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ter Growth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7초

Effects of Expander Conditioning of Corn- and Sorghum-Based Diets on Pellet Quality and Performance in Finishing Pigs and Lactating Sows

  • Johnston, S.L.;Hancock, J.D.;Hines, R.H.;Kennedy, G.A.;Traylor, S.L.;Chae, B.J.;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565-572
    • /
    • 1999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nditioning (conventional vs expander) corn- and sorghum-based diets on production traits for lactating sows and finishing pigs. In Exp. 1, one hundred sixty-eight sows (parity 1-4, PIC line C15) were fed the corn or sorghum grain diets as a meal, standard (steam) conditioned pellets, or expanded pellets to give a $2{\times}3$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Pellet durability index (PDD was similar for the sorghum- vs corn-based diets, but increased when diets were expanded pellets for both corn- and sorghum-based diets. The corn-based meal diet supported 3.3% greater litter weight gain than the sorghum-based meal diet (44.0 kg vs 42.8 kg). However, the advantage for the corn-based diet disappeared with expander processing (ie., sows fed the sorghum-based diet responded more to diets processed with the alternative processing technology). Sow weight change during lactation was similar (p>0.15) among treatments, although average daily feed intake tended to be greater (p<0.09) for the sows fed sorghum. For Exp. 2, a total of 71 barrows (average initial weight of 58.0 kg) were used in a growth assay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ing com- and sorghum-based diets, as meal or pellets, after processing with a conventional steam conditioner or an expander (high-shear) conditioner. PDI was not different for the sorghum- vs corn-based diets, but increased from 84 to 95% with expander conditioning compared to conventional steam conditioning. Rate and efficiency of gain, and carcass leanness were similar for pigs fed sorghum and corn (p>0.15). Efficiency of gain was greater (p<0.04) for pigs fed the pelleted (356 g/kg) diets compared to those given the meal (348 g/kg) diets. However, efficiencies of gain were similar (p>0.11) for pigs fed the conventional- and expander-conditioned diets. Pelleting increased (p<0.01)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stomach lesions regardless of grain type. In conclusion, corn-based meal diet resulted in a greater litter weight gain than the sorghum-based meal diet. However, that advantage disappeared when the diets were expanded and pelleted. Finishing pigs fed pelleted diets were more efficient than those fed meal diets.

양돈농가의 계절에 따른 번식 및 이유성적 분석 (Analysis of Reproductive and Weaned Performances in Sow Farms)

  • 김계웅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9-146
    • /
    • 2009
  • 본 연구는 충남 보령시에 위치하고 있는 총 15개 양돈농장 10,394 복의 번식모돈을 대상으로 2007년 4월부터 2008년 3월(1년간)까지 전산경영기록 자료 중 번식능력과 이유성적을 조사 분석하여 양돈농가의 생산성향상을 위한 번식모든의 경영지표 설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 상시 모돈수는 314.10두로 가족노동 경영규모보다는 비교적 컸다. 계절간의 상시 모든 사육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사육하고 있었다. 평균 분만률은 78.77%로 보통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계절간 분만률은 유의한 차이 (p<0.05)가 있었는데, 여름 분만률이 가장 높고 겨울은 가 장 낮았다. 2. 평균 복당 산자수는 11.04두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계절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여름 산자수는 다소 높고, 겨울에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포유개시두수는 평균 10.22로 조사되었으며, 계절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서로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3. 평균 이유두수는 9.23두로 다소 낮은 성적이었다. 계절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평균 이유 일령은 25.77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계절간의 이유 일령은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겨울에는 26.25일로 다소 이유 일령이 긴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이유 자돈의 육성률은 91.48%로 다소 낮은 성적으로 조사되었다. 계절간 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는데, 역시 겨울에 89.22%의 육성률로 낮은 결과를 가져왔다. 4. 평균 모들 회전율은 2.25회로 보통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계절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이 서로 비슷한 평균치를 나타났다. 연간 자돈생산 두수는 평균 20.75두로 비교적 낮은 성적을 보였다. 계절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 (p<0.05)가 있었는데, 봄과 여름보다는 가을과 겨울 두수가 저조하였다. 그리고 출하체중은 평균 110.46kg으로 나타났으나 계절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겨울 출하체중은 다소 가벼운 경향을 보였다.

