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Theme Science Museu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지방테마과학관의 실태분석 및 특성화방안 고찰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Consideration of Specification Pla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 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9
    • /
    • 2009
  • Through 'Local Theme Science Museum' aid program that is one of emphasis promotion strategic project by 2007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raises status of scientific technique by national core ability because all people expand base that understand and support scientific technique, and forms a social atmosphere which is scientific technique is important which scientific technique can be spread widely on national life and society whole, and proceeds target that expand local science museum facilities by a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and popularization. Accordingly, to pla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utilize to an advanced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because offer a science culture experience opportunity to local inhabitants,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is doing for that establish more 100 science museums for national.public.private institution in whole country until 2012 year. Support 39 projects to 2008 from 1999 thereby, in January, 2009, 13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opened and operated. This study examined arrangement preferentially about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that is background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Since surveying science museum which is on opening and operation at the present and analyzed actual conditions and facilities and investigated specification necessity and directio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Hereafter, to seek plan for propriety of project by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purpose of this study. Now, need set and promotion of following specification direction for right activation of proceeding 'Local theme science museum' by each area. First, differentiation of theme and justifiability of building, Second, propriety of site position, Third, maximization of synergy effect by mixing concept of 'Specialized Economic Zone for Regional Developmental Policy' and Ecomuseum's 'Theme center'.

  • PDF

장소 마케팅을 위한 지역 상징적 테마와 이미지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 일본 테마전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ymbolic Regional Themes and its Expression Methods for Place Marketing - Focused on the Theme Museums of Japan -)

  • 박혜경;김정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67-276
    • /
    • 2003
  • 본 연구는 장소 마케팅 전략인 지역 특성화를 위해서 적절한 지역 상징적 테마의 발굴과 이의 효과적 이미지 표현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최근 20년간 일본 지역 테마전시관에 나타난 지역 상징적 테마와 이의 표현 기법을 조사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향후 국내의 지역 상징적 테마 특성과 표현 방법과의 비교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목적을 가진다. 사례 조사 분석의 결과, 자연지형과 생태, 인공시설, 유적과 유물 등 물리적 유형과 지역산업, 지역문화, 지역인물, 역사사건 등의 사회 문화적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전시관에 부여된 지역 상징적 테마를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으로 재현, 은유, 환유, 상징 등의 표현기법 사례들이 나타났다. 특히 90년대 후반부로 올수록 다양한 지역을 상징하는 테마적용이 증가하고 더욱 강한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었다.

  • PDF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변화와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 -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을 중심으로 - (Changes in Exhibitions on the History of Balhae in Russian Museu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Narratives - with the focus on the Federal State Budgetary Institution of Culture "The Vladimir K. Arseniev Museum and Reserve of Far East History" -)

  • 정윤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54-79
    • /
    • 2024
  • 본 연구는 한국의 발해학계에서 박물관 전시를 인식하는 논점이 중국에만 편중되어온 공백을 메우기 위해 작성되었다. 따라서 러시아 박물관에서 개최된 발해사 전시구성 및 운영정책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여, 국가 간 발해사 이해를 넓힐 수 있는 해석과 표출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에 러시아의 발해사 전시를 대표하는 아르세니예프 V.K 국립극동역사보호지구 통합박물관의 상설전시 및 기획전시를 대상으로 시론적 연구를 시도해보았다. 우선 전시구성을 살펴보면, 상설전시는 지역사의 통시적 구성으로, 제1회 및 2회 기획전시는 러시아과학원 주요 소장유물을 포함한 발해사 주제별 구성으로 기획되었다. 전시 운영정책은 박물관 운영규정, 전시 운영인력, 전시 홍보전략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시가 개최된 배경과 역할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발해사 전시 개최 분기에 따른 지역사회의 정치·사회·문화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상설전시 개편분기에는 국제정상회의 개최지역에 대한 역사인식을 제고하고, 제1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다양한 정책주체들에 의해 한·러 합작 문화관광 현안을 견인하였으나, 제2회 기획전시 분기에는 국내외적 외교전략 변화 등과 맞물려 홍보 및 연계행사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추론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지역사 교과서 및 발해사 개설서를 분석틀로 삼고 전시 내용과 상호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시대별 내러티브에서는 교과서에서 분리되었던 말갈족과 발해국의 통합 연출이 확인된다. 주제별 내러티브 중 정치사 주제에서는 변방의 말갈족 전사 대신 발해의 중앙 관리로 연출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발해 영역도는 실증적인 조사자료 축적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물질문화 주제에서는 농업·수렵을 보여주는 동식물유체 자료의 보강을 제안해보았고, 대외 관계 주제에서는 통일신라 교류와 투르크계 주민 구성을 시사하는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사상문화 주제에서는 고구려 국가제사의례와 관련된 내러티브가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학계에서 아직 주목하지 못했던 새로운 자료이므로 추후 논의가 필요함을 지적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러시아 박물관의 발해사 전시 연구에 대한 공백을 메우고, 전시가 변화해온 맥락과 전시 내러티브의 특징을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