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ulture

검색결과 1,707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 임산물의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따른 지역 임산물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정읍시를 중심으로 - (Effect of Consumers' Perceived Creating Shared Value on Purchasing Behavior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in Jeongeup City, Korea)

  • 오지은;이경원;강남이;조미숙;나예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21-429
    • /
    • 2021
  • Local non-timber forest products can be easily accessed by tourists. These also provide opportunities for tourists to experience the local culture. Many local governments are paying constant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non-timber forest product brand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increase the profits of local farmers. Although there are many forest products and tourism resources in each region of Korea, there is no local specialized strategy to sell non-timber forest products and promot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consumers' perceived creating shared value (CSV) and its association with purchasing behavior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in Jeongeup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066 consumers who had purchased non-timber forest products. Purchasing patterns of local specialty products differed depending on consumers' perceived CSV levels. In addition, consumers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CSV showed higher awareness and familiarity with Jeongeup city and experienced Jeongeup city's non-timber forest products. Our findings suggest that improving consumer perception towards CSV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can be used as a marketing strategy for local non-timber forest product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차사본풀이> 스토리텔링 개발 전략 연구 (The Study Establishes Development Strategies on Chasabonpuri)

  • 이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560-573
    • /
    • 2016
  • 지역의 문화콘텐츠 중에서도 지역의 신화와 전설을 자원화하려는 노력들은 십 수 년 전 부터 활발하게 벌어져 왔다. 제주지역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설화자원을 콘텐츠 상품으로 개발하려 노력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지역은 거의 없고, 축제나 지역 행사에 마스코트로 개발되는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이는 지역에 문화콘텐츠 개발 인프라 부족, 지역의 문화자원에 대한 개발 계획 부재와 이에 대한 전략적 접근도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제주지역 신화자원의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해보고자 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광주 지역문화 활성화에 끼치는 영향 : 광주시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Asia Culture Center(ACC) on Activating Local Culture in Gwangju : Focusing on the In-depth Interview of Gwangju Citizens)

  • 안혜진;이승하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99-126
    • /
    • 2020
  •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이 지역문화 활성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기존의 복합문화공간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에 대해 논하였던 선행연구들은 문헌연구법이나 양적 연구방법에 치중되어 있어 공간을 경험한 사용자들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반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깊이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향후 복합문화공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광주 소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구체적인 관점에서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화전당을 방문한 광주 거주 5년 이상 된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와 문헌 연구법을 병행한 연구 분석 결과 광주시민들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공간으로서 긍정적으로 기능한다고 인식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 인정받기에는 일부 취약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콘텐츠의 대중성이 약하고, 전당의 운영 시간이 유동적이지 않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며, 사용자가 원하는 체험 콘텐츠의 양과 질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 주요 근거이다. 따라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성공적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위상을 떨치기 위해서는 지역 내 구성원들과 협업하여 구성원들의 콘텐츠와 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조사하고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전략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Research on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improvement measure of local government

  • Young Ran Kim;JungHy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by diagnosing the current status of disaster management experts in Korea, deriv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and looking at local governments' total labor cost system. The status and status of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ocal government's disaster management response system under the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Korea. Considering Korea's reality, because national security and disaster management exist together, we devised a plan to improve on-site response capabilities and seek solutions by deriv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ly operating security and safety-related organizations.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술과 문화의 융합적 관점의 지역 건설기획단계 정책의사결정 영향요인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n Policy Decision Making Factor of Local Construction Planning Phase by Using Unstructured Data in point of the Technology and Culture)

  • 박은수;김지은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3권
    • /
    • pp.149-162
    • /
    • 2016
  • 본 연구의 배경 및 연구방법과 범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최근 복합적이고 다양한 지역건설의 요구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설을 인간의 삶과 연결시키려는 시도, 즉 건설에서의 기술적인 요소의 바탕에 문화적인 관점을 필수적인 상호 연계 요소로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역 자정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개발논리에 따른 단편적인 지역 건설이 아닌 다양한 지역 문화와의 상생을 통해 건설 문화를 현대적인 관점으로 계승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첨단 산업이 접목된 살기 좋은 지역을 건설하기 위한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건설기획단계 의사결정 과정에 대해서 기술과 문화의 융합적 관점의 관련 영향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건설기획단계의 의사결정을 수립함에 있어 지역 고유의 기술 및 문화 콘텐츠를 고려한 융합적 관점의 정책 의사결정 영향요소를 비정형 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지역 건설기획단계는 정책적 요소로서 무형(無形)과 유형(有形)의 요소들이 다양한 의미들을 내포하고 있고, 기술적인 요소들은 건설분야에서의 다양한 정성적인 요소와 정량적인 기술요소와 접목되어 있다. 건설기획단계 의사결정을 이해한다는 것은 구조, 형태, 공법 등 눈에 보이는 '기술적 요소' 뿐만 아니라, 공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투영된 삶의 방식과 시대정신, 종교와 학문 그리고 예술에 대한 지적 통찰력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문화적 요소'까지도 포함하는 총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A Study on How to Operate or Upgrade a Mobile Community Currency System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Centering on Community Currencies in Seoul and Gyeong-gi Metropolitan Areas-

  • kim, Myung-hee;Ryu, K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52-159
    • /
    • 2021
  • Small local businesses such as corner shops and street markets have been severely impact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declining consumption. A community currency is a local currency that can be used to exchange for one of the local currencies within an online community. Community currencies can be effective not only in supporting small businesses, but also in helping the local economy more vibrant, benefiting consumers in the community. An important goal of Community Currency is to foster a vibrant local economy by building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between local business owners and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existing community currencies of participating SMEs and self-employed in Seoul and Gyeonggi-do metropolitan areas contributed to commercial revitalization by category and to suggest a new or better approach to community currency operation. It also focused on presenting the best solu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obile community currencies, measures that are better than current currency operations, revitalize the community and develop the economy.

