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linear model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4초

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및 침출성 중금속 함량을 이용한 비소의 전함량 예측 (Model Development for Estimating Total Arsenic Contents with Chemical Properties and Extractable Heavy Metal Contents in Paddy Soils)

  • 이정미;고우리;;류지혁;김지영;김두호;김원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20-924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otal contents of arsenic (As) by stepwise multiple-regression analysis using chemical properties and extractable contents of metal in paddy soil adjacent to abandoned mines. The soil was collected from paddies near abandoned mines. Soil pH, electrical conductively (EC), organic mater (OM), available phosphorus ($P_2O_5$), and exchangeable cations (Ca, K, Mg, Na) were measured. Total contents of As and extractable contents of metals were analyzed by ICP-OES. From stepwise analysis, it wa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extractable As, available phosphorus, extractable Cu, exchangeable K, exchangeable Na, and organic mater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otal contents of As in soil (p<0.001).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have been established as Log (Total-As) = 0.741 + 0.716 Log (extractable-As) - 0.734 Log (avail-$P_2O_5$) + 0.334 Log (extractable-Cu) + 0.186 Log (exchangeable-K) - 0.593 Log (exchangeable-Na) + 0.558 Log (OM). The estimated value in total contents of A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easured value in soil ($R^2$=0.84196, p<0.0001). This predictive model for estimating total As contents in paddy soil will be properly applied to the numerous datasets which were surveyed with extractable heavy metal contents based on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before 2010.

하천유량의 추계학적 모의발생에 관한 연구(I) -하천유량의 Simulation 모델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tochastic Generation of Synthetic Streamflow Sequences(I) -On the Simulation Models of Streamflow-)

  • 이순탁
    • 물과 미래
    • /
    • 제7권1호
    • /
    • pp.71-77
    • /
    • 1974
  • This paper reviews several different single site generation models for further development of a model for generating the Synthetic sequences of streamflow in the continuous streams like main streams in Korea. Initially the historical time series is looked using a time series technique, that is correlograms, to determine whether a lag one Markov model will satisfactorily represent the historical data. The single site models which were examined include an empirical model using the historical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random component, the linear autoregressive model(Markov model, or Thomas-Fiering model) using both logarithms of the data and Matala's log-normal transformation equations, and finally gamma distribution model.

  • PDF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Failed Fuel Rods in Operating PWRs Using Diffusion and Kinetic Models

  • Lee, Sang-Kyu;Tak, Nam-IL;Kim, Yang-Seok;Chun, Moon-Hyun;Sung, Ki-Bang;Kang, Duck-Won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97-102
    • /
    • 1996
  •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failed fuel rods bused on the primary coolant activity in operating PWRs has been developed. This method deals with both the diffusion and the kinetic models. In case of small or medium cladding failures, the diffusion model which can consider different sizes of failure is used, whereas for large cladding failures the kinetic model is used. From the kinetic model, the release-to-birth rate ratio (R/B) is represented as a linear function of the number of failed fuel rods. This has been done by expressing the escape rate coefficient in terms of the slope of log(R/B) versus $log\;{\lambda}$. The present method has been applied to the cases of 26 cycles of several nuclear power plants for which ultrasonic testing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sent method gives better predictions than the existing computer codes such as IODYNE and CADE.

  • PDF

Kubelka-Munk이론에 기반한 사염직물의 최적화된 구조-색채모델링 (Optimized Structural and Colorimetrical Modeling of Yarn-Dyed Woven Fabrics Based on the Kubelka-Munk Theory)

  • 채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03-515
    • /
    • 2018
  • In this researc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d colorimetrical modeling of yarn-dyed woven fabrics was conducted based on the Kubelka-Munk theory (K-M theory) for their accurate color predictions. In the K-M theory for textile color formulation,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denoted K and S, respectively, of a colored fabric are represented using those of the individual colorants or color components used. One-hundred forty woven fabric samples were produced in a wide range of structures and colors using red, yellow, green, and blue yarn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previous two-dimensional color prediction models by considering the key three-dimensional structural parameters of woven fabrics, three three-dimensional K/S-based color prediction models, that is, linear K/S, linear log K/S, and exponential K/S model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hree-dimensional color prediction models, the color differences, ${\Delta}L^*$, ${\Delta}C^*$, ${\Delta}h^{\circ}$, and ${\Delta}E_{CMC(2:1)}$,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colors of the samples were calculated as error values and then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two-dimensional models. As a result, three-dimensional models have proved to be of substantially higher predictive accuracy than two-dimensional models in all lightness, chroma, and hue predictions with much lower ${\Delta}L^*$, ${\Delta}C^*$, ${\Delta}h^{\circ}$, and the resultant ${\Delta}E_{CMC(2:1)}$ values.

