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icera japonica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3초

인동덩굴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Extract and Fra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 이예슬;윤믿음;이윤주;박영민;이상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8
    • /
    • 2018
  • DPPH를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77.25{\mu}g/ml$)이 50% 에탄올 추출물($152.00{\mu}g/ml$)보다 약 2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0.33{\mu}g/ml$) >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1.12{\mu}g/ml$) > L-ascorbic acid ($4.95{\mu}g/ml$)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tau}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세포 보호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46.0 min)에서,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mu}g/ml$의 농도(52.3 min)에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 본 실험에서는 $0.4-12.5{\mu}g/ml$의 농도 범위를 설정하여 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각질 형성 세포인 HaCaT 세포 보호 효과는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2.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70.0, 78.6%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대조군(65%)과 비교하여 유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내 ROS 소거 활성에서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ROS를 소거하였으며, $12.5{\mu}g/ml$ 농도에서 각각 45.2, 63.3%의 ROS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세포 내 ROS 억제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LC와 HP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한 인동덩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성분 분석을 통해 caffeic acid, luteolin, apigenin, coumaric acid를 확인하였다. Caffeic acid와 luteolin의 뛰어난 환원력과 킬레이팅 작용이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 보호 효과에 크게 기인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ROS에 대한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추출물이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동덩굴의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약용식물 길마가지나무 자생지의 생육환경특성과 식생구조 (Grow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onicera harae, Medicinal Plant)

  • 손용환;박성혁;정대희;조혜정;손호준;전권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7-310
    • /
    • 2021
  • 길마가지나무의 자생지 11지역 24개소의 입지환경을 조사한 결과 길마가지나무는 주로 산지의 낮은 지대를 중심으로 임연부, 등산로주변, 계곡부 및 해안림 곳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는 대부분 평지나 완경사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사면방위는 가리지 않았으나 주로 햇볕을 많이 받는 남향에 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군집구조는 분석결과 각각 아까시나무(군집I), 느티나무(군집II), 일본잎갈나무(군집III)가 지표종인 3개 군집으로 나뉘었다. 출현식물의 경우 군집 I에서 출현한 식물은 50과 77속 78종 2아종 11변종 총91분류군, 7개의 방형구로 느티나무가 지표종인 군집II에서 출현한 식물은 51과 82속 80종 2아종 10변종 1품종 총93분류군, 11개로 가장 많은 방형구가 해당되며, 느티나무가 지표종인 군집III에서 출현한 식물은 61과 111속 129종 2아종 13변종 3품종 총147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특이식물로는 특산식물 1분류군, 침입외래식물 9분류군, 희귀식물 5분류군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상대우점치(I.P.) 분석결과 각군집의 지표종으로 대표되는 종이 있으나 특정군집에 독립적으로 출현하는 경우는 적었다. 대표적으로 느티나무, 참나무, 아까시나무, 밤나무 등이 있었으며, 아까시나무군집의 교목층을 제외하면 대부분 경쟁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종다양성지수 분석과 유사도지수 분석에서도 상대우점치 분석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군집 간 특정종이 우세하기 보다는 균등도가 매우 높으며, 출현식물이 상이하기 보다는 유사한 경향을 띄고 있었다. 토양분석 결과, 군집 간 전형적인 갈색산림토양, 암적색산림토양의 성질을 보였으며, 배수가 좋은 사양토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유기물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산림토양에 비해 함량이 대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미루어 보았을 때 길마가지나무의 자생지 분포는 지역적인 경향보다는 상층이 울폐하지 않는 임연부, 등산로를 중심으로 유기물이 풍부한 환경에 분포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상층이 울폐한 경우에는 피압으로 인해 생육이 부진한 경향을 보여 광 요구도가 높은 수종으로 판단된다.