  • PDF

Effect of Feeding Systems on Feed Intake, Eating Behavior, Growth,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Parasitic Infestation of Black Bengal Goat

  • Moniruzzaman, M.;Hashem, M.A.;Akhter, S.;Hossain, M.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0호
    • /
    • pp.1453-1457
    • /
    • 2002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4 feeding systems on growth, feed intake, eating behavior, lactation performance, gestation period, post-partum heat period, conception rate and parasitic infestation of Black Bengal goat. Twenty four does of approximately 1 year of age were randomly selected for 4 treatment (feeding systems) groups having 6 replications in each. Treatments were stall feeding ($T_1$), tethering ($T_2$), restricted grazing ($T_3$) and grazing ($T_4$). $T_1$ group was housed continuously and adequate amounts of natural grass were supplied for ad libitum feeding. $T_2$ group was tethered for grazing natural grass from 8 a.m. to 4 p.m. being moved at one hour intervals. Goats of $T_3$ group were allowed grazing from 8 a.m. to 1 p.m. $T_4$ group was grazed from 8 a. m. to 4 p.m. Concentrate supplement was given at the rate of 150 g per day per goat for all of the treatment groups. Duration of experiment was 219 days. Daily live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ase of stall fed goats than that of others. DM intake also significantly (p<0.05) differed among the treatment groups and was 3.40 3.95, 3.76 and 4.05 per cent of their live weight for stall feeding, tethering, restricted grazing and grazing groups, respectively. Rate of ruminat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ase of tethering group of goats than that of others. Birth weight of kids, milk yield, lactation period and post-partum heat peri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stall fed goats than others. Tether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litter size than others. Infestation rate of Fasciola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grazing group. In conclusion, it may be stated that among these feeding groups overall performance of stall fed goats was more satisfactory, and that the tethering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thers.

Chinese Medicine Granule Affects the Absorption and Transport of Glucose in Porcine Small Intestinal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s under Heat Stress

  • Song, Xiaozhen;Xu, Jianqin;Wang, Tian;Liu, Feng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246-253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nese medicine granule (CMG, including Cortex Phellodendron, Atractylodes Rhizome, Agastache Rugosa and Gypsum Fibrosum) on absorption and transport of glucose in porcine small intestinal brush border membrane vesicles (BBMVs) under heat stress. Forty-eight 2-month-old Chinese experimental barrows were screened according to weight and litter origin, and then allotted to three groups and treated as follows: Normal temperature control group (NTCG; $23^{\circ}C$), high temperature control group (HTCG; $26^{\circ}C$ for 19 h, $40^{\circ}C$ for 5 h); Chinese medicine granule anti-stress group (CMGG; $26^{\circ}C$ for 19 h, $40^{\circ}C$ for 5 h) (n = 16 per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temperature treatment decreased (p<0.05) the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glucose absorption but there was no change (p>0.05) in the expression of SGLT1 and GLUT2 genes in the small intestine of pigs compared with the NTCG.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CMG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and increased the activity of disaccharidases in duodenum and jejunum of heat stressed pigs (p<0.05). CMG treatment increased (p<0.05) the protein levels of SGLT1 and GLUT2 in the small intestine, and up-regulated (p<0.05) the expression of SGLT1 and GLUT2 genes in the duodenum and jejunum but without changing (p>0.05) them in the ileum compared with the HTC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MG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porcine growth performance, and increased intestinal glucose absorption and transport by BBMVs under heat stress, in addition to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SGLT1 and GLUT2 genes in porcine duodenum and jejunum.

T Cells Development Is Different between Thymus from Normal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ed Pig Fetus at Different Gestational Stage

  • Lin, Yan;Wang, Junjun;Wang, Xiaoqiu;Wu, Weizong;Lai, Chang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343-348
    • /
    • 2013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T cells in intrauterine growth retarded (IUGR) piglets at different gestational stages, and tentative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 cells development and the Notch signaling pathway. A total of 18 crossbred (Landrace${\times}$Large white) primiparous sows were mated at similar weights and estruses and euthanized at d 60, 90 and 110 of gestation with six replicates for each time point. One IUGR and one normal fetus were picked from each litter. The T-cell subsets, mRNA expression of Delta-like1, Delta-like4, Jagged1, and Notch2 genes in the thymus were investigated. Compared to normal piglets, $CD3^+CD4^-CD8^+$ cells in IUGR fetuses at d 90 was 0.13% lower (p<0.05). At d 110 of gestation $CD8^+$ T cells in IUGR fetuses was 0.19% lower (p<0.05). The percentage of $CD8^+$ T cells was 3.14% lower (p<0.05) of the total T cells in IUGR pigs at d 60. The abundance of Notch2 and Delta-like4 mRNA at d 110 was 20.93% higher and 0.77% (p<0.05) lower, and Delta-like1 mRNA at d 90 was 0.19% (p<0.05) higher compared to normal pig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ormal fetuses had a greater proportion of T-cell subsets at earlier gestation periods, and the Notch signaling pathway was likely partially responsible for these differences to some degree.

