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tening Literatur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정신분석적 및 존재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 GIM 음악분석 (Analytical elements in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Programs: From Psychoanalytical and Existential Aspects)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3권2호
    • /
    • pp.59-68
    • /
    • 2006
  • 음악에 대한 분석적 지식은 모든 음악치료 전문성의 기본이다. 특히 음악을 주 치료도구로(music as therapy) 사용하는 음악과 심상기법(GIM)에서는 각 요소들이 갖고 있는 심리적 혹은 정신분석적 의미와 심상 경험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분석에 대한 심리치료적 이해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GIM 훈련 과정에서 사용되는 음악분석 자료가 많이 미흡하다는 점과 기존의 분석이론의 적절성 문제가 언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는 물론 GIM 훈련자들을 위해 제안된 음악의 현상학적 분석, 통찰적 분석 등 다양한 음악분석이론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장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는 음악 요소들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개발하기 위해 Bruscia의 즉흥기법사정프로파일에서 제안된 음악요소의 정신분석적 및 존재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정리하였다. 심상 경험에 대한 분석자의 주간적인 이해 전에 음악 자체가 가지고 있는 요소적 특성을 규명하는 능력과 각 요소들의 정신분석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에 대한 이해는 GIM에서 심층적 경험을 해석하는 데에 중요한 임상적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e-Learning 환경에서 영어 말하기와 듣기 학습자의 몰입경험(flow) 척도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the Flow State Scale of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 강정화;한금옥;신동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3호
    • /
    • pp.13-2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low Experience' of those studying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The exploration of flow experience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of Csikszentmihalyi's flow models and other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flow experience focusing on arts, leisure and sports in accordance with Csikszentmihalyi's original theory, however, his flow theory has recently been adapted to the educational field. Nonetheless, it i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rather than the face-to-face traditional teaming environment, that there is not enough flow state measurement sca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s a stepping stone a flow state scale for those who study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by the cyber-native-speaker on e-Learn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 PDF

언어학습과 성격특성의 관계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A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and language learning)

  • 샘 아이젠버그;이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47-155
    • /
    • 2020
  • 이 연구는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의 학습자의 성격특성이 어떤 역할을 하여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연구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즉,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하기 위해서 언어학습과 성격특성에 관련된 연구들을 ProQuest, Google Scholar, 그리고 EBSCO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연구들을 검토하고 선정 및 정리하여 언어학습의 영역 즉 쓰기, 듣기, 말하기의 영역에서 성격특성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문헌별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의 결과 외향성 및 개방성의 특성은 언어의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에 기여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향성은 말하기에, 개방성은 듣기에 연관되어 있음을 연구들은 보고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성격특성은 개인의 언어학습의 전략에도 관계되어 있고 전략수립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초등영어에서 인형극을 활용한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방안 (Developing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y using puppetry in elementary schools)

  • 임병빈;김양숙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263-291
    • /
    • 2003
  • This paper is to help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develop and improve their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y present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using puppetry. It is absolutely obvious that listening and speaking are very important skills for most EFL students. Using puppets in the classroom is a creative English teaching technique which can involve authentic, communicative language situations. Moreover, puppets appeal to children and can aid in lowering affective filters thereby creating a more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clearly showed that using puppets is feasible and enjoyable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However, caution must be exercised in drawing and generalizing conclusions from thi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using puppetry in the English cla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ffective domains (interst, attitude). Second, using puppets in the English classes was found to be efficient for improving students'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hird, appropriate materials should be selected and well thought-out plans should be made to be successful English class using puppetry.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line of future research is to use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technique on the teacher variable.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especially on using puppetry for speaking proficiency and creating affectively comfortable learning atmospheres.

  • PDF

유아문학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the Conceptual Map of Kindergarten Teachers Concerning the Content of Literature Instruction)

  • 심성경;이효숙;변길희;김은아;박유미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5-371
    • /
    • 2008
  • Concept mapping was used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literature instructional content. Participants were 87 teachers recruited by the Provincial Authority for Supervision of Education in Jeonam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Yun's (1998) method based on Novack & Gowin (1984), Morine-Dershimer (1993), and Markham et al. (1994). Findings were that (1)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superordinate concepts of early childhood instructional content in literature to be typesof literature, reading, writing, speaking, expression, and listening. Subordinate concepts were stated by 456 different words. (2) Types of literature and writing were highest in frequency of superordinate concepts and were also high among subordinate concepts and hierarchy. (3) Teachers' concepts varied by teaching careers in writing and reading.