회문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Hoemun)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110
    • /
    • 2009
  • The vascular plants in the Mt. Hoemun were listed 541 taxa composed of 113 families, 354 genera, 473 species, 1 subspecies, 64 varieties and 3 forms. Divided into 541 taxa; woody plants were 151 taxa (27.9%) and herbaceous plants were 390 taxa (72.1%).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by the Korea Forest Service, 10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distichum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59), Lilium callosum (No. 191), Tricyrtis dilatata (No. 97), Iris ensata var. sponianea (No. 197), Gastrodia elata (No.9),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Paeonia obovata (No. 30: Legal protection species), Prunus yedoensis (No. 110 : Planted species), Viola albida (No. 202), Schpolia japonica (No. 208).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5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Lilium amabile, Salix purpurea var. japonica, Pseudostellaria multiflora,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Filipendula glaberrima, Weigela subsessilis, etc.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10 taxa were recorded; Carex okamotoi, Lilium distichum, Clematis trichotoma, Vaccinium oldhami, Paulownia coreana, Asperula lasiantha; etc.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S taxa (8.3% of all 541 taxa of vascular plants); Gastrodia elata, Paeonia obovata in class V, Carex arenicola, Corydalis grandicalyx in class IV, 5 taxa (Spiraea salicifolia, Schpolia japonica, Asperula lasiantha, etc.) in class III, 7 taxa (Lilium distichum, Iris ensata var. spontanea, Caryopteris incana, etc.) in class II and 28 taxa (Camptosorus sibiricus, Orixa japonica, Lonicera praeflorens,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ed sites were 13 families, 38 genera, 43 species, 2 varieties, 45 taxa (Phleum pratense, Medicago sativa, Sonchus asper,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8.3% of all 541 taxa of vascular plant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have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counter plants for continuous control and conservation are needed on the ecosystem of Mt. Hoemun.

향토수목원 및 관광지 조경을 위한 자생식물의 개발과 이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Native Arboretums and Tourism Planting with Income Improvement)

  • 이기의;윤영활;조현길;서옥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24-47
    • /
    • 1998
  • 우리는 우리 지방에 자생하면서 기후풍토에 적응된 아름답고 진귀한 많은 야생 화목류와 교목류 등을 부존하고 있으면서도 이들을 연구 개발하지 않고 주로 도업종과 재배종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국내외의 관광객이 요구하는 즉, 강원도는 물론 우리나라 고유의 정취와 이미지를 줄 수 있는 많은 야생종들을 연구, 개발하여 조경식물화시켜 대량으로 번식시키는 동시에 일반 재배화함으로써 향토색 짙은 관광한국을 만들어 관광사업의 근본목표인 경제적 효용을 다하기 위해 매우 개발가치가 있는 교목류 37종과 관목류 73종의 특성, 재배법, 용도 등을 조사하였다.

  • PDF

Neuroprotective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lants against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 Won, Jin-Bae;Ma, Choong-J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125-129
    • /
    • 2009
  •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stroke, and Parkinson's disease, are caused by neuronal cell death. Apoptosis,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excitotoxicity or ischemia are discussed to play a role of neuronal cell death. In order to find the candidate of neuroprotective agent, neuroprotective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was investigated with in vitro assay system using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The aqueous methanolic extracts of twenty-seven medicinal plants were evaluated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injured excitotoxicity in rat cortical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50 $\mu$g/ml and 100 $\mu$g/ml, respectively. Among them, extracts of Lonicera japonica, Taraxacum platycarpum, Polygonum aviculare, Gardenia jasminoides, Forsythia viridissima, Lygodium japonicum, Panax notoginseng, Akebia quinata,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Phellodendron amurense showed significantly neuro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rat cortical cells.

가미의이인탕(加味薏苡仁湯)의 투염증작용(投炎症作用)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KAMI EUI YEE IN TANG ON RAT)

  • 윤태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4-69
    • /
    • 1976
  • Kami Eui In Tang is being used as a treatment oral medicament on the appendicitis and peritonitis without surgical operation resulting good effect. The component of the medicament are as follow : Coix ma yuen, Paeonia moutan, Patrinia scabiosifolia, Rheum, Coreanum, Cory-dalis nakaii, Trichosanthes kirilowii, Lonicera japonica, Prunus persica, Tarxacum officinale, Author tried to make clear the ant inflammatory effect on rat paw which has become edema formation by carrageenin and detect the active ingredient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method. The material was extracted with three kind of solvent; distilled water, 50% ethyl alcohol, and ether which were immersed in material for 48 hours and concentrated to 10ml by evaporation of solvents. The result was as follow: 1.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sample material on the. edema formed at the rat paw was obviously clear. 2. Many spots of active ingredients were detected on the silica gel G plate spotted by ether extracted material than water one. 3. The good developing solvent was the mixture of $CHCl_3$ ; Acetone : Diethylamine (5:4:1).

