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Broadcasting Servic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클러스터링 기반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 (Efficient Service Discovery Scheme based on Clustering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강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3-128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네트워크상의 서비스를 자동으로 발견하고 서비스는 자신의 능력을 광고할 수 있는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링 기반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과 P2P 캐슁 기법을 혼합하여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노드 ID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 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검색한다. 또한 서비스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P2P 캐쉬를 기반으로 이웃 노드의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 검색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안된 기법은 노드의 부하를 가중 시키며 병목 현상을 일으키는 중앙 서버를 사용하지 않고 많은 쿼리를 생성하는 플러딩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이용하는 주고받는 메시지수를 줄이고 평균 탐색 거리를 줄임으로서 전체 네트워크 로드와 응답 시간이 성능 향상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 이득우;조병상;황호성;김세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53-158
    • /
    • 2017
  • 최근 급속히 진화하고 있는 정보기술 융합과 더불어, 관광분야에 지역 상권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창조관광 모델이 요구된다. 창조관광모델 실현수단으로서, 공간정보, 콘텐츠, 게임, 디바이스, 무선인터넷과 같은 여러 산업분야의 핵심 기술 융합을 통해 지역 관광객 증가 및 상권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틀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방문객 맞춤형 투어 가이던스를 제공하며, 아웃도어를 대상으로 동기부여 재미 경쟁 보상과 같은 게임화된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한다. 본 서비스 플랫폼은 지역 관광객 증대 및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게임화된 새롭고 즐겁고 유용한 창의적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창출 및 제공할 수 있는 틀이며, 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스마트 폰 서비스 실증 구현 모델을 제시한다.

디지털 시대 농촌지도 방법의 효율화 방안;지도매체로서의 인터넷 방송의 활용 구상을 중심으로 (Planning for Efficiency of Agricultural Extension in the Digital Age)

  • 성종환;정한모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2호
    • /
    • pp.307-320
    • /
    • 2000
  •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Korea need to build new extension system to cope with the digital age and especially with shortage of extension educators which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changing status from central to local government. The new trends including development of multi-media, wide-spreading of internet, and advent of internet broadcasting are offering the opportunities for new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be a new alternative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support decision making of farmers by forwarding unique agricultural data which have been collected, compiled and process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armers will be able to search useful agricultural data through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for more efficient farm management and marketing farm products.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utilize more prompt and abundant agricultural technology and management data compil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rough this process,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compensate the shortage of extension manpower. Through feedback process of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farmers will be able to communicate more efficiently with extension educators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ncome. Agricultural Internet broadcasting could be an alternative to prevent farmers from being shunned in the information-based society.

  • PDF

MPEG-2 디지털 방송을 위한 송출 스케줄링 시스템 (A Scheduling System for MPEG-2 Digital Broadcasting)

  • 방진숙;황경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40-246
    • /
    • 2008
  • 영상압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아날로그 영상은 디지털 신호로 표현 및 저장이 가능해졌고 MPEG-2 표준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영상 전송을 위한 표준이 제정되어 디지털 방송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디지털 방송을 통한 경제적 파급 효과가 부각되면서 가치사슬의 기대효과로 인해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존의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 방송으로 서비스를 전환해 가고 있다. 그러나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 System Operator)들은 고화질의 디지털영상인 Full HD(High Definition)급 방송 프로그램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난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요 방송사에서 송출하고 있는 HD급 공중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분석을 통해 각각의 채널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이를 재편성하여 케이블 방송 가입자들에게 재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지자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를 이용한 1:1 맞춤형 노인 스마트폰 교육 서비스 설계 (Design of Education Service for 1:1 Customized Elderly SmartPhone using Generative AI applicable in Local Governments)

  • 추민영;박연우;허수진;노승현;허원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33-139
    • /
    • 2024
  • 초고령사회로 인한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해 지자체에서 고령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법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1 대 다수 교육의 한계, 고령자의 학습 효과 미비 등의 문제점이 있어 스마트폰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고령자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환경 등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교육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교육용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해당 연구의 앱은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사용에서 어려워하는 부분을 파악해 사용자별로 다른 문제를 제공해 개인 맞춤형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기존의 지자체 교육과 연계해 사용한다면 1:1 교육, 시간, 그리고 내용 면에서 효율적인 스마트폰 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cused on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 Gangwondo-

  • Kim, Sun-Ok;Park, Sung-Yong;Lee, Hee-Ch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5호
    • /
    • pp.983-997
    • /
    • 2010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provide the citizens with administrative services. Heighten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ntributes the citizens' happiness and the stream of times through organizations' change. To provide high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 to citizens, trust in organization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apital.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needs through this social capital. Factors about trus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s are extracted through the theoretical discussions. To do the research, public servants in 7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Gangwondo were asked to do the survey about how trust in organizations affects organizationa performances. The results explain that trust variables are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hich is high in trust is high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rust in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mprove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nally and the organization will obtain trust from the citizens externally.

