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distance transport syste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2초

교류 AT 급전계통에서의 단권변압기 설치위치의 최적화 (Location of Auto Transformer in AC AT Feeding System)

  • 한문섭;이장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48-1250
    • /
    • 2002
  • AC AT feeding system is possible to do the long distance feeding due to compensate the voltage drop. Nowaday this is a typical and efficient type all over the world in high speed train and heavy transport capacity. Normally a Auto-transformer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nal (5 to 10km) between Substation and Sectioning post, this study is reviewed the voltage drop according to train movement and the optimal location of auto transformer, and provided the efficient feeding configuration.

  • PDF

통행시간 추정을 위한 TCS 데이터의 전처리 모형 개발 (A Development of Preprocessing Models of Toll Collection System Data for Travel Time Estimation)

  • 이현석;남궁성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1
    • /
    • 2009
  • TCS (Toll Collection System) 데이터는 원시 데이터 자체로서도 구간의 교통상황을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는 교통특 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TCS 데이터에는 이상치가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데이터는 해당 구간의 통행시간을 대표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만약 이러한 이상치들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거하지 않고 집락을 한다면 이상치들로 인해 통행시간은 크게 왜곡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장거리 구간일수록 통행시간의 분산이 증가하여 동일구간 동일시간대라도 다양한 통행시간이 분포하고 있다. 구간이 길어질수록 통행시간의 변동이 심하여 적절한 통행시간 대푯값을 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TCS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시간의 대푯값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통행시간의 변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TCS 데이터의 전처리 기법을 개선하되 구간의 길이와 교통상황에 따른 통행시간의 변동을 고려하여 TCS 원시데이터로부터 시 공간적 통행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통행시간을 추출하고자 한다.

  • PDF

서대구S/S SVC의 양주S/S 이설관련 고조파 및 제어특성 검토 (Transport of SVS from Sudagu to Yangju and Study about harmonic wave, feature of control)

  • 장석한;신순영;최만식;윤종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633-635
    • /
    • 2007
  • To cope with increasing power demand in metropolitan area, the power system in Korea has equipped with unit generator of large capacity, high density and uneven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line of long distance, large capacity and high voltage. As the power system growing up enormous, it has become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ndard voltage in case of radical fluctuation of load or severe change of voltage by power system fault for its weakness of responsive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power condenser has been installed to solve the unstability by lack of reactive power. Consequently, we review harmonic wave production and control characteristics to solve unstability problem of voltage in northern metropolitan, to reduce transmission restriction cost and to minimize load shedding by relocation of SVC (Static Var Compensator), which is highly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responsive characteristics for radical voltage fluctuation.

  • PDF

Feasibility Study on Styrofoam Layer Cushioning for Banana Bulk Transport in a Local Distribution System

  • Wasala, W.M.C.B.;Dharmasena, D.A.N.;Dissanayake, C.A.K.;Tilakarathne, B.M.K.S.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0권4호
    • /
    • pp.409-41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a new banana bulk packaging method under the real transport conditions of Sri Lanka. Methods: A field evaluation of optimized 8-mm thick Styrofoam sheets used as the cushioning material was applied. A trial transport was conducted from Thambuttegama to Colombo using a medium-sized open truck, with banana leaves as the control material. Data were recorded at the farmer, transporter, retailer, and consumer stages of the supply chain. Mechanical damage, physiological loss in weight, fruit firmness, total soluble solids, ripeness index, visual quality ratings, and the physical damage index of the bananas were measured at each stage. A cost-benefit analysis was also conducted for both packaging methods. Results: The 8-mm styrofoam sheets significantly reduced (p < 0.05) the mechanical damage from 26.3% to 12.9%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long-distance transport, and the physiological loss in weight showed a decrease of 2.88%. The loss of firmness of the fruits followed a simmilar pattern for both methods until reaching the retailer, but at the consumer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for the control. However, the physical damage index at the retail stage for the control showed symptoms of physical injury, whereas the bananas transported using the cushioning materials exhibited only minor symptoms. Further, the visual quality of the fruits after transport from the farmer to the consumer was preserved, which is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consumer preference and retail price. The proposed method increases the profit margin by 51.2% for Embul bananas owing to the reduced postharvest losses. Conclusion: The 8-mm thick Styrofoam sheets reduced the physical damage to the bananas, with the quality parameters maintained at the prefered level. Moreover, profits may be increased.

장거리 운송시스템용 영구자석 선형 동기 전동기의 추진 제어 방법 (Propulsion Control Method of 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Motor for Long Distance Transport System)

  • 김찬;이기창;박병건;문석환;송의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운송 시스템의 정밀 제어에 적합한 영구자석 선형 동기전동기의 추진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적용 시스템은 코일이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이 이동자를 구성하는 형태로서 빠른 응답특성을 위해 아날로그 형태의 전류제어기를 사용하였고, 섹션 전환을 통해 추진제어가 이루어진다. 제안한 추진 제어방법을 적용한 영구자석 선형 동기전동기의 구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의 구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전자기장을 이용한 준설토 고효율 이송기술 실증 및 기술 지침 개발 (Dredging Material High Efficiency Transport Technology Test by Using the Electro Magnetic Field and Development of the Technical Design Manual)

