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hium ion-selective electrod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Lipophilic Crown-4 Derivatives as Lithium Ionophores for Lithium Ion Selective Liquid Membrane Electrodes

  • Jae Sang Kim;Sung Ouk Jung;Shim Sung Lee;Si-Joong Ki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1호
    • /
    • pp.123-127
    • /
    • 1993
  • New lipophilic Crown-4 compounds of 16-membered rings containing furan (neutral carrier,I), tetrahydrofuran (neutral carrier,II) and lithium complex of the latter (neutral carrier,III) have been synthesized and tested as the active sensors for lithium ion in poly(vinyl chloride) (PVC) membrane electrode,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n anion excluder, tetrakis(4-chloro-phenyl)borate (KTClPB), 2-nitrophenyl phenyl ether (NPPE), tris(2-ethylhexyl)phosphate (TEHP), o-nitrophenyl octyl ether (NPOE), dioctyl adipate (DOA), bis(2-ethylhexyl)adipate (BEHA), di-n-octylphenyl phosphonate (DOPP) were used as plasticizing solvent mediators. The electrode response function had a nearly Nernstian slope of 54-61 mV per decade (25$^{\circ}$C) with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1}-10^{-4}$ M LiCl and the detection limits for all electrodes were ca. $5{\times}10^{-4}$ M. The response time of the electrode was faster at the higher lithium concentration and the response of the electrode was stable for longer than 6 months. The sensor membranes exhibit improved response times and increased lifetimes as compared to the system described earlier.

혈액 및 소변의 Lithium치 측정에 있어서 AAS법과 ISE법의 비교 (Comparison Study of AAS and ISE Method in the Lithium Analysis of Serum and Urine)

  • 이수인;이채훈;김경동;김정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09-416
    • /
    • 1993
  • 이상에서와 같이 lithium치의 측정에 있어서 본 병원에서 기존 이용하던 AAS법이나 ISE법 모두 정밀도나 직선성 평가에 있어 비교적 좋았으나, 정밀도(재현성)에 있어서 ISE법이 AAS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왔고 ISE법의 경우 측정방법이 매우 간편하였다. 그러나 ISE법에 의한 혈중 측정치가 AAS법에 의한 것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ISE법이 AAS법에 비하여 분석 최하한치가 더 높아 예민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 PDF

Synthesis of a New Hexadendates Schiff's Base and Its Application in the Fabrication of a Highly Selective Mercury(II) Sensor

  • Ganjali, M.R.;Norouzi, P.;Alizadeh, T.;Salavati-Niasari, 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68-72
    • /
    • 2007
  • A new PVC membrane potentiometric sensor that is highly selective to Hg2+ ions was prepared, using bis(2-hydroxybenzophenone) butane-2,3-dihydrazone (HBBD) as an excellent hexadendates neutral carrier. The sensor works satisfactorily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 × 10-6 to 1.0 × 10-1 mol L-1 (detection limit 4 × 10-7 mol L-1) with a Nernstian slope of 29.7 mV per decade. This electrode showed a fast response time (~8 s) and was used for at least 12 weeks without any divergence. The sensor exhibits good Hg2+ selectivity for a broad range of common alkali, alkaline earth, transition and heavy metal ions (lithium, sodium, potassium, magnesium, calcium, copper, nickel, cobalt, zinc, cadmium, lead and lanthanum). The electrode response is pH independent in the range of 1.5-4.0. Furthermore, the developed sensor was successfully used as an indicator electrode in the potentiometric titration of mercury ions with potassium iodide and the direct determination of mercury in some binary and ternary mixtures.

중성운반체를 이용한 리튬이온 선택 전극 (Lithium Ion Selective Electrode Based on a Synthetic Neutural Carrier)

  • 김재상
    • 분석과학
    • /
    • 제5권1호
    • /
    • pp.33-39
    • /
    • 1992
  • 리튬이온의 새로운 중성운반체로서 tetrahydrofuran 단위의 16고리형 crown-4를 퓨란과 아세톤으로부터 산 촉매하에서 합성하여 수소화시킨 후 리튬-이온과의 착물형성반응을 Li-7 NMR과 전기전도도법으로 조사했다. 합성한 리간드를 PVC-액체막 전극에 사용하여 분리용액법에 의한 리튬이온의 선택성을 결정하였다. 막용매, tris(2-ethylhexyl) phosphate에서 리튬이온의 선택계수는 알칼리금속이온 및 알칼리토금속이온에 대해 $2.4{\times}10^{-1}$에서 $2.3{\times}10^{-4}$ 범위의 값을 가졌으며, 산성용액(pH=2 이하, 0.1M LiCl)에서 액체막은 $H^+$ 이온의 방해로 불안정하였다.

  • PDF

집적형 이온선택성 미세전극 센서에 적합한 토양화학 분석용 침출액 종 개발 (Development of Extracting Solution for Soil Chemical Analysis Suitable to Integrated Ion-selective Micro-electrodes)

  • 신국식;임우진;이상은;이재선;차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13-521
    • /
    • 2009
  • 본 연구는 현장에서 신속히 토양양분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집적형 미세 이온선택성 전극을 토양화학성 분석에 이용하기 위하여, 이에 적합한 침출액의 종류와 양과 같은 분석방법을 개발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대상 토양화학성들은 교환성 양이온들($K^+$, $Ca^{2+}$, $Mg^{2+}$, $Na^+$)과 무기태 질소들($NH_4{^+}$, $NO_3{^-}$) 이었으며, 분석법 개발의 목표는 다 성분 동시침출액 종 선발에 있었다. 침출액 자체에 존재하는 화학종들은 이온간 방해작용으로 이온선택성 전극의 분석능에 영향을 미친다. 순수 용액 내에서는 0.01M HCl 과 1M LiCl 이 모든 분석대상 화학종과 그들의 존재 농도범위($10^{-1}M{\sim}10^{-4}M$)에 대하여 가장 Nernst 이론값에 근접하였다. 그러나 실제 토양 침출용액에서 1M LiCl은 고농도(1M)의 $Li^{+}$ 존재로 말미암아 분석대상 화학성분의 선택성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0.1M HCl로 침출하여 10배 희석 측정하거나 또는 0.01M HCl로 직접 침출하여 측정하는 것은 표준분석 방법과 고도의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최적 분석 방법으로 밝혀졌다. 토양에 대하여 집적형 이온선택성 미세 전극을 사용한 분석치와 표준분석법 분석치의 사이의 회귀상관에서는 $K^+$, $Na^+$, $Ca^{2+}$, $NO_3{^-}$가 매우 우수한 회귀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NH_4{^+}$이온은 $K^+$이온과 혼재할 때 $K^+$이온의 간섭으로 매우 낮은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Mg^{2+}$이온은 현재까지 이온선택성 막을 위한 최적의 Ionophore(이온투과 담체)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분석의 어려움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