Assessment of The Above-Ground Carbon Stock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 Arboretum within The University of Port Harcourt, Nigeria

  • Akhabue, Enimhien Faith;Chima, Uzoma Darlington;Eguakun, Funmilayo Sara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193-205
    • /
    • 2021
  • The importance of forests and trees in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soil nutrient cycling cannot be overemphasized. This study assessed the above-ground carbon stock of two exotic and two indigenous tree species - Gmelina arborea, Tectona grandis, Khaya grandifoliola and Nauclea diderrichii and their litter impact on soil nutrient content of an arboretum within the University of Port Harcourt, Nigeria. Data were collected from equal sample plots from the four species' compartments. Tree growth variables including total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crown height, crown diameter and merchantable height were measured for the estimation of above-ground carbon stock.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depth of 0-30 cm from each compartment and analyzed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bases, exchangeable acidity, cation exchange capacity, base saturation, pH, Manganese, Iron, Copper and Zinc.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carbon contents of the four species and the soil nutrient contents of the different species' compartments.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rbon contents, growth parameters and soil parameters. The highest and lowest carbon stock per hectare was observed for G. arborea (151.52 t.ha-1) and K. grandifoliola (45.45 t.ha-1) respectively.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base saturation were highest and lowest for soil under G. arborea and K. grandifoliola respectively. The pH was highest and lowest for soil under G. arborea and T. grandis respectively. Carbon stock correlated positively with dbh, crown diameter, merchantable height and Zn and negatively with base satur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G. arborea and N. diderrichii can effectively be used for reforestation and afforestation programmes aimed at climate change mitigation across Nigeria. Therefore, policies to encourage and enhance their planting should be encouraged.

요크셔종의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 Traits in Yorkshire)

  • 송광림;김병우;노승희;선두원;김효선;이득환;전진태;이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41-52
    • /
    • 2010
  •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K GGP 종돈장에서 농장검정된 Yorkshire종 16,202두의 산육형질자료 를 근거로 다변량 통계모옇을 이용한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 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된 모든 산육형질에 대해 성, 출생년도, 출생계절, 산차 및 생시체중의 효과는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산육형질에 대한 생시체중 그룹의 효과는 생시 체중이 높은 그룹일수록 일당증체량 및 정육율은 높아지는 반면, 90 kg 도달일령, 등지방 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결과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시체중이 높은 그룹이 복 평균개체중과 복 총체중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력의 경우 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보다 10~30%까지 낮게 추정되었다. 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및 복의 효과를 고려한 유전력 결과는 각각 일당증체량이 0.468, 0.328, 90 kg 도달일령이 0.474, 0.326, 등지방 두께가 0.452, 0.396, 등심단면적이 0.240, 0.200, 정육율의 경우 0.458, 0.380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최근 연구문헌의 자료 및 유전모수추정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확한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 분석시 복의 효과를 고려한 모델식을 적용하여 육종가의 정확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화강암 추출 활성 광물질의 사료 내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깔짚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ineral Extract from Granite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and Ammonia Production from the Litter)

  • 조중호;정병윤;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3-48
    • /
    • 2005
  • 화강암으로부터 추출한 활성 광물질액이 육계의 생산성과 깔짚에서 암모니아 발생, 육계 혈액 성상 및 혈청 내 ND titer,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5주 동안 육계 실험을 실시하였다. 960수의 갓 부화한 육계 병아리를 공시하였고 5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48수씩 배치하여 생산성 및 암모니아 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C; control, zeolite; control + zeolite $1\%$, AM10; control + 활성 미네랄수 $10\%$흡착 zeolite $1\%$, AM20 control + 활성 미네랄수 $20\%$ 흡착 zeolite $1\%$, AM30; control + 활성 미네랄수 $30\%$ 흡착 zeolite $1\%$). 또한 사양 시험과 동시에 48수의 육계 병아리들을 반복당 2수씩 6처리 4반복으로 배치하고 ND 백신을 접종하여 ND titer와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증체와 사료 섭취량, 사료 효율, 폐사율 등은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증체량과 사료 섭취 량에서 AM30구가 처리구들 중에서 가장 높았는데 특히 4, 5주간의 증체량이 높았다. 사료 전환율(사료섭취량/증체량)에서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폐사율은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깔짚에서 암모니아 발생은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P<0.01)가 있었는데 AM30 구가 가장 낮았다. ND titer는 모든 처리구들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혈액 성상에 있어서 처리구들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는데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농도(MCHC)에 있어서는 zeolite 구가 타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하게(P<0.05) 낮았다. 장내 미생물 중에 Clostridium perfringens의 수는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P<0.01) 낮았고 Ercherichia coli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actobacilli의 수는AM30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결론적으로 활성 미네랄수 $30\%$흡착 zeolite의 사료 내 첨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육계의 증체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깔짚에서 암모니아 가스 발생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장내 Lactobacilli의 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수생식물의 유기물 생산과 낙엽 분해 (Primary Production and Litter Decomposition of Macrophytes in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s)

