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Preservation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Long-Term Subcultured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Red Pepper Plant Growth and Soil Glomalin Content

  • Selvakumar, Gopal;Yi, Pyoung Ho;Lee, Seong Eun;Shagol, Charlotte C.;Han, Seung Gab;Sa, Tongmin;Chung, Bong Nam
    • Mycobiology
    • /
    • 제46권2호
    • /
    • pp.122-128
    • /
    • 2018
  •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are well-known for their ability to improve plant growth and help plants withstand abiotic stress conditions. Unlike other fungi and bacteria, AMF cannot be stored, as they are obligate biotrophs. Long-term preservation of AMF spores is challenging and may lead to the loss of viability and efficiency.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rolonged subculture of AMF species on the growth and glomalin-related soil protein (GRSP) from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MF spores were mass-produced using different techniques and subcultured in pots with sorghum sudangrass as the host plant for 3 years. Experimental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natural grassland. Five different AMF inocula were used in triplicate as treatments. After 70 days of growth, red pepper plants were harvested and plant dry weight, plant nutrient content, mycorrhizal colonization, AMF spore count, and soil glomalin content were determined. AMF-treated plants displayed higher dry weight than controls, with only fruit dry weight being significantly different. Similar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osphorous and potassium contents of the above-ground plant parts were observed between mycorrhizal and control treatments. In addition, soil GRSP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lants inoculated with Rhizophagus sp. and Gigaspora margarita. The increased plant growth and GRSP content suggest that AMF can be maintained for 3 years without losing their efficiency if subcultured regularly with different symbiotic host plants.

발아식품의 품질보존을 위한 전리방사선의 이용 (Utilization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Preservation of Sprouting Foods)

  • 윤형식;권중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79-84
    • /
    • 1985
  • 저장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감자, 양파, 마늘 및 밤의 장기 저장법 개발을 목적으로 수확후 l개월 이내에 Co-60 감마선을 조사하고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은 자연저온 저장고에 각각 저장하였다. 저장중 시료의 발아는 감자가 150Gy, 양파 및 마늘이 50Gy 밤이 250 Gy의 선량으로 8~10개월간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라 부패율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중량감소에 있어서도 적정선량의 조사는 네가지 사료에서 6~24%의 감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발아식품의 품질에 관여하는 성분인 수분, 당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로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가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 식품의 장기 안전저장을 위해서는 감자, 양파 및 마늘은 50~150 Gy, 밤은 250 Gy 정도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자연저온저장고($10{\pm}5^{\circ}C$ R.H. 75~85%)에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 PDF

Effect of dentin biomodifiers on the immediate and long-term bond strengths of a simplified etch and rinse adhesive to dentin

  • Singh, Payal;Nagpal, Rajni;Singh, Udai Pratap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3호
    • /
    • pp.188-199
    • /
    • 2017
  • Objectives: This in vitro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entin biomodifiers on the immediate and long-term bond strengths of a simplified etch and rinse adhesive to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Flat coronal dentin surfaces were prepared in 120 extracted human molars.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n = 24) according to 5 different surface pre-treatments: No pre-treatment (control); 1M carbodiimide (EDC); 0.1%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2% minocycline (MI); 10% sodium ascorbate (SA). After surface pre-treatment, adhesive (Adper Single Bond 2 [SB], 3M ESPE) was applied. Composite was applied into transparent plastic tubes (2.5 mm in diameter), which was placed over the bonded dentin surface. From each group, 10 samples were subjected to shear bond strength (SBS) evaluation at 24 hours (immediate) and remaining 10 samples were tested after 6 months (delayed). Additionally, 4 samples per group were subjected to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for observation of resin-dentin interfac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with Shaperio-Wilk W test, 2-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 hoc Tukey's test. Results: At 24 hours, SBS of all surface pre-treatment groups were comparable with the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EDC and SA groups only (p = 0.009). After 6 months storage, EDC, EGCG, and MI pre-treatments preserved the resindentin bond strength with no significant fall. Conclusions: Dentin pre-treatment with all the dentin biomodifiers except SA resulted in significant preservation of resin-dentin bond over 6 months storage period, without negatively affecting the immediate bond strength of the etch and rinse adhesive tested.

Myxoma arising from the parotid gland

  • Kim, Seung Min;Kim, Cheol Keun;Kim, Soon Heum;Lee, Myung Chul;Kim, Jee Nam;Choi, Hyun Gon;Shin, Dong Hyeok;Jo, Dong I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6-190
    • /
    • 2019
  • Myxoma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derived from the facial skeleton, and those derived from external skeletal soft tissue. Soft tissue myxomas of the head and neck are uncommon, with fewer than 50 cases reported. In any form and location, myxoma of parotid gland is rare. We report a case of myxoma arising from the left superficial lobe of the parotid gland with good long-term follow-up after superficial parotidectomy with tumor excision. A 49-year-old man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with a painless palpable mass that had persisted in the left mandible angle region for 2 years. Excision of the facial mass and superficial parotidectomy with facial nerve preservation were performed. The biopsy result was myxoma. Long-term follow-up for 22 months showed favorable results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but with temporary facial nerve weakness right after the surgery. Myxoma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when benign tumor of the parotid gland is being considered.

