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ter Weight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飼育)에 관련(關聯)된 몇 가지 요인(要因)들에 관(關)한 조사(調査) (A Survey on Some Factors Related to the Rearing of the Korean Native Goat)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8-113
    • /
    • 1984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사육시(飼育時)에 고려(考慮)해야 될 몇 가지 요인(要因)에 관(關)한 내용(內容)을 일부 산양(山羊) 사육(飼育) 목장(牧場)을 대상(對象)으로 2개년(個年) 간(間)에 걸쳐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하고 그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l. 자(雌) 산양(山羊)의 이유(離乳) 후(後)에 1년간(年間)의 증체량(增體量)은 최고(最高) 55.19g, 최저(最低) 30.1g, 그리고 평균(平均) 4l.9g으로 나타났다. 2. 시중(市中) 구입(購入) 산양(山羊)의 육성시(育成時)에, 생존양(生存羊)의 구입시(購入時) 체량(體量)은 평균(平均) 8.07kg이였고 사망양(死亡羊)의 체량(體量)은 평균 5.89kg이였다. 3. 산양(山羊)의 분만월(分娩月)은 년중(年中) 비교적 일정(一定)하게 분포(分布) 되었고 산자수(産仔數)는 초산양(初産羊)에서 1.2두(頭), 2산양(産羊)에서는 2.0두(頭)로 나타났다. 4. 양질(良質)의 야건초(野乾草)를 주(主)로 섭취(攝取)한 초임양(初妊羊)의 평균(平均)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체량(體量)의 2.87%였고, 평균(平均)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62.91%로 나타났다. 5. 관목류(灌木類)를 주(主)로 섭취(攝取)한 육성중(育成中)인 자양(雌羊)의 평균(平均) 건물섭취량(乾物攝取量)은 체중(體重)의 3.92%였고, 평균(平均)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47.07%로 나타났다. 6. 가을철에 제조(製造)한 관목류(灌木類) 및 야초(野草)의 기호성(嗜好性)은 칡이 총(總)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의 65.14%로 가장 높았고 억새는 거의 섭취(攝取)하지 않았다.

  • PDF

Effect of rapeseed meal supplementation to gestation diet on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profiles and milk composition of sows

  • Choi, H.B.;Hong, J.S.;Jin, S.S.;Jung, S.W.;Jang, J.C.;Jeong, J.H.;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386-394
    • /
    • 2018
  • Objective: This experiment evaluated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levels of rapeseed meal (RSM) in gestation diet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profiles, milk composition of sows, and growth of their progeny. Methods: A total of 55 mixed-parity sows ($Yorkshire{\times}Landrace$; average parity = 3.82)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193.0 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Sows were allotted to one of 5 treatments at breeding based on BW and backfat thicknes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reatments consisted of dietary RSM supplementation levels (0%, 3%, 6%, 9%, and 12%) in gestation diets. During lactation all sows were fed a common lactation diet with no RSM supplementation. Results: Body weight, backfat thickness, litter size, lactation feed intake, and milk composition of sows, and growth of their progeny were not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In blood profiles, a quadratic increase (Quadratic, p<0.05) in serum triiodothyronine (T3) concentration and a linear increase (Linear, p<0.01) in serum thyroxine (T4) concentration were observed at d 110 of gestation as dietary RSM supplementation levels increased. However, serum T3 and T4 concentrations in lactating sows and their piglets were not affected by RSM supplementation of gestation diets.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sows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treatments, whereas serum glucose level in sows decreased linearly at d 110 of gestation (Linear, p<0.05) by increasing dietary RSM supplementation in gestation diets. Conclusion: The RSM could be supplemented to gestation diets up to 12% with no detrimental effect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growth of their progeny. However, increasing supplementation levels of RSM in gestation diets may increase serum T3 and T4 concentrations and decrease serum glucose concentration of sows in late gestation.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성성숙(性成熟),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姙娠期間)에 따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 -번식형질(繁殖形質)과 체성장(體成長)에 따른 혈청(血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Sex Hormone Levels in Korean Native Goat during Puberty, Estrous Cycle and Pregnancy(I) - Studies on Reproductive Traits, and Changes of Sex Hormone Levels by Growth-)

