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Lighting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3초

자동차 차체부품 CO2용접설비 전수검사용 비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Vision System for the Complete Inspection of CO2 Welding Equipment of Automotive Body Parts)

  • 김주영;김민규
    • 센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9-184
    • /
    • 2024
  • In the car industry, welding is a fundamental linking technique used for joining components, such as steel, molds, and automobile parts. However, accurate inspection is requir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welding compon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etection of weld beads using 2D image processing in an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The sample image is obtained using a 2D vision camera embedded in a lighting system, from where a portion of the bead is successfully extracted after image processing. In this process, the soot removal algorithm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curate weld bead detection, and adopts adaptive local gamma correction and gray color coordinates. Using this automatic recognition system, geometric parameters of the weld bead, such as its length, width, angle, and defect size can also be defined. Finally, on comparing the obtained data with the industrial standards, we can determine whether the weld bead is at an acceptable level or not.

학교시설 디자인 품질지표에 대한 설문 연구 - 교사, 학교직원, 교육청담당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urvey Research Design Quality Indicators for the Educational Building - Focused on Teachers, School Personnel and Education Office Supervisor -)

  • 조경식;아이게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3-1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appropriateness of using design quality indicators for the educational building, and complements for design quality indicators. For doing this, each items of the Korean educational building design indicator was validated by teachers, school staff and an education officer. First, School Personnel and Teachers considered indicators for the classroom designed for general subjects as being valid. However, in terms of indicators for the outside space, they thought of them as not being valid. In particular, it seemed that school staff would have a passive attitude toward the open of the school facility for the local society. It is judged that there happens an adverse effect caused by the open of the school facility for the local societ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chool. Second, Education Office Supervisors thought that eco-friendly indicators, LED lighting, an outer wall, and widows and doors had a high validity. On the contrary, he viewed the validity of a rainwater retention basin as being low, which was likely because he rarely had expertise on the construction. When it comes to the indicator of technology capability, ultrahigh-speed information network was seen as being valid, and the indicator of economic feasibility had high validity on maintenance and durability. Third, compared to groups of Teachers and School Personnel, the group of education officers presented high validity of indicators. Validity of indicators might be differently showed because different items on indicators were measured. However, it is speculated that Education Office Supervisors mostly acknowledged the validity of indicators. Fourth, a majority of Teachers, School staff, and Education Office Supervisors were favor of the system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for school facilities since it played a guide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In order to settle the system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for school facilities, it is most important that institutions in the local society which are publicly reliable should participate in the phase of designing the system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for school facilities. In sum, overall respondents agreed with the system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for school facilities but were aware that reliable organizations in public would need to take part in planning the system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for school facilities from the beginning.

$\cdot$$\cdot$주별 열에너지 소비절약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 강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4
    • /
    • 1981
  •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1) if energy consumption and conservation vary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with independent variables-size of household, homemaker's age, employment, and level of education, level of living, type of house, electricity use, and all energy use, and 2) if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Questionnaires wee given to the randomly selected homemakers in Seoul in July, 1980. Data from 620 responses were analyzed by F-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lothing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 clothing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a) they did not practice in wearing heavy under clothes and behavior outer clothing to cope with cool room temperature in the winter, b) they did not use bleach for laundry, but they used boiling method, and c) they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n Permanent Press finish.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evel of living and homemakrer's level of education. a) The higher the level of living, the higher scores in the knowledge were found. b) the higher the homeakcer's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scores in the knowledge and ironing were obtained. 2. Food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n food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scientific cooking methods were not performed such as a) to use measuring spoons, cups, and timers, b) to practice a simple method in using solor energy for warming water, c) to use thermos for the hot water tea or coffee, but they boiled water whenever necessary, and b) to use the pressure cooker whenever possible.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foo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memaker's employment and type of dwellings. a) The scores of full-time homemakers (not gainfully employed) were higher than gainfully employed homemakers. b) Families in traditional Korean dwellings reveal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apartment or western style dwellings. 3. Housing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n housing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a) they did not install fans in the kitchen, bathroom, and attic in the summer, b) they did not install a humidifier for tolerating a lower room temperature in the winer, c) they did not practice to make plans fo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remained open for the shortest time, d) they did not install or use a local lighting with a general lighting for reading and cooking, and e) they usedaluminum foil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heat reaction of its shiny and dull sides.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hous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memaker's employment and level of education, economic status, types of dwelling, and all energy use, a) Full-time homeakers had higher scores than gainfully employed homeakers. b) the higher the homemaker's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s status, the higher scores were obtained. c) Homeakers with their own house scored higher points than those with rented houses. And families in apartment or row houses scored higher points than those in traditional korean or western style dwellings. d) The higher the consumption rate of electricity and all energy, the higher scores were revealed. 4. corre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 clothing, food, and housing.

