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두경부의 악성종양(편평상피암) 환자에서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종양의 관해와 방사선치료에 의한 관해의 상호 관계 (Correlation Between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in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 박우윤;류성렬;고경환;조철구;박영환;심윤상;오경균;이용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207-212
    • /
    • 1990
  •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후 종양 관해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소정의 충분한 유도화학요법과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두경부 악성종양 환자 60예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도화학요법은 CDDP를 기본으로한 복합요법을 2 내지 3회 시행한바, 20예에서 Bleomycin+CDDP(BP), 37예에서 5-FU+CDDP(FP), 그리고 3예에서 BP/FP의 교대요법을 시행하였으며, 방사선은 병소에 따라서 65 Gy 내지 75 Gy 또는 그이상을 조사하였다.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종양의 관해율은원발병소에서는 $80\%$(48/60), 경부임파절에서는 $79\%$(31/39)였으며, 약제,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의한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조사 6개월후 원발부위에서는 $67\%$(40/60)의 완전관해를, 경부임파절에서는 $77\%$(30/39)의 완전관해를 보인바, 이를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발부위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완전관해 또는 부분 관해)를 얻었던 48예중 39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었으나($81\%$), 관해를 얻지못한 12예에서는 1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으며 ($8\%$) (p<0.0005), 경부임파절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를 얻었던 32예중 28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은 반면 ($90\%$), 관해를 얻지 못한 8예에서는 2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던바($25\%$) (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를 원발부위,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특히 T-병기중 T3, 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p<0.0005), T1, 2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 되지 않았다(0.3

  • PDF

국소진행성 두경부암에서 Docetaxel, Cisplatin, Fluorouracil 선행항암요법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메타분석 (Docetaxel-cisplatin-fluorouracil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Versu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 A Meta-analysis)

  • 황일선;박건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28
    • /
    • 2015
  • 서론: 국소 진행성 두경부암 환자에서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은 원격 전이를 줄이고, 국소병변을 줄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높이거나, 기관의 기능을 보존할 목적으로 시도된다. 선행 항암요법의 약제로 는 docetaxel, cisplatin, fluorouracil (DPF) 삼제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과 표준치료인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한 3상 연구들이 모두 선행 항암요법이 더 낫다는 결과를 보여 주지 못하였지만, 이 연구들은 충분한 환자를 모집하지 못하고 조기 종료된 불완전한 연구라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화학방사선요법과 표준치료인 동시 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하는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소진행성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화학방사선요법과 현재 표준치료인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한 5개의 3상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환자는 862 명이었고, 분석 결과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표준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반응률, 2년 및 3년 생존율, 2년 및 3년 무진행 생존율, 점막염 및 빈혈 발생 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완전관해율과 3~4도의 백혈구감소증 및 혈소판 감소증의 빈도는 선행 항암요법 시행군에서 더 높았다. 결론: 국소진행성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하는 것은 표준치료인 항암화학방사선요법에 비해 생존율 개선을 보이지 못하였다. 선행항암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특정 환자군에서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Changes in Oral Microbiota in Patients Receiving Radical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The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Kim, Jin Ho;Choi, Yoon Hee;An, Soo-Youn;Son, Hee Young;Choi, Chulwon;Kim, Seyeon;Chung, Jin;Na, Hee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3권1호
    • /
    • pp.13-21
    • /
    • 2018
  • Radiotherapy (RT) is a mainstay in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For locally advanced HCSCC,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benefits HCSCC patients in terms of better survival and loco-regional control. In this study, we evaluated changes in oral microbiota in patients, who received CCRT for head and neck cancer. Oral rinsed samples were weekly collected before and during CCRT and at 4 weeks following treatment from HNSCC patients, who had received 70 Gy of radiation delivered to the primary sites for over 7 weeks and concurrent chemotherapy. Oral microbiota changes in three patients were analyz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using 16S rRNA 454 pyrosequencing. On an average, 15,000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each sample. All sequences fell into 11 different bacterial phyla. During early CCRT, the microbial diversity gradually decreased. In a patient, who did not receive any antibiotics during the CCRT, Firmicutes and Proteobacteria were the most abundant phylum. During the early CCRT, proteobacteria gradually decreased while Firmicutes increased. During the late CCRT, firmicutes gradually decreased while Bacteroides and Fusobacteria increased. In all the patients, yellow complex showed a gradual decrease, while orange and red complex showed a gradual increase during the CCRT. At 4 weeks after CCRT, the recovery of oral microbiota diversity was limited. During CCRT,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major periodontopathogens in association with the deterioration of the oral hygiene. Henceforth, it is proposed that understanding oral microbiota shift should provide better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oral care programs for patients receiving CCRT for HNSCC.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Versus Radiotherapy Alone for Locoregion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 Yu, Hong-Sheng;Wang, Xin;Song, Ai-Qin;Liu, Ning;Zhang, Wei;Yu, 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3961-3965
    • /
    • 2012
  • Objective: To compare the clinical effects of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with those of radiotherapy in treating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Stage III~IVa). Methods: A total of 95 patients suffering from nasopharyngeal carcinoma (Stage III~IV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Group CCRT, n=49) and radiotherapy (Group RT, n=46). The two groups were both delivered conventional fractionated radiotherapy, while Group CCRT also received three cycles of PF (DDP+5-Fu) or PLF (DDP+5-Fu+CF) chemotherapy. Results: The complete remission rate and total remission rate of Group CCRT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up RT ($X^2$=4.72~7.19, P<0.05). The one-year overall survival (OS) rate calculated by the life table method,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Group RT ($X^2$=4.24, P<0.05) as well as the 3-year OS rate, nasopharyngeal control rate and cervical lymph nodes' control rate ($X^2$=4.28~4.40, P<0.05). In addition, the 5-year OS and metastasis-free rates of Group CCRT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up RT and the differences were of statistical importance ($X^2$=3.96~8.26, P<0.05). However, acute toxicity was also obviously higher, the difference in gastrointestinal reactions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X^2$=11.70, P<0.05).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ould improve the remission rate, overall survival rate and locally control rate. The toxicity of concurrent radiochemotherapy could be tolerated by the patients.

