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oregional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4초

구인두 암에서 방사선 치료의 효과 ; 단일기관의 경험 (The Effects of Radiotherapy for Oropharyngeal Cancer ; A Single Institutional Experience)

  • 최은철;김옥배;오영기;김미영;여창기;변상준;박승규;김진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2-67
    • /
    • 201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and effectiveness of radiotherapy for oropharyngeal cancer. Material and Methods : Forty seven patients in oropharyngeal cancer treated with radiotherapy between November 1989 and October 2010. Conventional radiotherapy was performed until July 2007 and conformal radiotherapy was performed since August 2007. Median age of patients was 59. Thirty five patients were males. Nine patients had operatio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were delivered median 60 Gy and patients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were delivered median 66 Gy. Median follow-up periods were 51 months. Results : Two year and 5 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78.7% and 59.9%. Two year and 5-year locoregional recurrence free survival rate was 82.3% and 72.9%. In subgroup of definitive radiotherapy, at univariate analysis for overall survival, lower N stage(p=0.01), lower stage(p=0.05) and well and moderate differentiation(p=0.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univariate analysis for locoregional recurrence free survival, lower T stage(p=0.02) and better differentiation(p=0.04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atment failure occurred in 12 patients. Locoregional recurrence(8 patients) was main pattern of failure. Conclusion : When definitive radiotherapy compared with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to compare definitive radiotherapy with postoperative radiotherapy. N stage, stage and differentiation could be the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and T stage and differentiation could be the prognostic factors for locoregional recurrence free survival in patients treated definitive radiotherapy.

Reirradiation of head and neck cancer in the era of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patient selection, practical aspects, and current evidence

  • Kim, Yeon Si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1호
    • /
    • pp.1-15
    • /
    • 2017
  • Locoregional failure is the most frequent pattern of failure in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nd it leads to death in most of the patients. Second primary tumors occurring in the other head and neck region reach up to almost 40% of long-term survivors. Recommended and preferred retreatment option in operable patients is salvage surgical resection, reporting a 5-year overall survival of up to 40%. However, because of tumor location, extent, and underlying comorbidities, salvage surgery is often limited and compromised by incomplete resection. Reirradiation with or without combined chemotherapy is an appropriate option for unresectable recurrence. Reirradiation is carefully considered with a case-by-case basis. Reirradiation protocol enrollment is highly encouraged prior to committing patient to an aggressive therapy. Radiation doses greater than 60 Gy are usually recommended for successful salvage. Despite recent technical improvement in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the use of concurrent chemotherapy, and the emergence of molecularly targeted agents, careful patient selection remain as the most paramount factor in reirradiation. Tumors that recur or persist despite aggressive prior chemoradiation therapy imply the presence of chemoradio-resistant clonogens. Treatment protocols that combine novel targeted radiosensitizing agents with conformal high precision radiation are required to overcome the resistance while minimizing toxicity. Recent large number of data showed that IMRT may provide better locoregional control with acceptable acute or chronic morbidities. However, additional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before a definitive conclusion can be drawn on safety and effectiveness of IMRT.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 구제 치료 결과 (Salvage Treatment for Locally Recurrent Rectal Cancer)