  • 김동철;김유승;여찬수;김선빈;박승민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73-182
    • /
    • 2018
  • As the research about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redging soil transport, the technology, which reduce the friction between pipe wall and fluid in the pipe and disturbed generating pipe blockage, has been developed. So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his technology to real construction site, main test has been tried at the real scale test in field. As a test result, this paper will show 30% flow efficiency increasing by permitted electro magnetic force to the pipe. And test result was evaluated as a ultra sonic velocity profiler. To propose the design technique and the execution manual of the high efficiency dredging material transport technic, this research have confirmed flow status changing depending on a soil material kind under electro-magnetic field and analyze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field which affects to each dredged soil material transportation. For achieving this research, EMF(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is installed on the dredger(20,000HP) and through monitored flow status, dredging soil flow rate and sampled material specification is confirmed. Also dredger operating condition is measured and dredger power for soil transportation, hydraulic gradient and flow rate are compared, as transportation efficiency is calculated by this parameter, it is possible to check transportation efficiency improvement depending on each dredged soil material under electro-magnetic field. To verify the technique of dredged soil transfer using electromagnetic field, which is the core technique of the high efficiency dredged soil transfer, and the technique of expert system for pipeline transfer and the flow state. This could lead to a verification of transfer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edged soil (sand, clay, silt) and the transfer distance (5km, 10km, 15km), which is planned to be used for a technology development of pump power reduction and long-distance transfer applying the high efficiency dredged soil transfer technology.

광합성산물과 제초제의 체관이행 기작 (Characteristics of phloem translocation of photoassimilates and herbicides)

  • 김성문;허장현;한대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
    • /
    • 1998
  • The generally accepted idea for carbohydrate translocation in plants is an osmotic pressure flow hypothesis. According to the hypothesis,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hydrate in the phloem of carbohydrate synthesis regions (source) causes a water influx into the phloem. The generated osmotic potential in the phloem is responsible for long distance carbohydrate transport through the positive hydrostatic pressure. In regions of carbohydrate utilization and storage (sink), translocated carbohydrates are continuously metabolized and compartmentalized, generating a concentration gradient between source and sinks. In this system, carbohydrates load into the phloem (phloem loading) and unload out of the phloem (phloem unloading). Phloem-mobile herbicides that are applied to plants are also translocated from the source to sinks. However, som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patterns of phloem translocation between carbohydrates and herbicides are different. The differences are due, in part,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erbicides and to the absence/presence of specific carrier(s) in the phloem.

  • PDF

요인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기초 행정단위별 통행특성 분석: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vel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Unit by Factor and Cluster Analysis: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이슬기;최은진;김응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94-104
    • /
    • 2016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행정동을 특성에 따라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하여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유형별로 통행특성을 분석하여 교통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인천광역시의 행정동은 5개의 군집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이 발달한 행정동은 승용차를 이용한 출근통행량이 많고 장거리통행이 높게 나타나 출근시차제 및 신호운영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업이 발달한 행정동은 대중교통 이용율이 높고, 장거리의 출근 및 쇼핑 통행량이 많은 특징이 있어 도로의 인프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인구가 밀집된 행정동은 출근 및 등교통행의 비율이 높고 통행시간이 긴 특징이 있어 출퇴근 시간의 교통개선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의 특성이 복합적인 행정동은 도보를 이용한 행정동 안에서의 통행이 높은 특징이 있어 보행환경개선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전철역과의 접근성이 높은 행정동은 자전거 이용이 높고 쇼핑 및 등교통행이 많은 특징이 있어 접근성 강화를 위한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ITS 기반 PVD를 활용한 실시간 고속도로 강수정보 수집에 관한 연구 (A Study to Provide Real-Time Freeway Precipitation Information Using C-ITS Based PVD)

  • 김호선;김승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33-146
    • /
    • 2021
  • 오늘날 도로의 기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기상관측 지점의 관측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상관측 지점 인근의 도로 기상상태를 도로관리자와 도로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강수량 수집지점과 기상정보 제공 대상 도로와의 거리와 자연지형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정확한 기상정보의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C-ITS로부터 수집되는 PVD(Probe Vehicle Data)에 포함되어있는 수집시간, 좌표정보, 와이퍼 정보 등을 활용하여 노선 전체에 걸쳐 실시간 강우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존 지점 단위의 기상청 강우 정보제공의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한다. C-ITS 기반 PVD로부터 추출된 와이퍼 정보와 기상청 기반 정보를 비교해본 결과 강우강도에 관계없이 두 정보는 대체로 유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당 누적강수량이 많아질수록 일치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도로의 기상정보 제공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C-ITS 기반 PVD를 활용했다는 점과 향후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될 것으로 예상되는 PVD의 새로운 활용방안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ontrol Method for Minutely Rainfall Data)

  • 김민석;문영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19-326
    • /
    • 2015
  • 수자원 설계 및 홍수 예 경보 등을 위한 수문분석 시, 강우자료는 필수요소이다. 현재 수문분석 시 비교적 장기간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상청, 국토교통부 등의 지상기상관측지점(SSS, Surface Synoptic Stations)에 시 강우자료를 이용하고 있으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실정과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향후에는 더욱 조밀한 관측망을 구성하고 있는 방재기상관측지점(AWS, Automatic Weather Stations)의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는 자동으로 관측되고 있어, 자료품질에 대한 문제점이 매번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청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관리방안은 크게 3단계로 결측치 품질관리, 이상치 품질관리 그리고 강우 보완 품질관리로 구분하여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와 시 단위 강우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강우 품질관리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 시, 강우자료 품질관리 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