지상파DMB에서 끊김없는 프로그램의 전환을 위한 스플라이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licer for Seamless Swiching between Programs in the Terrestrial DMB)

  • 이용훈;이진환;이광순;이수인;김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A호
    • /
    • pp.537-545
    • /
    • 2006
  • 본격적인 지상파DMB 서비스가 시작됨에 따라, 중앙 또는 다른 방송국으로부터 들어오는 방송신호를 재송신하던 도중에 지방의 방송국에서 필요한 지역광고 및 특정 프로그램을 보내고자 하는 경우에 스플라이싱 기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MPEG-4 및 MPEG-2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지상파DMB에서 효율적인 스플라이싱을 위해 요구되는 신호 흐름에 대해 제안하며, 지상파DMB에서 신호 전송 시 사용되는 앙상블스트림으로의 재구성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계된 DMB 스플라이싱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스플라이서를 통해서 전송스트림을 스위칭했을 때, 수신기에서 영상을 디코딩하여 비교함으로써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지역매체로서의 중계유선방송(RO)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RO as a Local Media)

  • 남종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3-223
    • /
    • 2008
  • 본 논문은 유선방송산업의 두 축인 중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방송간의 도입배경과 산업적 차이를 밝히고 현재 처해 있는 경쟁현황을 분석한 후, 상대적으로 사장되어 가고 있는 중계유선방송의 매체적 가능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중계유선방송은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해소를 위하여 도입되었으나 난시청이 어느 정도 해소된 이후에는 지역밀착형 특성을 지닌 매체로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반면에 종합유선방송은 정부의 유선방송산업 활성화 정책에 의하여 탄생하여 법적 제도적 보호아래 케이블TV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중복된 시장영역을 가질 수 밖에 없는 두 매체의 특성과 종합유선방송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산업적으로 열악한 상태의 중계유선방송 산업은 재허가 또는 신규사업이 매우 제한적이거나 아예 불가능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최근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다매체 다채널의 무한경쟁 시대의 도래는 더 이상 어느 한 매체를 보호 육성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매체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살려서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니치미디어의 보급이 요구되어진다. 우리나라의 지역매체는 현재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여 있다. 이러한 지역매체의 어려움을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계유선방송이 어느 정도 덜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해본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계유선방송 사용자의 고객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계유선방송은 현재 도서산간이나 벽지 등에서 주로 서비스를 하고 있으나 향후 이를 확대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 PDF

시청자 특성, 미디어 이용과 위성 DMB의 수용 : 지역 시청자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The TV Audience's Traits, Media Usage and the Adoption of the Satellite DMB : Focus on th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Local TV Audience)

  • 이시훈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8권
    • /
    • pp.141-169
    • /
    • 2005
  • 본 연구는 새로운 뉴미디어로 부상하고 있는 위성 DMB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시청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미디어 이용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령별로 고연령층이, 학력별로 고학력 계층이, 자동차 운전 여부에 따라서는 운전자들이 위성 DMB 가입 의향이 상대적으로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사무/관리직이나 경영/관리/전문/자유직과 같은 화이트칼라 계층의 가입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가족 소득은 중간 정도인 집단의 가입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미디어 이용과 휴대폰 서비스 이용 정도에 따른 위성 DMB 가입 의향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기존 미디어를 많이 이용하는 시청자가 가입 의향이 높았으며, 휴대폰부가 서비스의 기능도 많이 이용한다는 응답자들이 위성 DMB의 가입 의향이 높았다. 추가적으로 선호하는 장르와 지상파 재전송이 지역방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응답자들은 위성 DMB의 영상과 음성 서비스는 오락적 성격이 강한 장르를 선호하고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는 정보적 성격이 강한 장르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일 지상파 재전송이 허용된다고 해도 지역방송에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 PDF

지상파 UHD 방송 MMT/ROUTE기반 브로드밴드 콘텐츠 삽입 기술 (Broadband Content Insertion Technology based on Terrestrial UHD Broadcasting MMT/ROUTE)

  • 김두환;이동관;김규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329-340
    • /
    • 2019
  • 최근 국내 지상파 UHD(Ultra-High Definition) 방송과 같은 고품질 AV(Audio-Video)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그에 맞춰 방송 기술도 진화하게 되면서 방송 표준 또한 새롭게 정의하게 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콘텐츠가 해당 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있다. 그에 맞춰 국가 및 지역적 환경 등에 맞춰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안인 콘텐츠 삽입 기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지상파 UHD 방송의 전송 표준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ROUTE(Real 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및 MMT(MPEG Media Transport)를 기반으로 방송망과 통신망의 이종 망 환경 하에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Event Signaling 표준을 활용한 콘텐츠 삽입 서비스 시스템 모델 및 동기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해당 서비스가 방송 표준을 만족하는 환경에서 동작함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