Retrospective Analysis of 498 Primary Soft Tissue Sarcomas in a Single Turkish Centre

  • Duman, Berna Bozkurt;Gunaldi, Meral;Ercolak, Vehbi;Afsar, Cigdem Usul;Sahin, Berksoy;Erkisi, I. Melek Koksal;Kara, Oguz;Paydas, Semra;Gonlusen, Gulfiliz;Sertdemir, Yas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4125-4128
    • /
    • 2012
  • Background: Soft tissue sarcomas (STS) must be managed with a team involving pathologists, radiologists, surgeons, radiation therapists and medical oncologists. Treatment modalities and demographic charasteristics of Turkish STS were analysed in the current study. Material-Methods: Primary adult STS followed between 1999-2010 in Cukurova University Medical Faculty Department of Medical Oncology were analzied retrospectively Results: Of the total of 498 patients, 238 were male and 260 female. The most seen adult sarcomas were leomyosarcoma (23%). Localization of disease was upper extremity (8.8%), lower extremity (24.7%), head-neck 8.2%, thoracic 8%, retroperitoneal 5.6%, uterine 12.4%, abdominal 10%, pelvic region 3.6 and other regions 10%. Some 13.1% were early stage, 10.2% locally advanced, 8.2% metastatic and 12.2% recurrent disea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oadjuvant/adjuvant (12%) or palliative chemotherapy (7.2%) and 11.4% patients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Surgery was performed as radical or conservative. The most preferred regimen was MAID combination chemotherapy in the rate of 17.6%. The most common metastatic site was lung (18.1%). The overall survival was 45 months (95%CI 30-59), 36 months in men and 55 months in women,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survival rat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 of adjuvant and palliative chemotherapy (respectively 28 versus 18 months) (p=0.06), but radical surgery at 37 months was better than 22 months for conservative surgery (p=0.0001). No differences were evident for localization (p=0.152). Locally advanced group had higher overall survival rates (72 months) than other stages (p=0.0001). Conclusion: STS can be treated successfully with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The survival rates of Turkish people were higher in locally advanced group;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multimodality treatment approach and radical surgery.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Treatments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 윤미선;안성자;남택근;송주영;나병식;임상철;이준규;정웅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151-159
    • /
    • 2007
  • 목적: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치료 결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0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 IV기로 근치적 치료를 받은 9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는 12명,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치료는 65명, 그리고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은 13명이었다. 방사선 단독군의 경우 총 방사선 선량은 $59.0{\sim}88.2$ Gy (중앙값 70 Gy)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대부분 5-FU와 cisplatin을 병용하였고, 일부 환자에서는 clsplatin을 기본으로 pepleomycin 또는 vincristin 등을 병용 투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통계적 방법으로 생존율의 산출은 Kaplan-Meier 법을, 두군의 생존율간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그리고 다변량분석에는 Cox prportional hazard model을 각각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90명 환자의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26%, 17%였다. 2년 국소종양제어율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33%,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은 32%,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8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6)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T병기,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의 유무 및 국소 치료 후 완전 관해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의 3년 및 5년 후두 보존율은 각각 26%, 22%였다. 