  • 이규승;박창식;김영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55-61
    • /
    • 1985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번식형질(繁殖形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70일령(日令)부터 190일령(日令)까지 매(每)15일(日) 간격(間隔)으로 혈청(血淸) 성(性) hormone의 농도변화(濃度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성성숙일령(性成熟日令)과 체중(體重)은 183.6일(日)과 14.3 kg이었고. 발정시기(發情時期)와 발정지속기간(發情持續期間)은 20.3일(日)과 36.7시간(時間)이었으며, 임신기간(姙娠期間), 복당산자수(腹當産仔數) 및 생시체중(生時體重)은 각각(各各) 148.4일(日), 1.4두(頭) 및 1.8 kg이었다. 혈청(血淸) LH의 수준(水準)은 70일령(日令)에서 3.93mIU/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 이어서 190일령(日令)에는 1.21mIU/ml로 최소치(最少値)였다. FSH는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25 mIU/ml 以下의 수준(水準)이었다. Prolactin은 85일령(日令)에 3.09 ng/ml로 최소치(最少値)였고, 175일령(日令)에 4.65 n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Estradiol-$17{\beta}$의 수준(水準)은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어서 190일령(日令)에서 7.95 p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Progesterone은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0 ng/ml 이하(以下)로서 매우 낮은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 PDF

경기도 광주지방 22년생 잣나무 및 신갈나무림의 물질생산량과 무기영양물분포 (Primary Production and Nutrients Distribution in 22-year-old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wangju District)

  • 이경재;박인협
    • 임산에너지
    • /
    • 제7권1호
    • /
    • pp.11-21
    • /
    • 1987
  • 잣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물질생산량과 영양물질의 현존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군 도척면에 위치하는 22년생 임지에 10x10m 조사구 10개씩을 설치하여 직경급을 안배한 표목본 10주씩을 벌목, 간(Ws), 지(Wb), 엽(Wl) 부위로 나누어 건중량을 측정, $D^2H$와 건중량과의 상대생장식에 의해 물질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생산구조면에서 광합성부가 잣나무는 지상 4.2m, 신갈나무는 지상 6.2m에서 시작되었고, 수관의 최대광합성층은 각각 7.2m, 9.2m에서 출현하였다. 잎, 가지, 줄기의 건중량과 $D^2H$와의 상대생장식에서 두 수종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현존량은 잣나무림이 152.07ton/ha(지상부 124.92ton/ha, 지하부 27.15t/ha), 신갈나무림이 156.02t/ha(지상부 120.65t/ha, 지하부 35.37t/ha)이었고, 연간순생산량은 각각 24.66t/ha$\cdot$yr이었고, 간재생산능률은 각각 0.62kg/kg$\cdot$yr, 1.10kg/kg$\cdot$yr이었다. 영양물질의 현존량은 잣나무림에서는 질소, 칼슘, 마그네슘은 대부분이 광물질토양층($0\~30$cm)에, 인과 카리는 교목층에 대부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신갈나무림에서는 질소, 인, 카리, 마그네슘은 대부분이 광물질토양층에, 칼슘은 대부분이 교목층에 분포하였다. 8개월간($3\~11$월)에 채취된 낙엽량은 잣나무림에서 4.013t/ha, 신갈나무림에서 3.490t/ha이었다.

  • PDF

Dietary spray-dried plasma supplementation in late-gestation and lactation enhanced productive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s of lactating sows and their litters