  • 노재명;안용찬;윤상민;허승재;임도훈;전호경;이우용;윤성현;강원기;박영석;박준오;박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03-109
    • /
    • 2006
  • 목적: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에 대한 구제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 및 치료성적을 알아보고,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으로 삼성서울병원에서 구제 치료로 방사선 치료 단독 혹은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이 병행된 4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연령은 29-72세(중앙값 59세)였고, 남녀 각각 28명(52%), 17명(38%)이었다. 최초 치료 후 무병생존기간은 3-73개월(중앙값 16 개월)이었고, 재발부위는 천골 전방 및 직장 주위 25명(56%), 문합 부위 15명(33%), 회음부 3명(7%), 골반벽 2명(4%)이었다. 구제치료로 수술이 시행된 18명(40%)의 환자 중, 14명은 수술 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행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4명은 방사선 치료만을 받았다. 수술을 받지 않은 27명(60%)의 환자 중, 16명은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였고, 11명은 방사선치료만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37.5-64.8 Gy (중앙값 51 Gy)를 시행하였으며, 1회 조사선량은 1.8-3Gy였다. 이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13명의 환자는 37.5-60Gy (중앙값 50 Gy), 방사선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32명의 환자는 44-64.8Gy (중앙값 51 Gy)를 시행하였다. 결과: 추적관찰기간은 구제 치료의 시작시점으로부터 2-104개월(중앙값 31개월)이었다. 5년 국소제어율과 전체생존율은 각각 49.5%와 34.3%였다. 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국소제어율이 77.0%로 나타났으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행 치료 환자에서는 35.0%, 방사선 단독 치료 환자에서는 0%였다(p=0.0009). 5년 전체생존율은 수술 받은 환자에서 52.1%,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병행 치료 환자에서 37.9%, 방사선 단독 치료 환자에서 0%로 나타났다 (p=0.0016). 최초 치료 후 재발까지 기간이 24개월 미만과 이후임에 따라 5년 국소제어율이 각각 57.5% 및 39.5%였으며(p=0.0482), 5년 전체생존율은 59.1% 및 24.9%였다(p=0.0584).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중 이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적이 있는 12명과 나머지 15명의 국소제어율과 전체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214, 0.7505). 결론: 국소적으로 재발한 직장암의 구제 치료시 가능한 한 구제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겠고, 방사선치료 단독보다는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다.

귀밑샘 악성 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Parotid Gland Malignancy)

  • 엄근용;우홍균;김재성;박찬일;김인아;김광현;이재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31-136
    • /
    • 2005
  • 목적: 귀밑샘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0년부터 2002년까지 130명의 귀밑샘 악성 종양 환자가 서울대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었고 이 중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72명의 환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는 42명, 여자는 30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46.5세였다. 점액표피양암종이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이었다. 병기에 따라서는 I, I, III, IV 병기에 각각 6, 23, 23, 20명이 해당되었다. 수술 부위의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60 Gy였고, 일회 조사량의 중앙값은 1.8 Gy였다. 결과: 5년 전체 생존율 및 10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85\%$$76\%$였다. 5년 국소제어율은 $76\%$였고 6년이 지나면서 변화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을 하였을 때, 성별,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나이, 안면신경마비증상, 병기(T 병기, N병기, 병기)는 생존율과 관련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국소제어율의 경우,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 침범여부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조직학적 유형, 종양의 크기, 신경침윤여부 및 수술의 종류는 국소제어율의 예후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귀밑샘 악성종양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우수한 성적을 확인하였다. 성별 및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에 대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고,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의 침윤이 있는 경우 국소제어율이 불량했다.

국소 진행된 직장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에 대한 효과 (Effects of Adjuvant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Following Curative Surgery in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 강기문;최일봉;김인아;장지영;신경섭;장석균;이재학;김영하;원종만;최동환;김진승;박신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21-128
    • /
    • 1997
  • 목적 : 국소 진행된 직장암 환자에서 근치적 절제술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를 시항하여 치료에 따른 합병증, 국소재발 그리고 생존율에 대한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2년 9월부터 1995년 9월까지 직장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를 받은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근치적 절제술 후 4주에서 6주이내에 시행하였으며 선형가속기 6MV와 15MV X-ray를 이용하여 주 5회, 1회 180cGy로 5-6주간 총조사선량은 5040cGy-5580cGy까지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 시작 1주와 5주째 처음 제1일부터 제4일까지 4일간 5-FU는 체표면적 $m^2$당 400mg씩 그리고 Leucovorin은 체표면적 $m^2$당 20mg씩을 정맥주사로 4주간격으로 2회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관은 2개월에서 42개월이었으며 중앙값은 24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2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78.6\%,\;70.8\%$였다. 병기에 있어 2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B_{2+3}$에서는 $93.0\%$$79.4\%,\;C_{2+3}$에서는 $76.2\%$$69.2\%$였다. 치료실패 양상은 국소재발이 $10.7\%$(3128), 원격전이가 $3.6\%$(1/28),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는 $7.1\%$(2/28)로 궁극적인 국소재발율이 $17.9\%$(5/28)였다. 병기에 따른 국소재발율은 $B_{2+3}$$C_{2+3}$의 각각 $13.3\%$(2/15)와 $23.1\%$(3/13)였다. 치료에 따른 합병증으로는 방사선 피부염은 $28.6\%$(8/28)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혈액학적 부작용으로 백혈구감소증이 $21.4\%$(6/28)에서 발생하였으나 보조적인 치료후 모두 회복되었고 치료와 관련되어 사망한 경우도 없었다. 생존율, 무병 생존과 국소재발율은,.영향을 미치는 단변수분석에서는 조직학적 분화도에 있어 잘 분화된 선암이 분화도가 나쁜 선암보다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고(p=0.04, 0.05, 0.04) 그외에서는 초기병기일수록, 종양의 크기가 5cm 이하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의 경우 근치적 절제술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직장암이 국소적으로 진행된 대상환자의 수효가 적어 향후 좀 더 환자를 모으고 장기적인 추적 결과를 살펴보아야 근치적 절제술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치료의 효율성을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The location of locoregional recurrence in pathologic T3N0, non-irradiated lower rectal cancer