통계적 공정관리(SPC)를 이용한 무한고장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에 대한 접근방법 연구 (Assessing Infinite Failure Software Reliability Model Using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 김희철;신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85-92
    • /
    • 2012
  • 소프트웨어의 디버깅에 오류 발생의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이 제안되어 왔다. 무한고장 모형과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에 의존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을 이용하면 모수 추정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를 시장에 인도하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조건부 고장률이 중요한 변수가 된다. 유한 고장 모형은 실제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특성화 문제, 특이점의 감지, 선형 추정, 시스템의 안정성 연구, 수명을 테스트, 생존 분석, 데이터 압축 및 기타 여러 분야에서의 사용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통계적 공정 관리 (SPC)는 소프트웨어 고장의 예측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신뢰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컨트롤 차트는 널리 소프트웨어 산업의 소프트웨어 공정 관리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본 논문에서 NHPP에 근원을 둔 로그 포아송 실행시간 모형, 로그선형 모형 그리고 파레토 모형의 평균값 함수를 이용한 통계적 공정관리 차트를 이용한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음향 장면 분류를 위한 경량화 모형 연구 (Light weight architecture for acoustic scene classification)

  • 임소영;곽일엽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6호
    • /
    • pp.979-993
    • /
    • 2021
  • 음향 장면 분류는 오디오 파일이 녹음된 환경이 어디인지 분류하는 문제이다. 이는 음향 장면 분류와 관련한 대회인 DCASE 대회에서 꾸준하게 연구되었던 분야이다. 실제 응용 분야에 음향 장면 분류 문제를 적용할 때, 모델의 복잡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경량 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경량 딥러닝 모델이 필요하다. 우리는 경량 기술이 적용된 여러 모델을 비교하였다. 먼저 log mel-spectrogram, deltas, delta-deltas 피쳐를 사용한 합성곱 신경망(CNN) 기반의 기본 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원래의 합성곱 층을 depthwise separable convolution block, linear bottleneck inverted residual block과 같은 효율적인 합성곱 블록으로 대체하고, 각 모델에 대하여 Quantization를 적용하여 경량 모델을 제안하였다. 경량화 기술을 고려한 모델은 기본 모델에 대비하여 성능이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성능을 보였지만, 모델 사이즈는 503KB에서 42.76KB로 작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로그선형모델을 이용한 팔당호 유입지류 수질의 연속성 시뮬레이션과 경향 분석 (Continuity Simulation and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ies in Incoming Flows to Lake Paldang by Log Linear Models)

  • 나은혜;박석순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336-34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남, 북한강 그리고 경안천으로부터 팔당호에 유입되는 유기물 및 영양물질농도의 연속성 예측을 위하여 단순로그선형모델과 다변수 로그선형모델이 함께 적용되었으며, F-검정과 결정계수에 기초하여 산정된 모델의 유의성과 유효성이 검토되었다. 검토 결과 단순로그선형모델은 산정된 9개의 모델 중 4개 모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다변수 로그선형모델의 경우에는 9개 모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결정계수 또한 다변수 로그선형모델의 경우에 더 높게 예측되었다. 즉 팔당호 유입 수질 농도의 연속성 예측과 경향성 파악을 위해서는 다변수 로그선형모델의 적용이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변수 로그선형모델 결과에 기초하여 팔당호 유입수질의 유량 의존성, 경향성, 계절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지류에서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팔당호로 유입되는 BOD 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N과 TP의 경우에는 BOD와 달리 유량이 증가하더라도 농포는 증가 또는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개 지류 유역에서 유기물을 배출하는 주요 오염원은 점오염원인 반면 영양물질의 경우에는 점오염원 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 역시 주요 배출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1995턴부터2000년까지 모든 지류에서 팔당호로 유입되는 BOD농도의 증감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남한강과 북한강으로부터 팔당호로 유입되는 TP의 경우 1988년부터 1994년까지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본 연구의 대상 기간인 1995년 이후에는 이러한 증가 추세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반면 경안천으로부터 유입되는 TP농도는 연간 10%정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북한강으로부터 팔당호로 유입되는 TN농도는 연간 10%정도 감소하는 반면 남한강과 경안천으로부터의 유입 농도는 각각 연간 3%와 7%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질 농도의 계절별 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팔당호로 유입되는 3개 지류의 유기물 및 영양물질 농도는 모두 계절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중 가장 작은 변동폭을 갖는 수질항목은 총 질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자료를 활용한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 개발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Mobile Phone Data)