  • Kim, Kwangwook;Kim, Byeonghyeon;Kyoung, Hyunjin;Liu, Yanhong;Campbell, Joy M.;Song, Minho;Ji, Pe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5호
    • /
    • pp.1076-1085
    • /
    • 2021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pray-dried plasma (SDP) supplementation during late gestation and lactation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s of sows and their litters. Twelve sows (227.78 ± 2.16 kg average body weight; 2.0 average parity) were randomly allotted to two dietary treatments: a basal diet (CON) an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1% SDP. Sow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rom d 30 before farrowing to weaning of their piglet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ows on d 1, 3, and 7 of lactation and from two randomly selected nursing pigs per litter on d 3 and 7 after birth, and d 1, 3, and 7 after weaning. Productive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s of sows and their piglets were measured. There was a trend of less body weight loss in sows supplemented with SDP (p < 0.10) during the lactation period and a trend of greater (p < 0.10) average daily gain in SDP piglet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 group. Sows in the SDP group tended to have lower (p < 0.10) serum concentrations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and cortisol on d 3 and lower serum concentration of TNF-α on d 7 compared with sows in CON group. In comparison with CON piglets, piglets from SDP sows tended to have lower (p < 0.10) serum concentrations of TNF-α, TGF-β1, and cortisol on d 7 after birth, lower (p < 0.10) serum TNF-α and C-reactive protein on d 3 and 7 after weaning, and greater (p < 0.10) average daily gain after weaning. Moreover, weaned pigs from sows fed SDP had significantly lower (p < 0.05) serum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TGF-β1 on d 3 and 7 postweaning, respectively, than CON piglets. In conclusion, SDP supplementation in sow diets from late gestation to weaning improved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and their offspr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SDP may be mediated in part through modulation of immune responses of both sows and piglets.

Effects of Palm Kernel Expellers on Productiv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White Blood Cells of Lactating Sows

  • Kim, J.;Seo, J.;Kim, W.;Yun, H.M.;Kim, S.C.;Jang, Y.;Jang, K.;Kim, K.;Kim, B.;Park, S.;Park, I.;Kim, M.K.;Seo, K.S.;Kim, H.B.;Kim, I.H.;Seo, S.;Song,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8호
    • /
    • pp.1150-1154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lm kernel expellers on productiv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changes in white blood cells (WBC) of lactating sows. A total of 14 sows ($200{\pm}12kg$ of average body weight [BW]; 2.5 of average parity) were used and moved from gestation room to farrowing room on d 109 of gestation. S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dietary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treatments were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and CON added with 20% of palm kernel expellers (PKE). Sows were fed the treatments for 28 days (weaning) after farrowing. Blood was collected from each sow and 4 randomly selected piglets from each sow before farrowing or on d 3, 7, or 14 of lactation. Sows were fed respective treatments containing 0.2% chromic oxide from d 15 to 21 of lactation.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daily for the last 3 days after the 4-d adjustment period. Measurements were performances and WBC changes of sows and litter, nutrient digestibility of sows, and daily diarrhea of litter. Sows fed PKE had greater average daily feed intake (7.38 vs 7.10 kg/d; p<0.05) and lost less BW (-6.85 vs -8.54 kg; p<0.05) and backfat depth (-0.42 vs -0.71 mm; p<0.05) than those fed CO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and energy and weaning to estrus interval of sows fed either CON or PKE. Piglets from sows fed PKE gained more BW (203 vs 181 g/d; p = 0.08) and had less frequency of diarrhea (6.80 vs 8.56%; p = 0.07) than those from sows fed CON. On the other hand, no difference was found on preweaning mortality of piglets from sows fed either CON or PKE. Sows fed PKE had lower number of WBC (9.57 vs $11.82{\times}10^3/{\mu}L$; p = 0.09) before farrowing than those fed CON, but no difference on d 3 and 7. Similarly, piglets from sows fed PKE had also lower number of WBC (7.86 vs $9.80{\times}10^3/{\mu}L$; p<0.05) on d 14 of lactation than those from sows fed CON, but no difference on d 3 and 7. In conclusion, addition of 20% palm kernel expellers to lactation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had no negative effects on productiv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WBC changes of lactating sows.

