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 Streaming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3초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ic Live Streaming Performance's Service Quality on View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n-site Performance)

  • 김성경;임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0-72
    • /
    • 2020
  • 최근 라이브 스트리밍이 급부상함에 따라 클래식 공연예술의 시장범위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공연실황을 녹화하는 차원이 아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에 특화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이 클래식 공연을 홍보하고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 요인이 시청만족 및 나아가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청자 19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요인 중 실시간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영상콘텐츠성과 편의성, 가격성이 시청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시청만족은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현장공연 홍보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효과를 검증해 실질적인 전략수립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오픈 소스를 활용한 비디오 커머스용 라이브 스트리밍 서버 구축 (Implementation of Live Streaming Server for Video Commerce using Open source projects)

  • 웅얜호홍풍;최종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5-406
    • /
    • 2017
  • With the advance of ICT technology, E-Commerce is getting popular and used widely in daily life. Nowaday's commercial videos are also being used extensively to introduce commercial products to consumers. Most commercial companies are advertising their products on the internet with images and videos through online sharing sites. Putting pre-recorded videos online is easy, but it is difficult for sellers to interact with customers. Live Streaming is the transmission of digital content directly to the Internet in real time. Although there are many services available that provide live streaming on the internet, most are limited in the content they transmit. Building live streaming servers using open source projects will help users master the content which conveys to their customers. In this paper, we will consider implementation of Live Streaming Server for Video Commerce using Open Source.

  • PDF

분산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패키지 설계 (A Package Design for Multimedia Live Streaming in Distributed Environment)

  • 서봉근;김윤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90-504
    • /
    • 2006
  • 분산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라이브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플랫폼에 분산되어 있는 객체들을 제어하고, 멀티캐스트를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수의 수신자에게 멀티미디어를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객체 기술인 RMI와 멀티미디어 전송/처리에 사용하는 JMF를 확장하여 분산 환경에서 1:N 의 멀티미디어 라이브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DLS (Distributed Live Streaming) 패키지를 제안한다. 효율적인 분산 처리를 위해 전송과 제어를 분리하여 설계한 자바 기반의 DLS 패키지는 1:N의 전송을 지원하고 플랫폼 독립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SNS 정보전달 유형의 효과 -SNS 소비가치, 제품태도, 구매의도의 관계- (Effects on SNS Communication Types of Fashion Designer Brands -SNS Consumption Value, Produc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 이수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96-1011
    • /
    • 2023
  • This study introduce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SMEs and small designer brands utilizing Instagram as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The research compared the impact of two information delivery types (native advertisements vs. live streaming after native ads) and two types of promotional messages (scarcity vs. price discount) on SNS consumption value, and product attitude toward fashion designer brands. The study involved surveying 251 Korean women aged 25-55 with experience in buying designer products and using S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v3.5. Results indicated that both native advertisements and live streaming enhance economic and social values in SNS consumption. Live streaming with price discount messages generates higher perceived SNS consumption values compared to scarcity messages. Consumers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designer brand products when watching the live streaming of price discount messages rather than scarcity messages. The findings emphasize that the broadcast host actively induced participation to reveal viewers' social presence through comments or emphasized discount messages such as ultra-special prices during live streaming on Instagram.

임베디드 라이브 오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Embedded Live Audio Streaming System:ESCatcher)

  • 황기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65-172
    • /
    • 2016
  • 본 논문은 Raspberry Pi 3 임베디드 컴퓨터를 이용한 스트리밍 시스템의 구현 사례를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스트리밍은 파일 전송 방식이 아닌 라이브 스트리밍 시스템이다. 오디오 입력 단자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wav 형식으로 변환하여 서버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방송하는 푸시형 멀티스레드 스트리밍이다. 스트리밍 서버 소프트웨어는 전체 자바 언어로 구현하였기 때문에 Raspberry Pi 3 가 아닌 다른 임베디드 컴퓨터에도 수정 없이 탑재될 수 있다. 계산과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대 65여명을 동시 스트리밍 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소스로부터 청취 단말기의 재생까지의 시간 지연은 40ms 남짓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간 방송 영상 콘텐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al-time Live Video Streaming Content)