  • PDF

지방도시에 입점하고 있는 종합슈퍼와 백화점에 대한 점포이미지 비교 분석 (A Study of the Images of General Supers and a Department Store in a Local City)

  • 김창곤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6호
    • /
    • pp.17-26
    • /
    • 2012
  • 도농 복합형태인 인구 30만인 순천시에 종합슈퍼와 백화점 등 대규모점포 4개가 운영 중인 것은 대규모점포의 과잉공급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순천시는 전남 동부권의 교통요지로서 광양시, 여수시, 보성군 및 구례군 등 인근 지역에서 1 시간 이내에 점포방문이 가능하다. 4개 점포는 도시와 농촌 지역의 거주자도 고객층으로 간주하여 차별화된 점포이미지 구축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13개로 세분하여 각 점포의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점포이미지는 진열 상품의 다양성 및 품질, 점포 접근성, 매장 분위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는 고객들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각자에게 인지되고, 점포를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대분류 5개 소분류 13개로 분류하였다. SPSS Ver. 19를 이용한 요인분석에서는 5개로 대분류된 점포이미지가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어 추출되었다. 5개 대분류에서 편의성, 분위기 및 서비스 이미지로 분류된 이미지들이 첫 번째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이를 본 연구에서는 부대서비스 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5개 분류에서 편의성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접근성과 상품관련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상품다양성과 가격 이미지는 같은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는 점포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 대도시인가 또는 지방 중소도시인가, 설문 조사에 응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13개 이미지 변수에 대해서 점포간 및 응답자간 점포이미지 비교에서는 접근성, 가격, 브랜드 이미지 및 조명/음향 이미지에서 점포별 및 응답자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도농복합형태의 지방 중소도시 거주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점포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교통체증 정도, 응답자 집단의 생활수준 등에 따라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 도시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전통시장이 열리고 있으며, 대규모점포와 전통시장은 상품의 종류, 가격 등에서 경쟁을 하고 있다.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과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다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도시 소재 점포와 지방 중소도시 소재 점포와의 동시 조사로 점포이미지에 대한 상대적 비교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동일 지역에서 대규모점포 이용 고객과 준대규모점포 또는 전통시장 이용 고객층에 대한 상대적 비교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교실의 주광 조명환경과 철판의 눈부심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ylight Illumination Environment of a Classroom and a Glare Phenomenon on the Blackboard)

  • 임윤빈;장우진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2-48
    • /
    • 1996
  • 계절별로 태양의 위치와 강렬한 광선에 의한 칠판의 눈부심 현상은 교실내 조도가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복도쪽과 창쪽의 앞줄 학생에게는 많은 시각 장애를 주어 판서를 읽을 수 없는 상태에까지 이르고 있으며 흐린날과 비오는날은 교실 조도가 매우 낮아 수업을 하기에 매우 어려운 상태에 이르고 있다. 학교에서는 자리배치를 획일적으로 키순으로 정하고 있는데 거리에 따른 시력인지도가 차이가 나서 뒷자리 학생은 시책이 1.0인데도 불구하고 1.0이하로 시력이 저하되고 창쪽과 복도쪽의 앞줄 학생은 눈부심 현상에 따른 판서의 인지도(시력)가 매우 낮아 학습효과가 반감되고 학습의욕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학교 건물의 구조 변경과 칠판의 위치변경 및 재질향상을 시키며 칠판에 대한 국부적인 조명시설을 해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자리를 획일적으로 키순으로 배치할 것이 아니라 일정한 주기로 바꿔 주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영상합성을 위한 3D 공간 해석 및 조명환경의 재구성 (3D Analysis of Scene and Light Environment Reconstruction for Image Synthesis)

