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care services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초

요양보호사의 노동인권에 관한 고찰 (Labor Human Rights for Care Workers)

  • 전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4-242
    • /
    • 2013
  •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제정되었고 이 법은 질병 및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 대한 요양비용을 사회구성원들이 함께 부담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노인 및 그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를 실현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제도가 마련되었다. 요양보호사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시설에서 돌보거나 또는 노인이 거주하는 가정을 방문하여 보호활동을 벌이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 의하면 요양보호사들의 근무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저임금, 포괄임금의 남용, 장기간 근로, 인력배치기준 및 휴게시설 미비, 요양보호서비스 이외의 노무제공, 수급자에 의한 성희롱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의 중요성과 요양보호사들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논문은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인권의 측면에서 요양보호사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 해본다. 결국 요양보호사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과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 그리고 수급자의 인식 개선 등을 통해 바로잡는다면 더 나은 노동환경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 장기요양보험급여 이용자들의 삶의 질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의 관련성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in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 김형선;박재영;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08-3819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 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들의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중 2008년 7월부터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해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 958명(1등급 305명, 2등급 323명, 3등급 33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 평균점수는 $55.4{\pm}15.62$점이었으며, 장기요양등급별로는 1등급이 $49.7{\pm}14.17$점, 2등급이 $56.8{\pm}14.62$점, 3등급이 $59.4{\pm}16.36$점으로 등급이 높을수록 삶의 질 점수는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장기요양등급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에서는 교육정도, 월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및 인지기능장애가 1, 2, 3등급에서 공통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62%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한국의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시스템 발전 과제 (Developing a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 유호신;서문경애;황원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3
    • /
    • 2008
  • This paper provides the guidelines from which to develop a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and involves an expanded payment compensation system of preventive services based on the new long-term health insurance system in Japan. The function and management methods to achieve the goals practiced in a community contact center for elderly support which have recently been established will guide the specific directions and strategies that the Public Health Center should pursue. That is to say,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efforts will be put forth in preventive home visiting care targeting the elderly in certain jurisdictions. At this point in time in which the visiting care nursing program has not yet started, visiting health care provided by the Public Health Center oversees chronic diseases of a vulnerable population. But after it has been developed nationwide, the visiting health care syste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will be distinctive and focused on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 PDF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노인돌봄의 변화에 대한 연구 (The Impact of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n its Family Caregivers: Focusing on Family Caregiving Arrangement)

  • 양난주;최인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31-56
    • /
    • 2013
  • 한국에서 2008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요양욕구가 인정된 모든 노인에게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이라는 사회적 지원을 제도화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 노인돌봄의 사회적, 제도적 환경은 새롭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서 가족돌봄의 위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이를 위해 공식적인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에 대한 가족돌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공식과 비공식, 제도적 서비스와 가족돌봄의 통합으로서 노인돌봄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 안에서 공식적 돌봄의 역할과 가족돌봄에서 일어난 변화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이용하는 가족돌봄자(노인의 배우자 및 자녀) 중 재가서비스 이용자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내용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된 방문요양 및 방문목욕 등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개별 사례별로 상이한 비중과 의미로 이용되고 있었다. 공식돌봄과 비공식 가족돌봄의 결합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서로 다른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요양보호사에 의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인돌봄을 구성하는 양상, 가족돌봄자가 다양한 돌봄자원을 동원하며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돌봄혼합의 양상, 중증노인이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형성되는 노인돌봄의 양상, 그리고 무엇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실화과정에서 공식돌봄과 비공식돌봄을 일치시키는 변종(hybrid)방식으로 가족요양보호사 방식의 노인돌봄 양상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화되고 공식화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가서비스 이용이 실제 다양한 노인의 욕구와 가족돌봄자원이라는 현실을 만나면서 다양한 노인돌봄의 양상으로 현실화되고 있는 것을 드러냈다는 데 의미를 가진다. 이는 노인돌봄이 공식, 비공식 돌봄의 결합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며 공식적 돌봄서비스의 공급이 실제 가족돌봄의 조건과 현실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에서 노인이용자의 삶의 조건이자 공간으로서 가족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특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요양병원 외래 및 중앙진료부의 의료영역 간 연결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etwork System between of the Outpatient and Central Treatment Department of Long Term Care Hospitals)