  • PDF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II

  • 음진성;박영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865-869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search antimicrobial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Pueraria thunbergiana, Sophora flavescens, Lonicera japonica, Pinellia ternata, Dictamnus dasycarpus, Paeonia lactiflora, Angelica dahurica, Spirodela polyrhiza, Cryptotympana pustulata, Pinus densiflora, Cimicifuga heracleifolia, Bupleurum falcatum, Magnolia kobus, Artemisia princeps, Houttuynia cordata, Forsythia koreana, Arctium lappa, Castanea crenata, Aster tataricus, Citrus unshiu, Gardenia jasminoides, Ledebouriella seseloides, Hovenia dulcis, Prunus sargentii. The ethanol extracts of 24 medicinal plants were tested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The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Pinus densiflora, Cimicifuga heracleifolia, Gardenia jasminoides and Ledebouriella seseloide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The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and Sophora flavescens among these medical plants show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reptcoccus muta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and Sophora flavescens could be the potential source of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S. mutans.

  • PDF

Peyer patch 세포에서 임상 빈용생약이 IgA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Medicines on the IgA Production in Peyer patches)

  • 배은아;한명주;김동현
    • 생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9-263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late the biological activity, particularly induction of IgA in primary Peyer's patches cells, of herbal medicines for a long time in Asia. Among fifty four herbal medicines tested, Ephedra sinica, Magnolia officinalis, Lonicera japonica and Lithospermum erythorhizon induced IgA production. The polar and high molecular weight component in Ephedra sinica was capable of inducing IgA in primary Peyer's patches cells. Therefore, we suggest that some herbal medicines could use for the treatment of food allergy.

  • PDF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VI) (New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in Korea (VI))

  • 신현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73-483
    • /
    • 1998
  • This paper is the sixth report about the fungal diseases of economic resource plants observed newly in Korea. It contains short descriptions on symptoms, occurrence conditions, pathogens, and some phytopathological notes for each of 10 fungal plant diseases. They are identified as circular leaf spot of Ligustrum ovalifolium by Cercospora adusta, leaf spot of Viola spp. by c. violae, leaf spot of Trifolium repens by C. zebrina, hypophyllous leaf sot of Angelica gigas by Passalora depressa, brown leaf spot of Euonymus japonicus by Pseudocercospora destructiva, brown leaf spot of Lonicera japonica by P. lonicericola, brown leaf spot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by P. vitis, black spot of Echinops latifolius by Ramularia cynarae, leaf spot of Petasites japonicus by R. major, and leaf spot of Plantagoasiactica by R. plantaginis, respectively.

  • PDF

Acetaminophen의 간독성에 미치는 수종 생약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s of Traditional Dru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

  • 정기화;정진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2-172
    • /
    • 1993
  • Acetaminophen(이하 AAP)은 간의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의해 toxic metabolite로 대사되어 간괴사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지금까지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이나 생약의 cytochrome P450의 활성과 간의 glutathion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P의 간독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규명하고자 민간이나 한방에서 보간 또는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약을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간의 약물대사 효소계에 엉힝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강활(Angelica koreana)과 민간이나 한방에서 간질환치료의 목적이나 해독제로 쓰여온 시호(Buplerum falcatum), 토복령(Smilax china) 및 금은화(Lonicera japonica)가 AAP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예비실험을 통해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의 MeOH ext.가 AAP로 유도된 간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hexane, ether, ethyl acetate 및 butanol로 계통분획하여 랫트에 전처치한 후 고농도의 AAP를 투여하여 간 손상을 일으키고 혈청중의 효소활성과 지질ㆍcholesterolㆍbilirubin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