  • 황용호;홍현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5-50
    • /
    • 2006
  • 실 세계 공간에 가상 물체를 사실적으로 합성하기 위해서는 공간 내에 존재하는 조명정보 등을 분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에 대한 사전 교정(calibration)없이 카메라 및 조명의 위치 등을 추정하는 새로운 조명공간 재구성 방법이 제안된다. 먼저, 어안렌즈(fisheye lens)로부터 얻어진 전방향(omni-directional) 다중 노출 영상을 이용해 HDR (High Dynamic Range) 래디언스 맵(radiance map)을 생성한다. 그리고 다수의 대응점으로부터 카메라의 위치를 추정한 다음, 방향벡터를 이용해 조명의 위치를 재구성한다. 또한 대상 공간 내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전역 조명과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영향을 주는 방향성을 갖는 지역 조명으로 분류하여 조명 환경을 재구성한다. 재구성된 조명환경 내에서 분산광선추적(distributed ray tracing) 방법으로 렌더링한 결과로부터 사실적인 합성영상이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카메라의 사전 교정 등이 필요하지 않으며 조명공간을 자동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조명변화에 강인한 MCT와 프레임 연관성 기반 실시간 얼굴인식 시스템 (Real-Time Fac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Illumination-insensitive MCT and Frame Consistency)

  • 조광신;박수경;심동규;이수연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123-134
    • /
    • 2008
  • 본 논문은 조명 변화에 강인한 실시간 얼굴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에서는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도 강인한 얼굴 영상의 지역적 구조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이용하여 외형기반 얼굴인식 방법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간 얼굴인식 시스템의 경우 연속적으로 영상을 획득하는 동안 발생하는 블러링 된 영상, 측면영상 등 얼굴 인식에 적합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인식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잘못된 인식 결과들을 제거하고, 프레임 사이의 연속된 인식 결과를 고려하여 인식결과를 출력함으로써 결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알고리즘의 조명변화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Yale database를 사용하여 기존 외형기반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의 인식률이 기존 방법보다 20% 정도 향상 되었다. 또한 연속적으로 영상을 취득하는 시스템에서 제안한 방법의 얼굴 인식 성능을 평가한 결과 매 프레임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에 비해 안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농촌 청소년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Study Rooms in the Youth of an Agriculture Village)

  • 김현지;전경선;이인효;안옥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농촌 청소년 공부방을 대상으로 조명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부방의 평균 공간의 크기는 11.42[$m^2$]이며, 주로 광원은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조명사용방법은 전반조명만 이용하는 경우가 73.8[%]이며, 배광방식은 직접조명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스탠드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는 45.7[%]이었으며, 국부조명인 스탠드를 사용하는 비율은 전체 조사대상의 20[%]에 지나지 않아 시작업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내부공간 조도는 평균 131.82[lx]이며, 책상면 조도는 253.64[lx]로 최저허용조도의 42.3[%]에 해당하는 열악한 실정이었으며, 균제도는 평균 35.61[%]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의 조명환경에 비해 만족도는 3.93점으로 높아 조명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블러와 조명 변화에 강인한 k-means 클러스터링 기반 고속 바코드 정보 추출 방법 (Robust k-means Clustering-based High-speed Barcode Decoding Method to Blur and Illumination Variation)

  • 김근준;조호상;강봉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8-6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블러와 조명 변화에 강인한 바코드 디코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디코딩 방법은 블러에 강인 디코딩과 빠른 연산속도를 위해 블러 영역과 비블러영역을 나누어 임계값을 연산하는 부분 지역 임계값 이진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노이즈 데이터에 의한 인식 실패를 막기 위해서 동일한 엘리먼트 개수를 가지는 라인의 픽셀 너비를 모두 합한 면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군집분류를 수행하는 k-means 알고리즘 기반의 디코더를 구현하였다. 다양한 악조건 환경에서 촬영된 샘플을 이용하여 실험 결과, 평균 98.47%로 높은 성공률을 보였으며 3개의 비교 프로그램 보다 성공률이 높았다.

UV 형광과 X-선 Lang 표면이미지를 이용한 천연유색다이아몬드의 감별 연구 (Identification of natural colored diamonds using UV fluorescent and X-ray Lang images)

  • 김준환;하준석;김기훈;송오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540-3545
    • /
    • 2009
  • 보석용 다이아몬드의 합성, 처리기술의 발달로 천연 유색다이아몬드를 신속하고, 경제적이고, 재현성있게 감별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 천연다이아몬드의 감별을 위해 UV광원에 의한 다이아몬드의 형광 이미지 분석과 X-ray Lang 분석을 통하여 4개의 천연 유색다이아몬드와 1개의 합성 유색다이아몬드를 분석하여 보았다. 천연다이아몬드가 UV 형광이미지와 X-선 Lang분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균일한 이미지를 보임에 비해 합성석은 국부적으로 균일한 이미지를 보여 효과적인 감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X-선 Lang 이미지 분석이 천연 유색다이아몬드의 감별에 더 높은 분해능으로 효과적인 감별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