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Security Autonom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Multilevel Security Management for Global Transactions

  • Jeong, Hyun-Cheol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ITC-CSCC -2
    • /
    • pp.735-738
    • /
    • 2000
  • The most important issue in database security is correct concurrency control under the restrictive security policy. The goal of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is to keep security and provide many concurrent users with the high availability of database.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security environment of multidatabase system with replicated data. The read-from relationship in the existed serializability is improper in security environment. So, we define new read-from relationship and propose new secure 1-copy quasi-seriailzability by utilizing this relationship and display some examples. This security environment requires both the existed local autonomy and the security autonomy as newly defined restriction. To solve covert channel problem is the most difficult issue in developing secure scheduling scheme. The proposed secure 1-copy quasi-serializability is very proper for global transactions in that this serializability not violates security autonomy and prevents covert channel between global transactions.

  • PDF

자치경찰 지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e Officer of the Determinants to Desire Turnover Local Autonomy Police)

  • 석청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10호
    • /
    • pp.149-171
    • /
    • 2005
  • 우리나라에서는 해방이후 여러 차례 경찰의 민주성 확보 차원에서 자치경찰 논의는 있었으나 시행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현 참여정부에서는 2006년부터 본격적인 자치경찰제 시행을 앞두고 금년 10월부터 시범운영을 하려고 하고 있다. 현재 추진 중인 자치경찰 모형은 국가경찰과 병렬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인 시${\cdot}$${\cdot}$구에 자치경찰대를 창설하고 기초자치단체장들이 자치경찰에 임명권을 가지며 이중 현행 국가경찰공무원들을 특별임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 하에 현행 국가경찰공무원들이 자치경찰은 어느 정도 지원하려고 하며 어떤 요인이 자치경찰 지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가경찰공무원들이 자치경찰의 지원희망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경찰 지원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보수가 유리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현행 경찰조직 보다 덜 관료적이고 민주적일 것이라는 조직분위기에 대한 기대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승진이나 근무여건의 유리, 더 나은 사회적 대우에 대한 기대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보안성을 갖는 1-사본 준직렬성을 위한 전역트랜잭션 스케쥴링 (Global Transaction Scheduling for One-Copy Quasi-Serializability with Secure Properties)

  • 정현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99-108
    • /
    • 2009
  • In the security environments of heterogeneous multidatabase systems, not only the existing local autonomy but also the security autonomy as a new constraint are required. From global aspects, transactions maintain consistent data value when they assure serializability. Also, secure properties must protect these transactions and data values to prevent direct or indirect information effluence. This paper proposes scheduling algorithm for global transactions to ensure multilevel secure one-copy quasi-serializability (MLS/1QSR) in security environments of multidatabase systems with replicated data and proves its correctness. The proposed algorithm does not violate security autonomy and globally guarantees MLS/1QSR without indirect information effluence in multidatabase systems.

중앙-지방 정부간 보건행정기능 및 재원의 효율적 배분방안 (Optimal Distribution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betwee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 양봉민;김진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3-56
    • /
    • 1992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i) to review the functional and financial distribution of public health adminst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i) to find out, based on economic criteria, optimal distribution required to fullfil local need for public health, and finally, (iii)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health area in face of the newly arising local autonomy system in Korea. Judging from data on government expenditures and tax revenues,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in Korea is highly concentrated into central government, both functionlally and financially. High dependency of public health on central government has often been critisized that local residents can not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local health problems. This study, however, shows that localization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efficient and equitable allocation of resource to satisfy local demand for public health. From this point of view, two eccnomic criteria are suggested, i.e. external effect and economies of scle, as distributive criteria of roles in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betwee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In addition, superiority of central concentration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to localization is emphasized in that public health in a wide sense contains the nature of public good and is part of compulsory socil security system. As a consequence, planned intervention by government is desirable.