국내 양돈장의 모돈규모별 번식 및 육성성적 분석 (Analysis of Reproductive and Growing Performances by Sow Farm Sizes)

  • 김계웅;옥영수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23-28
    • /
    • 2015
  • 본 연구는 번식돈 농장의 경영지표 설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충남지역에서 사육하고 있는 번식모돈 소규모 4개 농장, 중규모 5개 농장, 대규모 6개 농장(총 15개 농장)을 대상으로 1년간의 모돈의 전산경영기록 자료중 번식 및 육성성적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상시모돈수는 모돈 사육규모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는데, 소규모 농장은 114.25두와 대규모 농장은 489.88두로 소규모 농장은 가족노동관리인 반면에, 대규모 농장은 고용인력을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돈규모가 클수록 분만율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규모별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당평균산자수는 모돈규모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대규모 농장보다는 소규모 농장에서 총산자수가 점점 큰 경향을 보였다. 포유개시두수는 모돈규모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는데, 중규모나 대규모 농장(10.28두)보다는 소규모 농장에서 10.48두로 포유개시산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당 평균이유두수는 모돈농장 규모 간에는 통계적 유의차(p<0.05)를 보였는데, 소규모 농장에서 8.89두로 가장 낮은 성적이었으나, 대규모 농장에서 9.35두로 모돈규모가 클수록 이유두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당 이유일령은 농장규모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는데, 중규모농장에서 평균 23.79일로 이유일령이 가장 빠른 반면에, 소규모 농장에서는 평균 27.26일로 가장 늦게 이유시키고 있었다. 평균모돈 회전율은 모돈규모별 간에는 소규모나 대규모 농장보다 중규모 농장집단이 평균 2.32회로 유의성 있게(p<0.05) 가장 높은 모돈회전율을 보였다. 자돈평균육성율은 소규모 농장(87.13%)와 대규모 농장(91.69%) 집단보다는 중규모잡단에서 94.70%로 가장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 평균 출하 체중은 3개 농장 집단규모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소규모나 중규모보다는 대규모 농장에서 112.37 kg으로 모돈농장 규모가 클수록 다소 높게 출하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분만율과 산자수, 포유개시두수, 이유두수, 모돈회전율 간에는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 그리고 총산자수와 포유개시두수 간에는 정의상관이 있었으나, 총산자수와 자돈육성율 간에는 부(負)의 상관이 존재하였다. 포유개시두수는 이유두수와 이유일령 간에는 정의 상관이었으나, 포유개시두수와 육성율 간에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 있었다. 이유두수와 모돈회전율 및 육성율 간에는 각각 정의 상관이었으나, 이유일령과 모돈회전율 및 육성율 간에는 각각 유의한 부의 상관이 존재하였다. 소규모 모돈농장에서는 산자능력이 우수한 반면에 중규모와 대규모 농장에서는 각각 육성율과 이유두수 성적에서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분만율 향상을 위한 기술력 확보가 요구되었다.