Mapp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Raccoon Dog Habitats: Spatial Statistics and Optimized Deep Learning Approaches

  • Liadira Kusuma Widya;Fatemah Rezaie;Saro Le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4호
    • /
    • pp.159-176
    • /
    • 2023
  • The conservation of th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in South Korea requires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natural habitats while additionally ensuring coexistence with human activities. Applying habitat map modeling techniques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raccoon dogs and assists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conservation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maps for the raccoon dog in South Korea using geospatial technology-based models. These models include the frequency ratio (FR) as a bivariate statistical approach, the group method of data handling (GMDH) a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long short-term memory (LSTM) as deep learning algorithms. Moreover, the imperialist competitive algorithm (ICA) is used to fine-tune the hyperparameters of th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Moreover, there are 14 habitat characteristics used for developing the models: elevation, slope, valley depth, topographic wetness index, terrain roughness index, slope height, surface area, slope length and steepness factor (LS facto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distance to drainage, distance to roads, drainage density, and morphometric features. The accuracy of prediction is evaluated us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he results indicate comparable performances of all models. However, the CNN demonstrates superior capacity for prediction, achieving accuracies of 76.3% and 75.7%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processes, respectively. The maps of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are generated for five different levels of potentiality: very low, low, moderate, high, and very high.

동물 실험 모델에서 적용한 이종대동맥판막도관의 조직보존방법 비교; 신선 냉동보존과 무세포화 냉동보존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of Aortic Valve Conduit Xenograft Preservation in an Animal Experiment Model; Fresh Cryopreservation versus Acellularized Cryopreservation)

  • 김창영;김경환;문경철;김웅한;성시찬;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11-19
    • /
    • 2010
  • 배경: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이식편 중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이종조직도관은 조직의 석회화, 섬유화, 염증 및 면역반응에 의한 조직 손상 등 조직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압력에 노출되는 대동맥부위의 이종판막도관을 조직보존방법에 따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로부터 채취한 이종대동맥판막도관을 신선 냉동보존 및 무세포화 냉동보존으로 처리한 후 염소의 대동맥에 이식하였다. 생존기간에 따라 각각 2마리씩의 단기 생존(100일 미만) 및 장기 생존한 염소에서 이식했던 판막도관을 추출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선 냉동보존 군은 각각 31일, 40일, 107일, 411일 생존하였고, 무세포화 냉동보존 군은 각각 5일, 40일, 363일, 636일 생존하였다. 이중 단기 생존한 모든 염소는 문합 부위의 파열로 사망하였다. 신선 냉동보존 군에서는 침윤한 염증세포가 주로 호중구인 반면, 무세포화 냉동보존 군에서는 주로 림프구가 관찰되었다. 석회화, 섬유화, 혈전 형성 등의 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두 가지 처리법으로 이종대동맥판막도관을 보존 후 장기 생존 유도가 일부에서 가능하였다. 두 군에서 모두 심각한 조직변성이 발생하여 이종도관을 적절히 보존 처리할 수 없었던 것으로 관찰되었다. 향후 개선된 보존법이나 변형된 판막도관 처리법의 개발 등의 실험연구에 기초자료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저장조건이 탈삽감의 저장 후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Change after Storage of Deastringencied Persimmons)