  • 배선미;김석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7-17
    • /
    • 2016
  • Purpose: As our population ages and becomes an elderly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care hospitals is rapidly increasing. Because physical functions and spatial perception in the elderly decrease with age, these hospitals require more systematic and intelligent space designs. The design of these spaces are even more complex because they must accommodate medical programs to treat various different diseases and ailments and also because there are many first time patients and irregular short term patients that seek out outpatient treatment services. Also by analyzing the spatial configuration systems and systematic relationships between each of the functional spaces of the outpatient treatment service departments for hospitals specialized in care for the elderly by focusing on the hallway and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the according characteristics and trends were examined. Method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he types of hallway and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including gallery corridors, middle corridors, hall-type, mixed type and cyclic type corridors, an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function including by medical diagnosis, patient registration, examination, administration and convenience and shared common space to derive any interconnec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corridor systems. Also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types and combined utilization of the corridor types and the integration and the intelligibility of the space syntax, any trends within the corridor system were derived. The elderly care hospitals examined in this research study were twelve hospitals that opened after the year 2000 in Korea with more that 150 sick beds with areas larger than $1000m^2$ and with all outpatient medical service related rooms located entirely on a single floor of the hospital.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confirmed based on this research study. 1) The spaces where medical diagnosis and examination occurred were adjacent, and the movement lines for first time patients and re-visiting patien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separating the treatment space. 2) This research study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hospital was, there were more detailed categorizations of treatment services and that there was a tendency for treatment areas to be separated and independent from examination areas. 3) There was a tendency for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to decrease the more complex and diverse the combination of hall types designed into the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was. cyclic type corridors dramatically decreased the intelligibility of the corridor systems of these hospitals. 4) The priority rank of these spaces were confirmed to be highest in the order of registration, diagnosis, examination, treatment, administration and shared common spaces. However it was confirmed for the local integration that the diagnosis scope had the highest priority rank. Implications: There were exceptional cases confirmed where the number of unit spaces did not have an absolute effect on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is can be overcome through efficient architectural planning.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건강 상태 및 영양소 섭취 현황: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Status of health and nutritional intak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cus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 한규상;양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1호
    • /
    • pp.27-38
    • /
    • 2020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 및 영양 상태를 조사하여, 시설 입소 노인의 영양 개선 및 급식관리 지원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4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노인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시설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자 노인은 34명 (17.1%), 여자 노인 165명 (82.9%)으로 여자 노인이 많았으며, 노인의 90% 이상이 75세 이상의 고령이었으며, 시설 거주기간은 70.6%가 3년 미만이었다. 조사대상자의 82.5%는 음주, 흡연 모두 하지 않았으며, 시설 내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노인 45.7%, 거의 매일 운동 한다고 응답한 노인이 40.7%로 시설 거주 노인의 반 이상이 자유롭지 활동하지 못하였으며, 남녀 노인의 44.2%는 본인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현재 앓고 있는 질병으로 치매·파킨슨병, 고혈압, 근골결계 질환, 당뇨병, 뇌졸중의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60.3%가 치매나 파킨슨병을 앓고 있어 시설거주 노인의 주요 질환이 뇌신경계 질환임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25.6%만 대부분의 치아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44.7%는 저작 및 연하 작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총 식품 섭취량은 남자 노인 1,127 g, 여자 노인은 1,078 g이었고, 각 식품군별 섭취량은 '채소류' 397.9 g, '곡류' 206.4 g, '유제품' 159.8 g, '육류' 82.9 g 등으로 우리나라 일반 노인에 비해 콩류와 우유·유제품의 섭취량이 많았다. 다빈도 섭취 식품은 배추김치, 잡곡밥, 된장국·찌개, 쌀밥, 요구르트, 호박죽, 두유, 오리탕, 가지나물 순이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남자 노인 1,564.9 kcal, 여자 노인 1,535.5 kcal로, 남자 노인이 필요량에 비해 에너지 섭취 수준이 낮았다. 각 영양소 섭취량은 남녀 노인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리보플라빈, 비타민 C, 비타민 D, 칼슘, 칼륨의 영양상태가 불량하였고, 특히 비타민 D의 평균 섭취량이 5.0 ㎍으로 매우 낮았으며, 조사대상자의 86.4%가 충분섭취량 이하로 섭취하였다. 반면에 나트륨은 조사대상자의 90%이상이 목표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하여 노인의 질병관리를 위한 식사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조사 결과 광주광역시 노인의료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영양상태가 양호한 편은 아니었으나, 우리나라 65세 이상 일반 노인이나 광주광역시 저소득층 여자 노인에 비해서는 영양상태가 더 나은 경향을 나타내어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의 양질의 급식관리가 노인의 영양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노인의료복지시설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입소 노인들의 급식 및 영양관리 개선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New Proposal of Private Insurance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Design of Sustainable Private Insurance Program in Korea