  • Kim, Mi Sun;Keum, Ki Chang;Rhee, Woo Joong;Kim, Hyunju;Kim, Minji;Choi, Seohee;Nam, Ki Chang;Koom, Woong Sub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97-103
    • /
    • 201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locoregional recurrence of pathologic T3N0 (pT3N0) lower rectal cancer omitting postoperative radiotherapy (RT) and explore the potential of modification of a RT field.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3 to Nov 2011, 35 patients omitting preoperative or postoperative RT for pT3N0 lower rectal cancer were included. We defined the lower rectal cancer as the tumor with the inferior margin located below the virtual line-a convergent level between rectal wall and levator ani muscle. All patients had radiologic examinations for recurrence evaluation during the follow-up duration. Result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6.4 months (range, 1.4 to 126.1 months). Eight (22.9%) of the 35 patients had recurrence. Three (8.6%) was local recurrence (LR) only, 3 (8.6%) was distant metastasis (DM) only, and 2 (5.7%) was LR with DM. All LR were located at primary tumor sites. The overall survival rate, LR-free survival rate, and DM-free survival rate at 5 years was 79.8%, 83%, and 87%, respectively. All LR developed from tumors over 5 cm.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65). There was no other risk factor for LR. Conclusion: Even though the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had pathologically favorable pT3N0 rectal cancer, LR developed in 14.3% of patients. Most of the LR was located at primary tumor sites prior to surgery. Based on these findings, it might seem reasonable to consider postoperative RT with a smaller radiation field to the primary tumor site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whole pelvic irradiation.

국소진행된 자궁경부암에 있어서의 예후인자 분석 (Analysis of Pretreatment Prognostic Factors in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오도훈;하성환;이무송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69-76
    • /
    • 1992
  • 국소진행된 자궁경부암에 있어서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1979년 3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1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FIGO 병기 IIIA, IIIB, IVA의 환자 수는 각각 8, 134, 12명 이었고 병기에 따른 5년 국소치료율은 각각 $58\%$, $51\%$, $27\%$이었으며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57\%$, $40\%$, $25\%$, 5년 생존율은 각각 $67\%$, $51\%$, $33\%$이었다. 단변수분석에 의하면 임신 횟수, 혈색소치, 전산화단층촬영상 골반측벽 침범소견이 국소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이었고 임신 횟수, 혈색소치, 전산화단층촬영상의 골반측벽 침범소견과 함께 요로조영술상의 요로패쇄증, 전산화단층촬영상의 골반임파절 비대가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이었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산화단층촬영상의 골반측벽 침범소견 및 방광침범소견 이었다. 다변량분석에 의하면 국소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없었고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산화단층촬영상의 골반임파절 비대이었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원발병소의 크기였다.

  • PDF

국소 진행된 비인강암의 방사선-항암제 병용요법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Cisplatin Based Chemotherapy for th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ncer)