  • PDF

초등학생의 수학 청해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Mathematics Listening Ability Survey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19
    • /
    • 2023
  • 수학 청해력이란 수학적 개념과 원리가 포함된 음성 언어를 듣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일상생활 및 타 교과 수업에서의 듣기와 구분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수학 청해력은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해석하며 듣기, 발견하며 듣기, 평가하며 듣기는 수학 수업에서 바람직한 듣기 태도를 나타낸다. 반면 선택적으로 듣기, 듣는 척하기, 무시하기는 적절하지 않은 듣기 태도 유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청해력의 여섯 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 834명과 그들의 담임 교사 총 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분석을 근거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청해력 측정 도구를 교사용, 학생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측정 도구 개발 과정에서 신뢰도 검증을 위해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검토 및 교사용과 학생용 측정 도구 응답 결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학생들과 그 담임 교사의 설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추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선행연구 및 통계 자료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2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청해력 측정 도구(학생용), 26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수학 청해력 측정 도구(교사용)를 개발 하였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검사지 구성의 원칙과 절차: 문항 유형 확정 모델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 김용명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153-184
    • /
    • 2010
  • On the bases of the 5 principles and the 4 criteria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of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this study presents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as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 two tests. It sets up the criteria for validating item types, designs a modular type of test specifications, constructs an item-types bank, and specifies a complementary type of test specifications of the two tests. To gather all these threads up, it constructs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which consists of such components as the item-type pool, the validity criteria and the procedures of testing item types, the item-types bank, the modular and the complementary type test specification. Thus, it shows how the Model works in developing and constructing the two level-differentiated listening and reading tests (the 2nd and the 3rd rank) of NEAT. Finally, it discusses som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Model to the two level-differentiated tests (the A and the B type) of 2014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ystem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classroom testing. In conclusion,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functions as a testing template in an item development system and as a matrix in an item-types bank system.

  • PDF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ESL Learning Strategies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of Asian Students

  • Kang, Sung-Woo
    • 영어어문교육
    • /
    • 제5호
    • /
    • pp.1-25
    • /
    • 1999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learning strategy use and language proficiency among the Asian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 students studying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The instruments were a language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and the Institutional Testing Program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TP TOEF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nd language proficiency. The present study found only weak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nd language proficiency. Only 13% and 15% of variance of the listening and grammar/reading factor were explained by th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appeared not to have direct relationships to the language skill factors, as was found in other studies (Purpura, 1996, 1997). The effects of the social and affective strategies were very small. They in combination could account about 1% and 4% of the variance of the listening and grammar/reading factors.

  • PDF

Effective Models of English Team Teaching in Korean Middle Schools

  • Kim, Jeong-Ok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3호
    • /
    • pp.105-12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effective models of team teaching in Korean middle school classrooms based upon a questionnaire survey and two English listening tests. The data from 349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3 different middle school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etween team teaching (TT) types in terms of participants' background language learning methods and their opinions about T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students appear to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T according to the TT types. Also the results of the English listening tests between students who took TT and those who didn't take T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T groups. This study gives both native English teachers (NET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KETs) the perspectives about effective TT type and the opportunities that both types of teachers could reconsider their TT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more successfully.

  • PDF

난임 여성의 정서조절기술 향상을 위한 심상 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Imagery-Focused Music Listen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 Regulation Among Infertile Women)

  • 노윤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2호
    • /
    • pp.29-5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의 정서조절기술 향상을 위한 심상 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난임 여성의 정서적 어려움과 이에 대한 대처방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난임 여성의 정서적 필요에 개입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확립하였다. 또한, 지지적 음악심상기법(Supportive Music and Imagery, 이하 SMI)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중재의 핵심 요소들을 분석했다. 확인된 이론적 기반 및 도출된 핵심 요소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음악과 심상 전문가 4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수정 및 보완되었다. 연구 결과,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긍정 정서 자원의 발견-강화-확립의 체계적 구성을 통해 난임 여성의 긍정적 정서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긍정 정서 자원을 규명하고 확립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정서유도 및 조절과 관련하여 기능할 수 있는 음악요소의 특성이 분석된 음악 자원 역시 제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각 개인이 심상 중심 음악감상을 통해 내적자원을 발견하도록 지지함으로써 난임으로 인한 부적 정서에 대처하고 긍정 정서 자원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는 처음으로 적용된 본 프로그램은 기존의 SMI를 특정 대상군의 필요에 맞게 응용·확장한 것으로 기존의 일반적 SMI 적용에서 한발 나아가 새로운 시도를 한 것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