  • 최광순;김호준;김동섭;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7-356
    • /
    • 2013
  • 수생식물의 수처리 기능을 고려한 습지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유입수의 수질특성이 다른 2개의 습지(동화천과 반월천 습지)를 대상으로 갈대와 애기부들의 생장특성, 유기물 생산량과 분해속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유기물생산량과 분해량을 토대로 습지내로의 유기물 부하량을 추정하였다. 갈대와 애기부들의 길이생장은 기온이 상승하는 3월에 증가하여 7~8월에 최고치(갈대 340cm, 부들 320cm) 를 보였다. 경엽부의 밀도는 갈대가 100~170 개체/$m^2$의 범위로 애기부들의 밀도(최대 78 개체/$m^2$)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갈대의 경엽부 최대 현존량은 $1,350{\sim}1,980gDM/m^2$의 범위로 반월천고습지에서 가장 컸고, 저습지에 비해 고습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애기부들의 현존량은 $1,940gDM/m^2$로서 반월천고습지 갈대의 최대 현존량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갈대의 유기물생산력은 반월천고 습지 $2,050gDM/m^2/yr$ > 동화천저습지 $1,840gDM/m^2/yr$ > 반월천저습지 $1,570gDM/m^2/yr$ ${\fallingdotseq}$ 동화천고습지 $1,540gDM/m^2/yr$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애기부들은 $2,210gDM/m^2/yr$로서 갈대보다 생산력이 높게 나타났다. 시화호 인공습지 갈대와 애기부들의 연간 총 유기물 생산량은 845 ton DM/yr (423 ton C/yr)이었으며, 이중 갈대에 의한 생산량이 90%를 차지했다. 수생식물의 낙엽분해 속도(k)는 갈대와 애기부들 모두 잎이 줄기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갈대: 잎 0.0062/day, 줄기 0.0018/day; 애기부들: 잎0.0031/day, 줄기 0.0018/day). 그리고 줄기 낙엽의 분해속도는 갈대와 애기부들이 같은 반면 잎의 분해속도는 갈대가 애기부들보다 약 2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의 연간 총 낙엽 분해량(285 ton C/yr, 연간 총 유기물생산량의 67.3%)으로부터, 수생식물의 의해 생산된 유기물의 32.7%는 습지내에 퇴적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돼지에서 입붙이 사료와 대용유 급여 및 이유자돈 사양프로그램이 이유 전과 이유 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eep Feed and Milk Replacer and Nursery Phase-feeding Programs on Pre- and Post-weaning Growth of Pigs)

  • 하덕민;장경순;원혜숙;하승호;박만종;김성우;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33-339
    • /
    • 2011
  • 본 연구는 이유 전과 후 돼지 사양프로그램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산차(Yorkshire ${\times}$ Landrace) 모돈과 Duroc 웅돈 사이에서 태어난 총 24복(평균 10.6자돈/복)의 돼지를 3구로 나누어 포유기간 중에 "대조구"는 21일령 이유시까지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급여하지 않았고, "최소구"는 포유기 15일째부터 입붙이 사료를 200 gm/복/일 급여했으며, "최대구"는 7일째부터 주간에 7시간 동안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무제한으로 급여하였다. 대조구와 최소구로부터 이유된 돼지 중에서 실험구당 68두씩 임의로 선발된 돼지는 각각 2돈방에 수용하고 이유자돈 1, 2 및 3호 사료를 각각 7, 14 및 13일간 급여하였고, 최대구로부터 이유된 같은 수의 자돈에게는 1, 2 및 3단계 사료를 6, 10 및 18일간 급여하였다. 이후에는 모든 실험구에 육성돈 전 후기 사료를 차례로 95 및 135일령까지 급여하였다. 이상의 이유 전과 이유 후전 과정 사양시험은 분할법(split plot) 실험설계 하에 3차례 반복되었다. 포유자돈의 개시체중, 종료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최대구와 최소구 대비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개시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최대구가 0.17 kg 작았지만 개시체중에 보정된 최대구의 종료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0.31 kg 컸던 반면 최소구와 대조구 간의 차이는 보정 후에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자돈기 및 육성기 돼지 성장은 사양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55일령과 135일령 및 6일령 체중은 이유체중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r=0.81, 0.57 및 0.76; P<0.001, 0.05 및 0.001). 결론적으로 본 결과는 포유기 초기부터 대용유와 입붙이 사료를 급여하면 체중이 낮은 자돈에 증체 효과가 있을 것이나 포유기 후기에 입붙이 사료를 제한적으로 급여하거나 1, 2단계 자돈사료 급여기간을 수일 연장해서는 자돈기 및 그 이후의 돼지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