혼합폐기물을 유리화 할 경우 감용비는 각각 21, 89, 75로 평가되었다.

  • PDF

핀란드의 사용후핵연료 지층처분 현황 및 암반공학 관련 연구소개 (Introduction to Current Status and Researches for Rock Engineering of Finnish Geological Disposal of Spent Fuel)

  • 홍수연;권새하;민기복;박의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4호
    • /
    • pp.215-229
    • /
    • 2019
  • 본 기술보고에서는 세계 최초로 사용후핵연료의 지층처분장 건설에 착수한 핀란드의 방사성폐기물 처분사업과 연구현황을 기술하였다. 핀란드는 1977년 원자력발전을 시작하였고, 현재 4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 중에 있다. 1993년부터 상세 부지조사가 진행되어 2001년에 올킬루오토(Olkiluoto)가 지층 처분의 부지로 최종 확정되었으며, 2015년에 건설허가가 발급되었다. 2020년대에 정부에 의해 운영허가가 나면 세계 최초로 지층처분장을 운영하는 사례가 될 것이다. 올킬루오토 부지에 있는 부지특화 지하연구시설인 온칼로(ONKALO)에서는 처분장의 안전성 검증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핀란드의 사용후핵연료 처분 부지 암반은 결정암질로 KBS-3 처분개념을 사용하기에, 결정암질 암반이 주를 이루는 한국 또한 유사한 처분개념을 고려 중이다. 핀란드 내의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장 운영 현황과 현재까지 진행된 지층처분장 부지조사 및 선정단계를 포함한 전 과정을 소개하고, 현지 지하연구시설인 온칼로에서의 최신 암반역학 및 수리지질학적 실험 및 수치해석 등의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핀란드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처분사업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