  • 손석현;김지윤;김성환;문성권;조승호;박영학;홍영선;김연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29
    • /
    • 2006
  • Objective :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tumor efficacy and toxicities of the radiation therapy(RT) combined with cisplatin-based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ncer(NPC). Materials and Methods : Fifty thre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PCs(AJCC stage II, III, IV) received curative RT and cisplatin-based chemotherapy. Duration of follow-up ranged from 5.5 to 201 months(median 50.8 months). Nineteen patients(35.8%) were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including cisplatin $100mg/m^2$ for 1 day and 5-fluorouracil $1g/m^2$ for 5 days followed by RT(Induction CTx-RT). Another 34 patients (64.2%)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CCRT) using cisplatin $100mg/m^2$(D1, 22, 43). Results : Thirty-six(67.9%) and 11(20.8%) patients achieved clinical complete response and partial response, respectively. The pattern of failure was as follows:14 locoregional recurrence(26.4%) and 7 distant metastasis(13.2%). Among them, two patients(3.8%) had both locoregional and distant failure. Median overall survival(O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PFS) were 85.5 months and 87.5 months, respectively. Five-year OS rate was 57.1%. The stage(AJCC), tumor response to chemoradiation and T stag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OS(p=0.0113, p=0.0362 and p=0.0469). The stage(AJCC), tumor response to chemoradiation were als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PFS(p=0.0329, p=0.0424). Compared to each treatment group(Induction CTx-RT vs. CCR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S and PFS(p=0.7000, p=0.8261). Grade 3-4 mucositis, nausea/vomiting and hematological toxicities were noticed in 35.8%, 11.3% and 13.2%, respectively. Delayed RT over 2 weeks was inevitable in 26.5%. Seventeen patients(50%) successfully completed planned 3 courses of cisplatin in CCRT group. Conclusions : RT combined with cisplatin-based chemotherapy in locally advanced NPC showed high response rate, good locoregional control, and survival rate. As expected, frequency of acute toxicities increased, and the patient's compliance to treatment was need to be improved. Although our data could not show additional survival benefit of CCRT compare to that of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RT, patients' accrual and further follow-up are required due to limitation of retrospective study.

고위험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High-risk Breast Cancer)

  • 이경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12-318
    • /
    • 2001
  • 목적 : 고위험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후 국소 재발율, 생존율 및 예후인자를 후향적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부터 1995년까지 유방암으로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종양의 크기가 4 cm 이상이거나, 4 cm 미만이나 액와 림프절의 전이가 있는 환자 중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앙 연령은 47세 ($31\~79$세)이었으며, 종양의 크기가 2 cm미만 1명, $2\~5\;cm$ 15명, 5 cm이상이 32명이었다. 액와림프절에 전이된 환자는 32명이었다. 흉벽과 국소림프절에 방사선치료받은 환자는 42명, 흉벽만 받은 환자는 6명이었으며 방사선량은 1일 1회(1.8 Gy)로 총 선량은 50.4 Gy이었다. 48명 중 18명$(38\%)$은 5-FU를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을 방사선치료 전 혹은 후에 투여하였다. 중앙 추적기간은 61개월이었다. 결과 : 국소 재발율은 $8\%$, 원격전이율은 $14\%$이었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63\%$, 무병생존율은 $62\%$이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67개월이었다.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IB는 $70\%$, IIIA는 $58\%$이었으며, 생존율에 미치는 예후인자는 병기이었다(p=0.0076). 결론 : 고 위험군의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국소재발율은 감소시키고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병기이었다.

  • PDF

국소재발유암의 치료성적 및 예후 인자 (Treatment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Locoregional Recurrent Breast Carcinoma)

  • 문성록;이형식;김귀언;안기정;서창옥;노준규;민진식;이경식;김병수;노재경;고은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65-71
    • /
    • 1990
  • 유방암의 일차 치료후 흉벽이나 국소임파절에 국한된 재발은 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 방사선치료는 이러한 국소재발유암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국소병변의 관해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에서 이차개발 또는 원격전이로 인해 불량한 예후를 보이므로 최근에는 다방면 병용요법을 시도하여 환자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관해율을 증가시켰다는 고들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국소 재발유암 환자의 특성과 치료결과, 치료후 실패양상,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분석하여 향후치료의 지침으로 삼고자, 1974년 부터 1986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5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32예 ($60.4\%$)가 단일 병소에, 21예 ($39.4\%$)가 다발병소에 재발하였다. 방사선치료후 31예 ($58.4\%$)에서 완전관해를 보였으나 그 중 7예는 치료부위에 다시 재발하였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27\%,\;15\%$였다. 각각의 예후인자에 대한 단일변량분석에서는 최초 수술당시의 액와임파절전이 숫자, 보조적 화학요법의 시행 유무, 경도의 유무 등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고, 다변량분석법을 통한 분석에서는 최초수술당시의 액와임파절전이의 수, 경도의 유무, 재발시 병변의 크기, 치료후 관해기간 등이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예후인자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