  • 스위;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251-257
    • /
    • 2021
  • 뉴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의 정보 습득 방식에 커다란 변화가 생기고 있다. 글이나 사진보다 콘텐츠 내용을 더 입체적인 전달할 수 있는 영상콘텐츠 활용이 그 변화다. 2016년 이후 실시간 라이브 방송 콘텐츠는 제공자와 사용자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Youtube Live 또는 DouyuTV를 플렛폼으로 하는 개인의 실시간 라이브 방송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개인의 실시간 라이브 방송 사례에 수록된 디지털화된 정보 내용의 특징 또는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활의 변화는 실시간 라이브 방송을 더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디지털 첨단기술을 용합한 실시간 라이브 방송은 내용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영상콘텐츠를 소비하는 대중들의 영상 소비 문화에도 다양성을 제공하여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만들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므로 향후 실시간 라이브 방송콘텐츠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패션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FLSC)의 속성 지각이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attributes of fashion live streaming commerce (FLSC) on attitudes and intention to use)

  • 서혜심;여은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2호
    • /
    • pp.297-318
    • /
    • 2022
  • A growing number of fashion brands and retailers are actively adopting live streaming as a new marketing channel. In spite of the increasing use of live commerce, the effects of live streaming commerce on customer purchas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attitudes toward a purchase via fashion live streaming commerce (FLSC) and intention to use FLSC. The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consumers' expenditure on fashion and time spent on mobile shopping moderate the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tests using SPSS and AMOS. A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attributes of FLSC (ease of use, economic efficiency, interactivity, and enjoy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a purchase via FLSC. The ease of use and economic efficiency of FLSC, in particular, have greater impacts on attitudes than other factors. Secondly, attitudes toward FLSC positively impact the intention to use FLSC. Lastly, the results of group comparisons, by fashion expenditure and time spent on mobile shopping respectively, hold no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use FLSC as they form a positive attitude by the attributes of FLSC mentioned earlier. The study provides some insights on an exploration of live streaming commerce for fashion product sales.

라이브 스트리밍 커머스 수용과정에서 신뢰전이가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A The Effect of Trust Transference on Shopping Behavior in Live Streaming Commerce)

  • 강인원;윤소정;안은종;양람
    • 무역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5-42
    • /
    • 2022
  • This study identified consumers' shopping behavior in live streaming commerce. To this end, this study put the uncertainty issue of live shopping and the transfer of trust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reduced uncertainty in live shopping was a factor in increasing the level of involvement and attachment in the service. These results showed that resolving uncertainty in newly introduced services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users' positive attitudes. Second, the trust in shopping sites influenced the current live shopping attitude. This is because the transfer of trust is also valid in live shopping, which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building trust. Third, this study proposed and validated a research model that could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consumption process of live streaming shopping.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a beneficial implication for those who want to use live shopping in practice.

P2P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효율적인 부모선택 기법 (An Efficient Parent Node Selecting Mechanism on P2P Live Streaming)

  • 홍승길;박승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6-148
    • /
    • 2012
  • 오늘날 P2P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는 실시간성에 따라 시간적절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P2P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참여하는 노드의 ISP정보와 지역정보를 활용하여, 부모노드탐색의 비용을 줄이면서 부모노드와의 지연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라이브커머스에서 가상실재감의 효과와 결정요인 연구: 라이브쇼핑 매체 및 인플루언서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and Determinants of Virtual Presence in Live Commerce: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Live Shopping Media and Influencers)

  • 최수정;김태경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1호
    • /
    • pp.23-51
    • /
    • 2023
  • Purpose: Live commerce is a new type of electronic commerce in combination with live streaming services. It is expected to increase virtual presence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by overcoming a lack of social interactions between sellers and buyers which have been raised as a limitation in electronic commerce. Drawing on the studies of communication media, this study examines how live commerce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virtual presence which consists of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Telepresence refers to a buyer's perception that he or she is present at the physical shopping mall during live shopping streaming whereas social presence refers to a buyer's perception of social interaction with a seller which is human warm, social, sensitive, and personal. In this study, we verify key determinants of virtual presence and its consequenc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s virtual presence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buyers' trust in products and further purchase intentions. Furthermore, we verify influential factors of virtual presence from the technical and influencer perspectives of live commerce.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analysis is conducted with a total of 250 data collected on users with experience in the TaoBao live streaming shopping platform.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re increased by visibility, media richness and attractiveness in the context of live shopping streaming. Second, buyers' trust in product trust and purchase intentions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Finally, buyers' trust in product has a direct, positve effect on their purchase intentions. Overall, the findings offer new insights into the studies of electronic commerce by introducting the concepts of virtual presence and media richness from the literature of communication media in the field of live comme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