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ss Experiences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3초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oss Experiences,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Young-old and Old-old)

  • 백지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403-413
    • /
    • 2018
  •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일반적인 특성,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6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는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다른 변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건강, 관계, 경제, 역할에 있어서의 상실경험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노후불안은 더 크고, 우울은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기노인의 경우 건강, 경제,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상실과 경제상실 경험이 클수록 노후불안이 컸으며,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았다. 본 연구는 노년기를 세분화하여 노년 전기와 후기에 적합한 상실경험 보완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어머니의 부모와의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 실행모델 -성인애착면접(Adult Attachment Interview)을 중심으로-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for Attachment Relationships; Adult Attachment Interview)

  • 장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69-82
    • /
    • 199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daptability of AAI(Adult Attachment Interview) in Korea. The subjects were 20 mothers who had toddlers from middle class. AAI was administrated to them.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Mothers' AAI classifications were Secure-Autonomous(F) 60%, Insecure=Dismissing(Ds) 20%, Insecure-Preoccupied(E) 5%, Insecure-Unresolved/disorganized(U/d) 15%. The classification of AAI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mothers' education, but not mothers' age. Autonomous mothers discribed consistently in evaluation of attachment-related experiences and valued attachment. Dismissing mothers showed a incoherent discourse and dismissed attachment-related experiences and relations. Preoccupied mother sticted to past attachment relationship and perplexed with evaluation of these experiences. Unresolved mothers showed lapse during discussion of loss or abuse and were not free from past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 AAI(Adult Attachment Interview) can be used for evaluation of mother's internal working model in Korean culture.

  • PDF

연하곤란 뇌졸중환자의 비위관으로 영양을 공급 받은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asogastric Tube Feeding among Cerebral Stoke Patients with Dysphagia)

  • 김주연;이영휘;조의영;강혜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2-602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provide understanding about the meaning of nasogastric tube feeding experiences by the cerebral stoke patients with dysphagi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face to face interview from five cerebral stroke patients who had dysphagia along with a nasogastric tube inserti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van Manen. Results: The experience of having a nasogastric tube was not only limited to physical problems but also was linked to other psychological problems. Many patients reported that they tolerated the nasogastric tube in order to overcome the stroke along with the desire to eventually take food orally. The essential theme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of nasogastric tube insertion were: "The loss of pleasure from food", "The loss of human relationship from surrounding table", "Cower and shrink from the different appearance to others" and "Acceptance for life in painful experiences". Conclusion: This study woul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not only physical focused care but also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Therefore, nurses should consider all factors when providing nursing care to stroke patient with nasogastric tube feeding.

신 공여자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Kidney Donors학 Experiences)

  • 김정화;유인숙;김명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2-24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in the nursing practice for the management of living kidney donor by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meaning of kidney donors, experienc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 living kidney donors who had donated from Mar 1991 to Feb. 1994 and discharged from the 3 hospitals in Pusan. Data has been collected by Intensive interview with donors. The data analysis has made by phenomenological method of Van Kaam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experiences of kidney donors were analyzed into the 4 situations, that is,'motivation of kidney donor', 'decision time to make kidney donation', 'pre-opperation','after donation'. The descriptive expression and common elements were drawn from original data of each situation on the basis of subjects' own words. From each situation, the com-mon elements of kidney donors' experiences were integrated, summarized and described as follows 1. Motivation of kidney donation They wanted to donate their kidney because of empathy of pain on the groung of love to the recipient and with exppectation of successful kidney transplant or as a solution of economic difficulty. 2. Experiences in deciding to make kidney do-nation In deciding to make kidney donation, donors had love toward the recipients. But they experienced conflict too. 3. Experiences before being operated on donated kidney In experiences from deciding to make kidney do nation to preoperation, donors had love toward the recipients. But they also felt anxiety or dissatisfaction. Therefore, they controlled their mind by their faith, support of medical staff or support of society. And they experienced regret for the sociological cognition or financial apprehension. 4. Experiences after kidney donation After kidney donation, donors experienced satis-faction and accompplishment in spite of mental and physical discomfortness, while they felt sense of loss / disappointment, repentance, regret, and apprehension of progress toward their condition. Thus, kidney donors donated their kidney on the ground of empathy and love to the recipient and with expectation of successful kidney transplant. But during the process of kidney donation, they ex perienced conflict, love, anxiety, regret, apprehension of economy. And after donation, they felt sense of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while they felt sense of discomfortness, loss / disappointment, re-gret, repentance, or apprehension of progress toward their condition. This result contribute to nurses' role not only for the management of living kidney donors but also for the management of cadaver donors' family.

