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Tourism Association, Stakehold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메콩델타지역 농촌관광의 공급자 네트워크: 티엔장성(省) 터이선 섬을 사례로 (Stakeholder Networks Supplying Rural Tourism in The Mekong Delta, Vietnam: The Case of Thoi Son Islet, Tien Giang Province)

  • 챠우 곡 민 호앙;김두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3-444
    • /
    • 2013
  • 베트남 특히 메콩델타지역은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관광객 수가 증가해 왔으며, 특히 터이선 섬은 이 지역의 대표적 농촌관광지 중 하나로 주목받아 왔다.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서 관광개발이 이루어질 때, 관광 자본의 성격(역외/역내)에 따라 공급자들이 어떻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터이선 섬의 주요 관광공급자는 크게, 호치민시의 여행사, 지방 여행사, 지역 주민 및 행정기관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호치민시의 여행사와 지방 여행사는 관광객(관광 수요)와 지역 주민(관광 공급)을 이어주는 중심적 연결자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호치민시의 여행사와 지방 여행사간의 네트워킹은 서류상 계약(공적 네트워킹)이 지배적인 반면, 지방 여행사와 지역 주민간의 네트워킹은 서류상 계약(공식 네트워킹)과 구두상 계약(비공식 네트워킹)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한편, 지역 주민간의 네트워킹에서는 가족, 친구, 근린관계에 기반한 비공식 네트워킹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방 여행사간 또는 터이선 관광의 최종 목적지이며 지역 주민들에 의해 운영되는 과수 농원(tourist sites) 간에는 어떠한 협조적 네트워킹도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공급자 간의 네트워킹의 일차적 동기는 가격 경쟁이며, 그 결과 터이선 섬 관광 수입의 대부분이 호치민시의 여행사로 누출되며, 지역내 공급자에게는 일부분만이 돌아가는 수입 분배의 불균형이 나타났다. 즉, 지역내 공급자간의 치열한 경쟁이 호치민시의 여행사와 관광 업무 체결시 교섭력을 발휘할 수 없게 하고 있었다. 최근 지역내 관광 공급자들의 연합조직으로 관광협회가 설립되었지만, 주요 공급자가 아직 가입하고 있지 않으며, 지역내 공급자들의 교섭력을 높이는데는 역부족인 것으로 보여진다.

  • PDF

환대관광산업 소규모기업 사회적 책임활동(CSR): 회사 홈페이지 커뮤니케이션 분석을 중심으로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 안영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7호
    • /
    • pp.73-83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SR activities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in South Korea. Since previous research on CSR activities has considerably focused on large enterprises whereas small enterprises have relatively less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and their CSR activ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opulation of interest for this study was social enterprises registered i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2016), and it was used to verify the social enterprises which has a certification for social enterprises. From 1672 companies in total, the sampling frame was a database with 117 compani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This study investigates social enterprises' CSR activities on the company's official websites (e.g., company reports, magazines, the news articles, and interviews). The websites of the selected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were analyzed for examining CSR activities by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ll of the CSR activities in small social enterprises were classified into six dimensions based on the stakeholder theory.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117 small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specific CSR initiatives. A total of eight main business lines were identified: 1) fair travel, 2) leisure/sports, 3) accommodation/camping, 4) medical tourism, 5) exhibitions/art events/cultural events, 6) leisure activ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7)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8) ecotourism/agricultural tourism. The CSR initiatives were classified into six dimensions: 1) environment, 2) employment, 3) multicultural families and vulnerable social groups, 4) local community, 5) economic prosperity, and 6) product.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e special CSR initiative examples of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Small social enterprises participate in CSR activities mainly related to their own business lines. Moreover, these enterprises are more closely embedded in their local community development, job creation and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and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traditional heritage preserv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they can contribute to enrich CSR with literature for small enterprises in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지역사회기반관광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영향요인 연구 : 고령군관광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The Influential Factor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Community based tourism : Case Study of Goryeong-county Tourism Association)

  • 강신겸
    • 지역과문화
    • /
    • 제6권2호
    • /
    • pp.1-23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관광 진흥주체로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지역관광협의회를 대상으로 협력적 거버넌스 설립 과정과 운영 실태, 성과를 중심으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고령군관광협의회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로 관광협의회 운영진, 참여 관광사업자,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과정에서 제도적인 환경, 특히 지역사회의 관광육성 욕구와 지자체 단체장의 리더십이 설립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협의회 참여자들이 기대하는 편익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협의회 운영과정에서 회원 참여와 상호 교류 정도는 아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국의 리더십과 전문성이 조직을 조기에 정착시키는데 기여하였으며,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향후 수익사업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군관광협의회는 설립이후 지역축제 개최와 관광객 유치활동을 추진하며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향후 협의회 운영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형성 및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자율성 보장, 이해관계의 협력적 조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지역사회 지지와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역할과 리더십, 조직의 명확한 역할과 기능 제시,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기대편익 제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Socio-Economic Factors and Rural Competitive Advantage: The Moderating Role of Economic Literacy

  • RUSTANTONO, Hendra;SOETJIPTO, Budi Eko;WAHJOEDI, Wahjoedi;SUNARYANTO, Sunaryant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151-159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ty behavior in improving competitive rural tourism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role of economic literacy in mediating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rural competitive advantage. This research followed an explanatory resear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cluding socio-economic variables and rural tourism competitive advantage. The data was gathered by conducting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tourism businesses, stakeholders, and the local village government, and related agencies as respondents. Furthermore, the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inductive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rom all variables used, solely the environmental impact variable did not affect economic literacy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rural tourism. The moderating variables showed that the economic literacy mediates the economic impact on rural tourism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socio-cultural impacts on rural competitive advantage tourism, and the stakeholder involvement affects rural competitive advantage tourism. However, economic literacy failed in mediating between environmental impacts on rural competitive advantage tourism. This is due to the 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economy of the community around the tourist attractions it will increase the business around the tourist attractions that have an impact on environmental damage around the tourist att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