  • PDF

Fiscal Policy Effectiveness Assessment Based on Cluster Analysis of Regions

  • Martynenko, Valentyna;Kovalenko, Yuliia;Chunytska, Iryna;Paliukh, Oleksandr;Skoryk, Maryna;Plets, Iv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7호
    • /
    • pp.75-84
    • /
    • 2022
  • The efficiency of the regional fiscal policy implementation is based on the achievement of target criteria in the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own financial resources of local budgets, reducing their deficit and reducing dependence on transfers. It is also relevant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autonomy of regions in the course of decentralisation of fiscal relations. The study consists in the cluster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fiscal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context of 24 regions and the capital city of Kyiv (except for temporarily occupied territories) under conditions of fiscal decentralisation. Clustering of the regions of Ukraine by 18 indicators of fiscal policy implementation efficiency was carried out using Ward's minimum variance method and k-means clustering algorithm. As a result, the regions of Ukraine are grouped into 5 homogeneous clusters. For each cluster measures were developed to increase own revenues and minimize dependence on official transfers to increase the level of financial autonomy of the regions. It has been proved that clustering algorithms are an effective tool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fiscal policy implementation at the regional level and stimulating further expansion of financial decentralisation of regions.

지방자치제에 따른 보건의료사업을 위한 보건소 모델개발연구 (Policy Development on Health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Era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

  • 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1-126
    • /
    • 1999
  • As the WTO system launches through the agreement of Uruguay Round, the Government has to revise the office regulations or reform the system. Also, Integrating and Coordinating the like affair in health care (i. e., children's home, industry health, school health, health manpower, the administration of health center, the administration on food hygiene, health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o on.) which is now scattered into some government departments like the Ministry of Labor,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Government has to prevent unspecialty, inefficiency, inconsistency, and uneconomy. The Government has to review and adopt above suggested the Proposal 1),2),3),4) of the Health Centers on the basis of the local autonomy law and it will help the successive settlement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Korea. According to the suggested proposal, the Central Government mainly takes charge of the Macro affairs as hardware, and transfer the Micro affairs as software into the Local Governments to attempt the appropriate functional allocation. To achieve it successfully, the Central Government also has to do the financial support, manpower training and technical support, alloca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direction and contro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the health care plan on the macro level. Local Governments which divided into the wide local government and basic local government also have to do their best for health improvement of the community societies like plan of health care program, implementation of health care service program, taking charge of the affairs of health insurance, activation of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curity of health care resources etc. To achieve this goal, the Government have to be more active and reformative, the related social and health agencies and educational agencies have to cooperate and support for the goals, and especially, the community residents have to participate actively and voluntarily, When all these conditions promote, local health care administration will be developed, and health level of community residents will be secured. And going one step forward, the country and people will be more healthy

  • PDF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ELIS의 자치법규서식 개선방안 (Improvement Method of ELIS Local Laws and Regulations Format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최철재;이영식;이태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017-102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기초자치단체 18기관 가운데 4개 주요시에 대하여 자치법규의 개인정보 요구 실태를 파악하였다. 자치법규정보시스템(ELIS)을 활용하여 지자체의 자치법규에서 별지서식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슈퍼키인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여 거부감이 있는 스마트폰 번호, 자택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 요구가 심각한 상태로 조사되었다. 개선방안으로 PIMS 준수와 개인정보 자동검색엔진의 시급한 개발을 제안하였다.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한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자치경찰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troduce Measures for Local Government Activation Local & Municipal Police - Focus on Jeju Local & Municipal Police Case -)