  • 정혜승;정헌식;이주백;성종환;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1
  • 저장한 방법 및 기간이 탈삽감의 저장 후 shelf-life 동안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떨은감인 '청도반시'를 $25^{\circ}C$에서 70% $CO_2$+5% $O_2$의 기체조성비로 39시간 동안 탈삽처리하고 $0^{\circ}C$의 CA(5% $CO_2$+3% $O_2$, 8% $CO_2$+3% $O_2$), MAP(0.06 mm LDPE, 5.2% $CO_2$+6.8% $O_2$) 및 air 방법으로 15, 45, 75, 105일 동안 각각 저장한 다음 1$0^{\circ}C$에서 보관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육경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0^{\circ}C$에서 저장한 기간이 45일 이상부터 저장방법 별 차이를 보여 CA(8% $CO_2$+3% $O_2$) 저장한 과실에서 감소가 가장 억제되었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0^{\circ}C$에서의 저장 일수가 75일이 경과하면서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CA와 MAP 저장보다 air 저장한 과실에서 약간 많은 감소를 보였다. 적정산도는 $0^{\circ}C$에서 저장한 기간이 75일 이하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저장한 방법의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특성중 color, hardness 및 overall acceptability는 CA저장한 과실이 다른 방법으로 저장한 과실보다 우수하게 유지되었으나 order, juiciness 및 sweetness는 저장한 방법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이산화탄소 탈삽감의 저장조건인 방법 및 기간은 저장 후 shelf-life 동안에도 과실의 품질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장기간의 지구성 운동과 단삼식초 섭취가 고지방식 유도 비만 흰 쥐의 신체구성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endurance exercise and Salvia miltiorrhiza vinegar on body composi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김기진;정수련;안나영;박주식;주영식;김성욱;이규호;김미연;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66-672
    • /
    • 2017
  • 본 연구는 단삼식초 및 지구성 운동트레이닝이 고지방식 유도 비만 흰쥐의 신체구성 및 혈중 항목들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함으로서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10주령 수컷 Wistar 흰쥐 40마리를 대상으로 8주간 고지방식 처치로 비만을 유도한 후 좌업군, 운동군, 단삼식초섭취군, 운동군+단삼식초섭취 복합처치군 등으로 무선, 배정하여 총 8주간 운동 및 식이처치를 실시하였으며, 체중 및 신체구성, 식이섭취량, 경구당 부하검사 및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8주간의 단삼식초섭취는 지구성 운동과 병행할 경우 체중감소 및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삼식초섭취만 처치할 경우 오히려 체지방량을 증가시키고 제지방량은 감소시켰으며, 인슐린 저항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구성 운동과의 병행 시도의 경우에도 운동효과를 배제한 부가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중 지질에 있어서는 운동의 효과마저 둔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삼식초섭취에 따른 항고혈당, 항비만 효과는 확인될 수 없었으며, 추후 분자생물학적 분석에 의한 기전과 관련된 원인분석을 통해서 보다 명확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홍고추의 저장온도 및 해동조건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Red Pepper by Various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 이혜은;임채일;도경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7-232
    • /
    • 2007
  • 홍고추를 원료형태에 따라 원형, 세절, 분쇄로 제조하여 $-5^{\circ}C,\;-20^{\circ}C$$-40^{\circ}C$ 저장고에 보관하였다. 고추의 표면색도는 저장온도 조건에 따라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타민 C 함량은 원형 홍고추가 세절고추나 분쇄고추보다 저장기간 동안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온도별로는 $-40^{\circ}C$ 저장군에서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5^{\circ}C$ 저장군에서 저장 2개월째 50%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 2개월까지 약간 증가하다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5^{\circ}C$ 저장온도 처리군에서의 감소변화가 $-20^{\circ}C,\;-40^{\circ}C$ 저장온도 처리군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냉동고추를 실온 해동시 드립로스의 양이 냉장 해동, microwave oven 해동시보다 약 2배 가까이 드립로스양이 발생하였으며, 표면색도는 고온 해동시 갈색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해동조건에 따른 냉동고추의 성분 변화는 냉장 해동과 microwave oven 해동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해동 시간을 고려한다면 microwave oven 해동이 가장 실용적인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박물관 조명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useum Lighting)

  • 김지원;강대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188-19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조명과 관련하여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중요 연구들을 되짚어보고자 학술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박물관 조명으로 사용된 광원과, 그 한계로 인해 보존환경이 발전되는 과정 중에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박물관 조명에 의한 유물 열화에 대한 중요 연구 사례들을 되짚어보고 최근 적용되는 LED 광원에 의한 연구 현황을 살핌으로써 향후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박물관 조명에 관한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기간 사용에 대해 보존 효과를 높이는 것이며, 각 시대별 최신 광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1990년대 이전에는 최초의 박물관 전시 조명인 백열전구와 형광램프를 한지에 조사(照射)하여 광원에 의한 지류 유물의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에는 할로겐램프와 HID램프의 도입으로 광원 자체의 특성 분석 및 조도 기준 제시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00년대에는 그간 연구되었던 광원의 특성을 바탕으로 박물관의 조명환경 측정을 실시하여, 보존 측면에서 유물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관람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2010년 이후에는 LED램프가 도입되면서 LED램프에 의한 유물 열화 연구가 확대되는 동시에 blue spike 영역의 축소, 연색성 증대 등 광원 자체의 개선 연구가 이루어졌다.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사용되는 조명이 진보함에 따라 전시품 보존 기준의 방향도 조도 중심에서 유물의 색상 및 광원의 복사속에 이르기까지 변화해왔으며, 그에 따라 발전된 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보다 면밀한 유물 변성 조건의 표준화 마련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박물관 조명에 관한 꾸준한 연구가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