이중 동시적 항암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시행된 11명 환자의 5년 후두 보존율은 52%로 선행화학요법이 시행된 54명의 1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2). 결론: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이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 병용방법에 비하여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방사선치료와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은 후두를 보존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종양의 방사선- 항암화학 병용요법과 방사선단독치료의 비교 (Combined Chemoradiotherapy vs Radiotherapy Alone for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정현주;서현숙;김철수;김예회;김성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9-15
    • /
    • 1996
  • 목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III, IV기 두경부종양의 방사선치료시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할 경우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요법이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치료결과와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3년 11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인제대학교부속 백병원에서 두경부종양으로 진단받고,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III, IV기의 편평상피세포종양 환자 31명(I군: 방사선 단독치료 16명, II군: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요법 15명)을 데상으로 하였다. 남녀 비는 I, II군에서 각각 12:4, 15:0 이었고 연령분포는 각각 17-74세(중앙값 64세), 34-71세(중앙값 54세)였다. 병기별 분포는 III기가 각각 5명, 3명, IV기가 11명, 12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4MV 선형가속기(LINAC)를 사용하였고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I군 50-77.6Gy(중앙값 70.2Gey), II군 50-75.6Gy(중앙값 70Gy)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cisplatin + 5-FU (7명), methotrexate + leucovorin + 5-FU + cisplatin (혹은 carboplatin) (2명), 방사선민감제로서 clsplatin (6명)이 사용되었다. 결과 : 총 추적관찰기간은 4-134개월(중앙값 16개월)이었다 전체관해율은 I군 $66.6\%$(완전관해 $53.3\%$, 부분관해 $13.3\%$), 11군 $93.3\%$(완전관해 $60\%$, 부분관해 $33.3\%$)였고, 완전관해된 환자에서 2년 종양제어율은 각각 $50\%$, $40\%$이었다. 국소실패율은 I군과 II군에서 각각 $71.5\%$, $72.7\%$이었고, 원격전이율은 $14.4\%$$9.1\%$였다. 5년 생존율은 전체 환자에서 $21.5\%$, I군과 II군에서 $23.4\%$, $23.5\%$로 두 군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3년 무병생존율 역시 $44.5\%$$4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치료에 따른 급성 부작용은 피부독성이 I군 7/16명(RTOG/EORTC 등급 1; 5명, 2; 1명, 3: 1명), II군 5/15명(등급 2: 1명, 3: 4명, 4: 1명), 식도염 및 인두염이 각각 14/16명(등급 1: 7명, 2; 6명, 3이상 1명), 6/15명(등급 2: 1명, 3: 1명), 구강점막염은 각각 6/15명(등급 1: 1명, 2: 2명, 3; 2명, 4: 1명), 9/15명(등급 2: 4명, 4; 5명)으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혈액학적 독성은 II군에서만 8/15($53.3\%$)가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항암화학 병용요법군이 방사선 단독치료군에 비해 종양의 전체관해율은 높았으나, 5년 생존율 및 3년 무병 생존율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환자의 숫자가 제한되어 있어 항암화학요법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오랜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비강 및 부비동 Non-Hodgkin's Lymphoma의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Results of the Non-Hodgkin's Lymphoma of the Sinonasal Cavity)

  • 김수곤;박경란;이창걸;서창옥;김귀언;노준규;홍원표;김병수;류삼열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97-104
    • /
    • 1987
  • 1970년부터 1980년까지 연세대학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 받은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한 NHL환자 15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병기분포는 13예가 IE 2예가 IIE였고 TNM병기에 따르면 7예가 국소병변이 진행된 T3, T4 환자였다. 2. Overall 5년 생존율을 $25\%$, IE는 $28\%$, IIE는 $0\%$였다. 3. 병기별 치료실패율은 T1, T2는 $33\%(2/6),\; T3,\;T_4는\;86\%(6/7),\;IIE$에서는 $100\%(2/2)$였다. 4. 방사선 조사량이 55Gy 이상인 경우 $100\%$의 완전 관해율을 보였으며 55Gy이하인 경우 $73\%$의 완전 관해율을 보였다. 5. 비강 및 부비동의 NHL의 Ann Arbor병기 분류와 함께 TNM 병기도 예후에 중요한 요인이 될 것 같다. 6. 국소병변이 진행된 병기 T3, T4와 IIE 환자에서는 화학요법제의 병용치료가 필요할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