  • 유상용
    • 시큐리티연구
    • /
    • 제41호
    • /
    • pp.327-356
    • /
    • 2014
  • 지방자치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역사회의 주인인 주민의 복리증진이다. 주민의 복리증진은 주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보호활동의 대부분은 경찰의 기능이다. 따라서 주민의 복리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치경찰이 개념적으로 전제가 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에 뿌리를 두고 지역사회를 위하여 활동하는 자치경찰활동은 경찰과 지역사회를 재결합시켜주는 것이며, 지역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치경찰활동은 범죄와 무질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을 동반자로 인식하며 지역사회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지역주민 자체의 노력의 표현이다. 자치경찰이 전면적으로 도입될 경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그동안 준비해 온 여러가지 대안들을 면밀히 검토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을 마련하여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우선적으로는 자치경찰을 도입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즉, 자치경찰의 도입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국가경찰과 자치경찰, 여당과 야당,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의 보이지 않는 주도권 다툼이 아니라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진정으로 지역주민들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 PDF

사회안전망구축과 시민문화 및 지역사회결속의 관계 (Relation of Social Security Network Building, Civil Culture and Community Unity)

  • 신상태;김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3_2호
    • /
    • pp.59-70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안전망구축과 시민문화 및 지역사회결속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7월 15일부터 9월 15일 까지 서울지역(강동, 강서, 강남, 강북) 일반 시민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 400명을 표집 하였다.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33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 하였으며,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안전망구축은 시민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자율방범활동이 활성화 될수록 질서준법정신은 높아진다. 지자체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참여의식은 높아진다. 자율방범활동 거리CCTV시설 경찰치안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관용정신은 높아진다. 반면, 거리 CCTV시설은 시민들의 자율성을 감소시킨다. 둘째, 사회안전망구축은 지역사회결속에 영향을 미친다. 거리CCTV시설 경찰치안서비스 범죄예방설계가 활성화 될수록 안정감은 높아진다. 지자체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 범죄예방설계가 활성화 될 수록 공동체의식은 높아진다. 자율방범활동 지자체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 범죄예방설계가 활성화 될수록 지역사회제도는 높아진다. 셋째, 시민문화는 지역사회결속에 영향을 미친다. 참여의식 관용정신이 활성화 될수록 안정감 공동체의식 지역사회제도는 높아진다. 넷째, 사회안전망구축은 지역사회제도에 직접적으로는 낮게 영향을 미치지만, 시민문화를 증대시켜 준다면 지역사회 결속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

지방자치단체 자체 복지사업 지출 영향요인 분석 :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한 접근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Welfare Spending of Local Authority : Implementing the Detailed Data Extracted from the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 김경준;함영진;이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1-156
    • /
    • 2013
  • 그 동안 한국 사회에서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복지사업과 재정지출에 대한 연구는 장애인, 노인, 보육 등 복지사업 대상 등을 중심으로 부문별 복지지출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가 대부분 이루어져 왔다. 최근 지자체의 자체적인 복지노력도 측면에서 자체 사업에 대한 연구가 특정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는 하고 있지만, 자료에 대한 접근과 조사의 한계로 여러 요인이 실증적으로 고려되지 못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내기 어려웠다. 현재 우리사회의 복지예산과 그 지출규모는 국가 예산의 30%에 이를 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복지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위해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하는 지방재정시스템이 아닌 사회보장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지자체 복지재정 지출과 관련, 기존 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전수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조사를 실시하여 학문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은 복지전달체계의 효율화를 위해 구축되었으며, 이를 통해 17개 부처 292개 복지사업이 집행되며, 230개 지자체 4만여 개 복지사업의 정보가 관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지자체 복지사업을 중심으로 지자체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 복지노력도로 대변되는 순수 시 군 구 복지예산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기존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지역 경제적 그리고 지자체 재정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독립변수 요인간 다중공선성 문제를 점검하였고,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수급자 비율, 영유아 비율, 아동청소년 비율, 복지비 비율, 구인배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의 총 7개 독립변수와, 소속 정당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여 결정요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기본모델에서는 복지비 비율, 영유아 비율,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구인배율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존 문헌에서 분석되지 못했던 시 군 구별 복지지출 영향요인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복지예산 총량 데이터에 근거한 기존 연구들이 논의하지 못했던 자체 복지사업 예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혀내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