경주지역 향토음식의 성인의 연령별 이용실태 분석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 이연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77-588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current use of native local foods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421 citizens(217 males and 204 females) living in Gyeongju.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stitute' scored high as 30.6% in the main responsible body for the succession of local foods. The most emphasized points to popularize the local foods was to 'taste'(36.4%). a point to be considered to develop tourism product of the local foods was to 'development of recipes acceptable to the people of today'(24.6%). The recognition rate score of native local foods of Gyeonngju area was 'Hwangnamppang', 'Hanjeongsik', 'Ssambap', 'Haejangguk', 'Hoe(Gampo)', 'Memilmukmuchim', 'Gyodongbeopju', and 'Yugoa' in the order.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rate score for 'Ssukgulrei', 'Borisudan', 'Dalraikkakdugi', 'Hwanggeumju', 'Baesuk', 'Gyeojachae', 'Gungjungjeongol' was very low. The preferred and intake native local foods of Gyeongju area was 'Hanjeongsik', 'Ssambap', 'Hoe(Gampo)', 'Haejangguk', 'memilmukmuchim' in that other.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Ssukgulrei' 'Borisudan', 'Hwanggeumju', 'Baesuk' and 'Dalraikkakdugi' was very low.

A Study on the Hakka Children's Hats of South Jiangxi Province in China

  • Zhang, Shunai;Huang, Liyun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2권2호
    • /
    • pp.202-209
    • /
    • 2009
  • Hakka is a very special sub-ethnic group in China, which was formed during several migrations in Chinese war history. Today the majority of Hakka people, living in the boundary between Jiangxi, Guangdong, and Fujian province, still keep a quite old custom and culture. The bell hat for children is a unique and splendid illustration. We have imposed researches and studies in local area a lot and interviewed the local crafts-women to get to know more about bell hat. We are trying to describe the decorations on the bell hat, silver items and embroidery respectively, and then give an overall analysis of Chinese auspicious culture that the motifs of decorations have contained.

  • PDF

스토리텔링을 통한 충남향토음식 개발 연구 - '무령왕 수라상'과 '몽유도원 밥상'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Chungcheongnam-do by Storytelling)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0-28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amiliarize people with the native local food of Chungnam Province by developing its regional food as a culture resource. Native Local Food Search and luxury itemization based on regionally-characterized stories enhances self-perception of the national culture, promotes appropriate local images to the public, and contributes to the local economy by increasing regional tourism.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local stories of cultural significance, that is, those connected to the history and originality of Chungnam Province, and developed contents related to Chungnam native local food. Features of the native local food were introduced by a story telling method in order to appeal to the five senses. The story was compo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food, and the brand image of Chungnam was developed based on representative historical stories of the reg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were developed as representative images of Chungnam: 'Royal meal table of King Moo-ryung' in Kongju was presented by recomposing the story of King Moo-ryung, a famouns king of the Baekje era; 'Mong-yoo-do-won's rice meal table' was introduced via Mongyoo-do-won's painting by Kyeon An, a famous painter of the Chosun era who was born in Seosan. The 'Royal meal table of King Moo-ryung' was set with food made from local farm products, demonstrating the flavor and elegance of the Baekje era. 'Mong-yoo-do-won's rice meal table' resembled Kyeon An's Mong-yoo-do-won-do, which has a background featuring early spring. The rice table was designed to remind people of a flamboyant painting like a scattered peach blossom leaf in the early spring. To verify the health effectiveness of each rice table, the function of each ingredient was investigated through 'Sik-ryo-chan-yo:a dietary treatment', which was published by Soon-Ui Cheon during the Chosan era.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of ingredients are certainly beneficial to health, as was recognized in the early Choson era.

지역브랜드의 현황과 인지도에 관한 연구 -충남의 지역브랜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tuation and awareness of local brand -focus on Chungnam local brand-)

  • 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225-230
    • /
    • 2018
  • 지역 브랜드는 지역의 인지도와 지역 농산물의 마케팅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브랜딩이 관심을 갖고 추진하고 있다. 지역 브랜드는 지역의 매력을 가장 정확하고 뚜렷하게 나타내 줄 수 있는 대표성, 선명성이 있어야 하며, 지역의 특성과 이미지를 가장 잘 연상, 전달할 수 있는 지역성과 차별성을 갖추어야 한다. 지역브랜드는 그 유형에 따라 지역정체성 브랜드와 지역산물 브랜드로 구분이 가능하며, 자연자원형, 문화자원형, 상품자원형, 서비스자원형으로도 유형이 구분되기도 한다. 충청남도의 경우 많은 지역산물에 포커스를 맞춘 지역브랜드를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의 지역산물 브랜드의 경우 아직 그 인지도와 신뢰도가 낮아서 지역의 대표성, 이미지를 충분히 커뮤니케이션 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는 것이 앞으로의 지역브랜드 성공을 위한 과제로 대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