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estimation method

검색결과 635건 처리시간 0.032초

비콘 삼변측량을 이용한 실내 환경에서의 사용자 위치 추정 (A Study on User Location Estimation using Beacon Trilateration in Indoor Environment)

  • 임수종;성민관;윤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0-182
    • /
    • 2021
  • 본 논문은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비콘을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저전력 비콘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비콘이 가지는 RSSI 값에 가우시안 필터를 적용하였고, 필터링한 RSSI 값을 통해 거리변환 함수를 구하여 삼변측량으로 태그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다수의 비콘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서 3개의 비콘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는 8곳에 대한 위치 추정 정밀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거리오차 0.242 표준편차 ±0.097를 가지는 사용자의 위치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시설물 입지에 있어 인구 중심점 개념을 이용한 수요 규모 추정 방법 연구 (Study on a Demand Volume Estimation Method using Population Weighted Centroids in Facility Location Problems)

  • 주성아;김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2
    • /
    • 2007
  • 본 논문은 인구 중심점 개념을 이용하여 GIS 공간 모형에서 보다 정확한 수요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면적 속성의 수요 데이터와 점형 속성의 인구 중심점(population centroid)의 개념을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수요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지역 및 공간 단위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수요 데이터 이용 방법의 한계와 제한점을 보완하고 보다 정확한 수요 규모의 추정을 위해서 주택 유형별 가중치 기반의 인구 중심점 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추출된 인구 중심점을 기반으로 각 수요점의 위치와 수요 규모를 추정하고 인구 중심점과 수요 지점간의 거리 측정 방법을 통하여 실제 GIS 공간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입지-배분 공간 모형을 사례로 시설물 입지를 위한 기본적인 수요 규모와 서비스 배분을 위한 GIS 공간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Outdoor Positioning Results using Deep Learning Based LTE CSI-RS Data

  • Jeon, Juil;Ji, Myungin;Cho, Youngsu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9권3호
    • /
    • pp.169-173
    • /
    • 2020
  • Location-based services are used as core services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public services such as emergency rescue, accurate location estimation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Recently, the technology of tracking the location of self-isolation subjects for COVID-19 has become a major issue. Therefore, location estimation technology using personal smart devices is being studied in various ways, and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s to use GPS. Other representative methods are using Wi-Fi, Pedestrian Dead Reckoning (PDR),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s, and LTE signals. In this paper, we introduced a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deep learning based on LTE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data,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through an outdoor location estimation experiment using a commercial LTE signal.

2차 보간법을 이용한 전기철도 급전계통의 고장점 산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Technique for Fault Location using Quadratic Interpolation in a Parallel Feeding AC Traction System)

  • 민명환;안태풍;권성일;정호성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3호
    • /
    • pp.599-604
    • /
    • 2017
  • Nowadays reactance method is being used as a technique for fault location in parallel feeding AC traction power system. However,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 requires a large number of field tests(ground fault) which is a huge burden on the operators. This paper presents a new estimation technique using quadratic interpolation to reduce number of times for field test and improves the accuracy of fault location. To verify a new technique, we solve AT feeding circuit and model it using PSCAD/EMTDC. Finally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usefulness between a new technique and real field data.

이상치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TDOA와 FDOA 기반 이동 신호원 위치 추정 기법 (Robust Location Estimation based on TDOA and FDOA using Outlier Detection Algorithm)

  • 유호근;이재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5-21
    • /
    • 2020
  • 본 논문은 다수의 전자전 센서에서 추출된 시간지연 차이정보와 도플러주파수 차이정보를 이용하는 Two-step weighted least-squares 기반의 이동 신호원 위치 및 속도 추정 기법에서, 수집 정보의 이상치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수의 전자전 센서에서 추출되는 정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정보에 이상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데이터 융합과정에서 이상치를 배제하여 이동 신호원의 위치와 속도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치를 제외한 최소의 정상치 정보 집합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나머지 정보의 이상치 여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모의실험을 통해, 정보의 이상치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위치 및 속도 추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상치 거리정보 잡음이 20dB 이하인 경우, 이상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Cramér-Rao lower bound에 근접한 위치 및 속도 추정 정확도를 얻음을 확인하였다.