  • PDF

공예활동 체험요소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effect of Craft Activities Experience Factor to Self-esteem and Social-support for middle-aged women)

  • 홍명숙;남상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67-74
    • /
    • 2020
  • 중년여성들은 여성성의 상실과 함께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게 되며, 자녀의 성장과 독립으로 돌봄과 양육의 역할이 감소되면서 심리적으로 공허함을 느끼기도 한다. 이 여성들은 자신의 역할감소에 따른 상실감과 공허함을 자신의 여가생활을 위해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을 유지하는 계기로 이해하고 있다. 이에 중년여성들은 공예활동체험을 통하여 인간과 인간의 소통을 통한 사회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관계형성과 자아실현의 기회로 인식하여 우울감이나 공허한 마음과 같은 중년의 위기에 나타나는 부정적 감정을 극복하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확립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공예활동의 체험요소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예활동의 체험요소를 독립변수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심미적 체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은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감각과 감성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체험공간의 환경적 특성인 미학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를 살릴 수 있는 콘텐츠와 교류할 수 할 수 있는 출발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공예체험에 대하여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공예활동으로 궁극적인 삶에 변화를 주는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있어 웰빙과 관련된 변수 등을 도출하여 새로운 모형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체중 감량 시도자의 성별, 연령별 체중 조절 실태 (Study on the Status in Body Weight Loss Practi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Subjects with Experiences of Attempting to Lose Weight in Seoul)

  • 두미애;김양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71-577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체중에 대한 인식과 체중 감량 실태를 남녀 각각의 연령에 따른 차이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체중 감량 경험이 있는 $10{\sim}60$대의 남녀 각각 60명씩 전체 720명의 대상자들에게 일반사항, 체격, 현재 체중에 대한 인식과 만족 정도와 체중 감량 경험 및 결과를 전화 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현재 체중인식과 만족도는 큰 차이를 보여 본인의 체중이 정상이거나 마른 체중이라고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전 연령대에서 체중 감량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중 감량 실태 조사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체중 감량 시도 횟수가 낮으나 체중감량 후 유지기간이 길었고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이러한 경향이 강하였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여러 가지 체중 감량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요요현상을 적게 경험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남성에게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잘못된 체중 감량 방법에 의해서 희망 체중에 도달하나, 유지기간이 짧고 여러 가지 요요현상을 경험하면서 체중 감량 방법에 대한 만족도도 낮아져 결국 빈번한 체중 감량을 시도하는 악순환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따라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인식과 체중 감량 실태의 차이를 고려하여 개인별 맞춤형 체중 감량을 위한 영양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학교 밖 청소년의 흡연 및 금연 경험 연구 (A Study of Experience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out-of-school Youth)

  • 박민희;임소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8-399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out-of-school youth.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out-of-school youths belonging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A and B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8 to 15, 2018, using a FGI(Focus Group Interview). The main sub-domains of the experience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in out-of-school youth by 7 questions were categorized from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factors in ecological model. Results: The motivation, continuity, disadvantage of smoking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were analyzed in 10 sub-domains (curiosity, friend's invitation, mood of adapted group, habit, relieving stress, providing breaks, friendship, physical damage, loss of money, a bad sight of smoker). The reason, difficulty, advantage, reason for restarting smoking cessation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were analyzed in 15 sub-domains (physical damage, for future hope, invitation of others, influence of family, weight gain, emotional stress, worsening friendship, improvement physical condition, saving money, better relationships, not with bad friends, withdrawal, smoking of friends, drinking, separated a lov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a Specialized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will be developed for out-of-school youth's health activities in ecological factors.

성인여성의 사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Bereavement Experience of Adults Women)

  • 이명실;김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43-250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주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사별에 대한 정서경험(emotional experience)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와 사별경험이 있는 성인여성 3명을 대상으로 삶의 경험과 그 의미를 심층면접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어머니를 사별한 성인여성이 겪은 정서경험에 대한 본질과 자신과 가족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사별경험', '정서경험', '관계경험', '성장경험'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애착대상인 어머니의 죽음으로 인하여 고통과 상실의 외상을 겪었음에도 시간의 경과와 극복의지에 따라 긍정적인 삶의 변화로 치유해감으로써 회복과 성장 도모에 기여한 점에 의의가 있다.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대한 상실감, 우울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Loss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 이은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41-548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상실감 및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노인차별경험, 상실감,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1개 시군구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지역별·유형별 층화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복지관(10개소) 이용자인 65세 이상 노인 400명 대상으로 1:1 심층면접 조사하여 총 36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과 Bootstrapping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인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실감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우울감은 노인의 차별경험과 자살생각 간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노인차별경험과 상실감 및 우울감이 자살생각으로 연쇄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비만대사수술을 받은 고도비만 청년들의 체중감량 경험 (Weight Loss Experience of Highly Obese Young Adult Who Underwent Bariatric Surgery)

  • 이호임;정효주;권수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60-27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weight loss experience of highly obese young people who underwent bariatric surge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21 to April 2022,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highly obese young adults who underwent bariatric surgery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following four theme clusters were extracted. First, 'The unbearable sorrow of obese people' explains the process of choosing bariatric surgery after fluctuations and frustration despite countless repeated weight loss attempts. Second, 'The impact aftermath of bariatric surgery' revealed participants struggling in the face of unexpected changes due to bariatric surgery. Third, 'Efforts to rebuild a healthy myself' demonstrated the struggle to regain health by using the surrounding support syst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is surgical procedure. Lastly, 'Facing life by getting rid of the yoke of obesity' displaye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ho felt ambivalent about their changed appearance, but coping positively with the new lif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weight loss experiences of highly obese adolescents who underwent bariatric surgery and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veloping and applying systematic and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s before and after bariatric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