  • Park, Kun-Woo;Kim, Jhong Yun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ventions and supporting systems by dementia stage, take a look at dementia insurance polic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present Korean private insurance programs for dementia patients. According to the study, our suggestions of a design of private insurance products for Korean dementia pati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s should support people aged 80 and older. Second, new products should include the mild stage dementia in the insurance coverage. Third,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such as the cognitive stimulation, the cognitive training, and exercises need to be covered through the new private insurance. Fourth, the private insurance should be contained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its coverage. These suggestions can reduce the dependence of the public insurance, help people choose appropriate treatments for themselves, and give people a good opportunity to improve the effect of dementia treatment an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이 기능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Functional Status Changes of LTC(Long-Term-Care) Services)

  • 현경래;이선미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93-609
    • /
    • 2012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 4주년을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기능상태 변화와 그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8~9월 당시 장기요양 등급(1~3등급)을 받은 수급자 가운데 1년 후인 2009년 8~9월에도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은 17,65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09년의 기능상태가 2008년과 비교해 전체 항목에서 개선되었으며, 특히 일상생활기능, 행동변화, 재활, 수단적 일상생활기능, 인지기능, 그리고 간호처치 항목 순으로 개선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자의 기능상태 변동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먼저 시설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1등급에서는 재활, 2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항목의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가서비스 중 방문요양 급여를 이용한 경우 1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2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과 재활, 3등급에서는 일상생활기능, 인지기능, 행동변화 항목에서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주·야간보호 급여를 이용한 경우는 1등급에서 일상생활기능, 수단적 일상생활기능, 행동변화, 재활, 2등급에서는 행동변화, 그리고 3등급에서는 인지기능, 행동변화 항목에서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끝으로 단기보호 급여를 이용한 경우는 3등급에서만 행동변화 항목의 기능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그들의 등급과 이용하는 장기요양 서비스에 따라 기능상태 개선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들의 실질적인 기능상태 개선을 위해서는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상태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제공체계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표준급여모형의 급여종류를 수급자의 종합적인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은 물론,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에 수급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작성인력의 전문성 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보건진료원 제도의 시작 (Beginnings of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CHP) System in Republic of Korea)

  • 이꽃메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40
    • /
    • 2009
  • Purpose: This research was done do identify and analyze the beginnings of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around 1980. Method: Primary sour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mainly newspapers around 1980, the act for health service for rural areas, and other relative publications. Results: The government of the ROK was trying to solve the problem of doctorless villages and regarded the introduction of primary health care (PHC) services using registered nurses (RNs) to be an economic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presented 'a plan for community health service' to the government party and medical association in 1976. In this plan, RNs would provide primary care at the sub-county (myun) level, and hospital would provide secondary care. The Korean Public Health Development Research Center was awarded the project 'RNs and nurse aids as CHP for primary care service and their training'. In 1977, 25 RNs began to work as PHC in 3 areas, and interim findings showed that RNs were very capable of doing PHC.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long term plans for health and welfare administration including a tertiary health care delivery system. RNs after training were posted to rural areas with no medical services to do medical treatment for mild cases. The Act for health services for rural areas was enacted on December 31, 1980. Enforcement Ordinance and Enforcement Regulations were enacted in 1981. In 1981, 257 CHP were selected, trained, and deployed. In 1983, the president of the ROK announced continuation of the CHP system for residents of medically vulnerable areas. The number of CHP increased from 257 in 1981 to 2038 in 1989.

일상생활권을 고려한 지역밀착형 노인복지시설의 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llocation Planning of Community Based Elderly Welfare Facilities - Focused on Urban Area -)

  • 전성민;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3-43
    • /
    • 2009
  • As a result of rapid aging speed in our society, many problems related to elderly people have happened in many parts of our society. Among them, supply for elderly housing i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To solve these problems, 'long-term care insurance' has been put in operation from July 2008. By the time of the insurance oper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increasing facilities every year according to '10-year expending plan of Care service infra' from 2002. As a result, the supply rate of elderly facilities has been raised. But the differences of facility supply rate between regions are very high in some cases. Therefore older people who need care sometimes cannot get proper care services in some areas. In that case, the frail older people have to use other care facilities of other regions. This is not a proper situation from the point of "Aging in Place". In order to prevent that case, it is necessary to set up proper 'Daily Living Spheres' and establish elderly care plan for it. Considering the points above, this study proposes the size of 'Daily Living Spheres' for the elderly, the kind and amou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in it for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Based Elderly Care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