인간 적응형 가전기기를 위한 거주자 심박동 기반 신체활동량 추정 (Metabolic Rate Estimation for ECG-based Human Adaptive Appliance in Smart Homes)

  • 김현희;이경창;이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86-494
    • /
    • 2014
  • Intelligent homes consist of ubiquitous sensors, home networks, and a context-aware computing system. These homes are expected to offer many services such as intelligent air-conditioning, lighting control, health monitoring, and home security. In order to realize these services, many researchers have worked on various research topics including smart sensors with low power consumption, home network protocols, resident and location detection, context-awareness, and scenario and service control. This paper presents the real-time metabolic rate estimation method that is based on measured heart rate for human adaptive appliance (air-conditioner, lighting etc.). This estimation results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control smart appliances so that they can adjust themselves according to the status of residents. The heart rate based method has been experimentally compared with the location-based method on a test bed.

An Automatic Diagnosis Methods for Impact Location Estimation

  • 김정수;류준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01-108
    • /
    • 1999
  • 본 논문은 금속파편이 발생시 금속파편의 위치를 추정하기위한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추정 알고리즘은 자동화된 알람 구별부와 위치 추정부로 구성된다. 알람 구별부는 충격 신호인지 거짓 충격 신호인지를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위치 추정부는 충격신호로부터 충격신호의 시작점을 찾아내어 위치를 추정한다. 이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위해 원자로 Mock-up 상에서 실험한 결과 위치 추정값 과 실제 충격값이 약 10 % 이내의 오차율을 보였다.

  • PDF

GMR센서 배열을 이용한 자석팁의 2D 위치 추정 (2D Location Estimation of a Magnetized Tip Using Arrayed GMR Sensors)

  • 이승철;김정관;안중환;김화영
    • 센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95-401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magnetized tip that is inside a non-transparent space or body by using arrayed giant magnetoresistance (GMR) sensors. In general, an object located in such an opaque space can be detected using X-rays, magnetic fields, ultra-sonic sensors, etc.,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X-ray is mostly used for medical purposes but frequent exposure to it could cause harm to patients as well as doctors. In this study, how well a GMR sensor is applicable instead of an X-ray is investigated. The sensor's voltage output is experimentally fitted to distance with a relationship of 3rd degree polynomial. To detect a small magnetized tip with 900 Oe inside a human body, a 2×2 arrayed GMR sensor and a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information acquired from four sensors is developed. Evaluation tests show that the suggested method is applicable to limited cases with a distance less than 33-55 mm, and the location of a magnet tip is estimated relatively well with an error less than 1.5 mm.

Localization Algorith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Modified Distance Estimation

  • Zhao, Liquan;Zhang, Kex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5호
    • /
    • pp.1158-1168
    • /
    • 2020
  • The distance vector-hop wireless sensor node location method is one of typical range-free location methods. In distance vector-hop location method, if a wireless node A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nodes B and C at its communication range, the hop count from wireless sensor nodes A to B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at form wireless sensor nodes A to C. However, the real distance between wireless sensor nodes A and B may be dissimilar to that between wireless sensor nodes A and C. Therefore, there may be a discrepancy between the real distance and the estimated hop count distance, and this will affect wireless sensor node location error of distance vector-hop method. To overcome this problem, it proposes a wireless sensor network node location method by modifying the method of distance estimation in the distance vector-hop method. Firstly, we set three different communication powers for each node. Different hop counts correspond to different communication powers; and so this makes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distance and hop count more accurate, and also reduces the distance error between the real and estimated distance in wireless sensor network. Secondly,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distance between wireless sensor network anchor nodes and their corresponding real distance is computed. The average value of distance errors that is computed in the second step is used to modify the estimat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nchor node to the unknown sensor node. The improved node location method has smaller node location error than the distance vector-hop algorithm and other improved location methods, which is proved by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