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anionic polymeriz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TBMA)Macromer를 그라프트시킨 음이온성 아크릴 공중합체의 합성과 물성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BMA)Macromer Grafted Anionic Acrylic Copolymer)

  • 김형욱;노시태;강신춘
    • 공업화학
    • /
    • 제4권3호
    • /
    • pp.627-636
    • /
    • 1993
  • 마크로머를 이용한 음이온성 아크릴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음이온 리빙 중합법으로 TBMA를 합성하였고 이들을 다시 MMA와 공중합 시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음이온 site 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TBMA)마크로머의 MMA의 weight 비율을 7/93, 10/90, 15/85, 20/80, 30/70, 40/60, 50/50가지 변화시켜 합성하였다. (TBMA)마크로머의 음이온 리빙 중합과정에서는 반응온도를 $-78^{\circ}C$로 유지하면서 n-butyllithium-diphenylethylene계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정지반응 단계에서는 말단에 이중결합을 도입하기 위하여 capping material로 benzaldehyde를 사용한 후, methacryloyl chloride와 반응시켰으나, 넓은 분자량 분포(1.4~1.5)가 나타났다. 또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의 TBMA는 p-toluenesufonic acid인 촉매로 가수분해하였고 중화제로 triethylamine을 사용한 중화 반응은 아크릴 수지의 음이온성을 부여하였다. (TBMA)마크로머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에 대한 측정은 GPC를 이용하였으며 TBMA의 가수분해 반응과 더불어 아크릴 수지의 이온화 반응을 IR과 NM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BMA)수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체내의 (TBMA)마크로머 분자량에 대한 가지(branch)의 길이와 TBMA함량을 관련지어 검토한 결과 분자량이 작은(TBMA) 마크로머에서는 적은 TBMA 함량으로도 안정된 수분산화 현상이 일어남을 알았다.

  • PDF

Leaching of Copper from Furnace Dust by Pure and Mixed Culture of Thiobacillus ferrooxidans and Thiobacillus thiooxidans

  • Son, Kee-Hang;Lee, Cheal-Gyu;Cho, Nam-J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0호
    • /
    • pp.1777-1780
    • /
    • 2007
  • The synthesis of well-defined dendrons based on aliphatic polyether dendritic cores and glassy polystyrene peripheries is described. The synthetic route involves a combination of living anionic polymerization and a stepwise convergent method consisting of iterative Williamson etherification and hydroboration/oxidation reactions. On the basis of molecular weight, as characteriz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he first generation dendron (Generation-1) shows a random coil conformation like a linear polystyrene, while higher generations (Generation-2 and 3) reveal globular forms in solution.

Synthesis and microphase-separated structures of rod-coil triblock polymers

  • Uchida, Satoshi;Tanimura, Kotaro;Ishizu, Koji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326-326
    • /
    • 2006
  • The combination of living anionic and coordination polymerization techniques enabled to synthesize the polystyrene-b-polyisoprene-b-poly (butyl isocyanate) triblock polymers. Their microphase-separated structures were zig-zag structures for high ${\phi}_{PIC}$ samples, and hockey-puck structures were also observed. The phase diagram for PSt-b-PIp-b-PIC rod-coil polymers was different from that for PS-PBd-PMMA triblock polymers, and it was found that ${\phi}_{PIC}$ was the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microphase-separated structures.

  • PDF

음이온 중합법 기반 P3HT-b-P4VP 블록공중합체 정밀 합성 및 이의 용매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연구 (Synthesis of P3HT-b-P4VP via Anionic Polymerization and its Physical Properties in Various Solvents)

  • 황성연;박제영;오동엽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36-341
    • /
    • 2018
  • 기존의 문헌에서는 poly(3-hexylthiophene)(P3HT) 기반의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최소 4-5단계 이상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했고, 일반적으로 분자량, 분자량 분포 및 블록의 비를 조절하기 위해서 단량체 전환율 및 반응 시간을 계속해서 모니터링 해야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이유에서 합성 스케일이 수 mg에서 수 g으로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중합법을 이용해서 P3HT-b-poly(4-vinylprydine) (P4VP)를 오직 2단계로 중합할 수 있었으며, 중합 스케일은 수십 g 정도가 가능하였다. 반응 도중 단량체 전환율 및 농도를 계속 모니터링 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초기 단량체 당량비만으로 블록 비율과 분자량 분포를 정밀 조절할 수 있었다. 만들어진 P3HT-b-P4VP를 친수성 및 소수성 용매에 녹여 분자 거동을 살펴보았다. 용액의 특성이 용액 속 미셸 구조와 필름 코팅 후 모포로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P3HT-b-P4VP의 물리적 특성은 적외선-자외선 분광분석법, 원자힘현미경 및 자외선 광전자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Induction of Single Helical Screw Sense in Poly (n-Hexyl Isocyanate) by End-capping with a Chiral Moiety

  • Nath G. Yogendra;Samal Shashadhar;Park, Sang-Yoon;Murthy C.N.;Lee, Jae-Suk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334-334
    • /
    • 2006
  • Helical polymers like polyisocyanates with single screw sense are essential to exhibit sophisticated functions like molecular recognition, self-replication, chirality memory and catalytic activity. One approach that has not been explored is the effect on handedness of the polyisocyanates through end-capping with a chiral residue. Induction of chirality in poly(n-hexyl isocyanate) was studied by end-capping with chiral (R and S) 2-bromo-3-methylbutyryl chloride(R-BMBC and S-BMBC). We have shown that a control over living anionic polymerization of HIC by using a suitable initiator afford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chiral end-groups with 100% yield and in high purity. This has resulted in helicity induction through extended lengths several orders of magnitu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