  • 곽호찬;송지영;이인묵;이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8-104
    • /
    • 2018
  • Macroscopic accident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to incorporate transportation safety into long-term transportation planning. In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 exposure variable(e.g. a settled population) have been used as fundamental explanatory variable under the concept that each trip will be subjected to a probable risk of accident. However, a settled population may be embedded error by exclusion of active population concep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develop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concept of including a settled population and active population) collected from mobile phone data. The concep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is introduced utilizing exposure variable as explanatory variable in a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with assumption of a negative binomial error structure. The goodness of fit of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each models using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 variables. Also, log transformation models are additionally developed to improve the goodness of fit. The results show that the log transformation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 is useful for captu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ident and exposure variable and generally perform better than the models using other existing exposure variables. The developed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 can be used to guide transportation safety policy decision makers to allocate resources more efficiently for the regions(or zones) with higher risk and improve urban transportation safety in transportation planning step.

산화망간-이산화티탄계의 결함구조 및 전기전도메카니즘 (Defect Structure and Electrical Conduction Mechanism of Manganese Oxide-Titanium Dioxide)

  • 김규홍;최재시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8-134
    • /
    • 1982
  • 0.40, 0.80 및 1.60 mol %의 산화망간을 함유한 이산화티탄의 전기전도도를 $10^{-8}\;to\;10^{-1}$ atm의 산소분압하에서 100 ~ 400$^{\circ}$C 및 1100 ~ 1300$^{\circ}$C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일정한 산소분압하에서 측정된 전기전도도 값을 온도의 역수에 대하여 도시한 결과 저온 및 고온 영역에서 직선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0.18 및 3.70eV이다. 전기전도도의 산소분압 의존성은 저온영역에서 -1/6이며 고온 영역에서 -1/4이다. 저온 영역과 고온영역에서의 결함구조가 각각(Vo-2e') 및 $Ti^3$임을 밝혔으며 전기전도 메카니즘과 가능한 전도띠 모델이 제안되었다.

  • PDF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한 머리전달함수 모형화 기법의 성능 비교 (Comparison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Model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황성목;박영진;박윤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642-653
    • /
    • 2008
  • 이 연구는 중앙면 상에서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여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머리전달함수의 모형화 기법들을 다룬다. 시간영역의 머리전달함수, 복소수 값의 머리전달함수, 확장된 머리전달함수, 로그 크기의 머리전달함수에 기반하여 각각 주성분 분석법을 수행하여 얻은 네 가지 머리전달함수 모형들에 대해서 최소자승오차 관점에서 모형화 성능을 비교하고, 모형들간의 이론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모형화에 사용되는 기저함수의 수가 동일하다면, 시간영역에서의 머리전달함수 혹은 확장된 머리전달함수에 기반한 모형이 복소수 값의 머리전달함수에 기반한 모형보다 최소자승오차 관점에서 더 효율적인 모형화 성능을 지닌다. 시간영역에서의 머리전달함수에 기반한 모형과 확장된 머리전달함수에 기반한 모형은 이론적으로 동일한 모형이며 서로 푸리에 변환 관계가 있다. 로그 크기의 머리전달함수에 기반한 모형은 다른 모형들과 모형화 성능 및 이론적인 관계를 비교할 수가 없는데, 이는 로그 크기의 머리전달함수에 기반한 모형은 머리전달함수의 크기 정보만을 로그 크기로 다루는 반면에 다른 모형들은 선형 크기로 머리전달함수의 크기와 위상정보를 모두 다루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