제주도 서식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의 번식과 발달 (Breeding and Development of the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 박준호;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165
    • /
    • 2017
  • 중국 북부와 한국, 러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의 분포를 제외한 생활사, 행동, 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포획된 개체(n=9)를 대상으로 종 단위 연구의 기본이 되는 번식과 성장 및 발달에 대한 생물학적 정보를 밝히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사육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임신률은 31.7%였고 좁은 케이지에서 보다 넓은 케이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56.7 vs. 6.7%). 임신기간은 $22{\pm}1.6$일(범위 21-27일), 한배의 산자수(litter size)는 $4.26{\pm}1.37$마리(범위 2-7 마리)였다. 최소이유시기는 $19.2{\pm}1.4$일(범위 18-21일)이었다. 출생 직후 새끼의 체중과 외부형태의 크기는 성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시기부터 암수의 머리와 몸통길이(HBL)와 꼬리길이(TL)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BL-weaning, $106.50{\pm}6.02$ vs. $113.34{\pm}4.72mm$, p<0.05; HBL-4 months, $163.93{\pm}5.42$ vs. $182.83{\pm}4.32mm$, p<0.05; TL-4 months, $107.23{\pm}3.25$ vs. $93.95{\pm}2.15mm$, p<0.05). Gompertz 모형과 logistic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머리-몸통길이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최대 성숙 길이가 길었고($164.840{\pm}7.453$ vs. $182.830{\pm}4.319mm$, p<0.0001; $163.936{\pm}5.415$ vs. $182.840{\pm}4.333mm$, p<0.0001), 성장률도 빨랐으나($1.351{\pm}0.065$ vs. $1.435{\pm}0.085$, p<0.05; $2.870{\pm}0.253$ vs. $3.211{\pm}0.635$, p<0.05), 성장곡선의 기울기가 최대가 되는 일령은 암컷보다 조금 늦었다($5.121{\pm}0.318$ vs. $5.520{\pm}0.333$, p<0.05; $6.884{\pm}0.336$ vs. $7.503{\pm}0.453$, p<0.05). 한편 꼬리의 최대길이($105.695{\pm}5.938$ vs. $94.150{\pm}2.507mm$, p<0.001; $111.609{\pm}14.881$ vs. $93.960{\pm}2.150mm$, p<0.05)와 변곡점에서의 길이($60.306{\pm}1.992$ vs. $67.859{\pm}1.330mm$, p<0.0001; $55.714{\pm}7.458$ vs. $46.975{\pm}1.074mm$, p<0.05)는 암컷이 수컷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성장모형에서 암수의 체중과 외부형태형질에 대한 성장률은 비교 결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단털쥐의 종적 특징을 밝히는데 필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busulfan-induced dysfunction of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 Jung, Seok-Won;Kim, Hyeon-Joong;Lee, Byung-Hwan;Choi, Sun-Hye;Kim, Hyun-Sook;Choi, Yang-Kyu;Kim, Joon Yong;Kim, Eun-Soo;Hwang, Sung-Hee;Lim, Kwang Yong;Kim, Hyoung-Chun;Jang, Minhee;Park, Seong Kyu;Cho, Ik-Hyun;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243-249
    • /
    • 2015
  • Background: Anticancer agents induce a variety of adverse effects when administered to cancer patients. Busulfan is a known antileukemia agent. When administered for treatment of leukemia in young patients, busulfan could cause damage to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as one of its adverse effects, resulting in sterility.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KRGE) on busulfan-induced damage and/or dysfunction of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Results: We found that administration of busulfan to mice: decreased testis weight; caused testicular histological damage; reduced the total number of sperm, sperm motility,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 and eventually, litter size. Preadministration of KRGE partially attenuated various busulfan-induced damages to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RG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busulfan-induced damage to the male reproduction system.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s a possibility that KRGE could be applied as a useful agent to prevent or protect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from the adverse side effects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anticancer agents such as busulfan.

돼지 액상정액 보존을 위한 Lactose-Egg Yolk와 $B\ddot{u}tschwiler$ 희석액의 비교 (Comparision of Preservation of Liquid Boar Semen between Lactose-Egg Yolk and $B\ddot{u}tschwiler$ Diluents)

  • 박창식;천용민;서직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9
    • /
    • 1996
  • 본 연구는 돼지 액상정액을 인공수정용 100ml 플라스틱 병에 보존하면서 Lactose-Egg yolk 희석액과 B tschwiler 희석액 간에 보존 온도별 차이를 조사하고, Lactose-Egg yolk 희석액에서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여 돼지 액상정액을 좀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돼지 액상정액을 5$^{\circ}C$ 냉장고에 보존하면서조사한 바에 의하면, 37$^{\circ}C$에서 0.5 및 2시간 배양 후의 정자 운동성은 전체 보존기간동안 Lactose-Egg yolk 희석액이 B tschwiler 희석액보다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고, 정상첨체비율은 두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돼지 액상정액을 15$^{\circ}C$에 보존하면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일부터 7일 보존시까지 정자 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율에 있어서 B tschwiler 희석액이 Lactose-Egg yolk 희석액보다 유의하데 높게 나타났다. Lactose-Egg yolk 희석액을 이용한 돼지 액상정액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에 있어서는 최종 글리세롤 농도가 0, 1, 3 및 5%보다 2%일 때 가장 높은 정자 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유을 나타내었다. 분만율, 복당 생존자돈수 그리고 출생시 평균 생시체중은 Lactose-Egg yolk 희석액과 B tschwiler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Lactose-Egg yolk 희석액은 5$^{\circ}C$에서 B tschwiler 희석액은 15$^{\circ}C$에서 6~7일 동안 돼지 액상정액을 보존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