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efaction Remedi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쇄석다짐말뚝에 의한 연약지반의 액상화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Liquefaction Remediation by Rammed Aggregate Piers(RAP) on Soft Ground)

  • 안동석;배경태;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030-1035
    • /
    • 2008
  • Dynamic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liquefaction remediation of rammed aggregate piers(RAP) on soft ground under free strain conditions. The safe factors of the soft ground reinforced by RAP during seismic loading of magnitude 6.5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ed that factors of safety were affected various area replacement ratios, surcharge loads and depth of RAP systems.

  • PDF

모래다짐말뚝(SCP)에 의한 매립지반의 액상화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mediation of Reclaimed Land by Sand Compaction Pile)

  • 김종국;손형호;윤원섭;채영수;최인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678-1688
    • /
    • 2008
  • In this study, dredging reclamation ground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ground improvement and liquefaction reduction effect with the result that standard penetration test(SPT) and piezo penetration test(CPT) before and after of improvement. Especially, the estimate center of the pile and factor of liquefaction safety to the position of ground around with the pile presented improvement of compaction for improved compaction of dredging reclamation ground.

  • PDF

연약지반상 지진하중을 고려한 철도노반의 안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Rail way Construction on the Reclaimed Land for Domestic Marine Clay Using the Seismic Analysic)

  • 김영수;김무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1076
    • /
    • 2004
  •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analyze liquefaction potential of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at the Area Phase ' I ' for Railway Construction of all, seismic response was analyzed using the computer program, Shake91. Four methods proposed by Seed & Idriss. Eurocode, Iwasaki & Tatsuoka. and Ishihara were used for assessment of liquefaction potential and safety factors calculated form these methods are com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seismic response analysis, the maximum acceleration at the ground surface is larger than that evaluated site factor effect by using site factor because these areas are composed of very loose sand clay. Especially, in the case of analysis with long period earthquake data. it is appeared that the acceleration of earthquake is amplified more largely. Therefore, accurate seismic response analysis is suggested for the design on the important structures on reclaimed land. The analytical results of liquefaction potential show that the increments of N-value and effective overburden pressure with remediation make safety factors increase. Through comparing the safety factors evaluated from four method, the safety factor calculated by See & Idriss method in the lowest one and it is found that the SPT N-value effect the safety factor very largely. And, Iwasaki & Tatsuoka method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average grain size. fine contents, confining pressure. In conclusion. to minimize earthquake Risk by liquefaction, the efficient remediation is essential and seismic response analysis should be carride out.

  • PDF

사면에서 발생하는 액상화 수치해석 (Numerical Modeling of Soil Liquefaction at Slope Site)

  • 박성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133-1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저자가 제안한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하여 지진시 사면의 동적거동에 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항복함수는 동일한 응력비를 가진 무한개의 방사선을 의미하며, 비관련 유동규칙을 가진 탄소성모델인 UBCSAND를 이용하였다. 이 모델은 FLAC내에 내장된 Mohr-Coulomb모델을 변형한 형태이다. UBCSAND모델을 이용하여 RPI에서 수행한 원심모형실험결과를 예측하였다. 먼저, UBCSAND모델을 Nevada모래를 사용한 반복 직접단순전단시험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액상화전후의 거동을 예측하였다. 이와 같이 검증된 모델을 원심모형실험에서 계측된 가속도, 과잉간극 수압, 변위와 서로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계측치와 예측치가 일치하였다.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한 동적 수치해석기법은 서부 캐나다에서 댐, 교량, 터널, 파이프라인과 관련된 액상화 프로젝트에 실제 사용되고 있다.

  • PDF

지진 시 George Massey 침매터널의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George Massey Immersed Tunnel during Earthquake)

  • 박성식;문홍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C호
    • /
    • pp.221-230
    • /
    • 2008
  • 캐나다 서부 밴쿠버 지역의 Fraser강 바닥의 사질토 지반에 위치한 George Massey 침매터널이 지진 시에 어떻게 거동하는 지를 연구하였다. 지진으로 발생하는 간극수압을 계산할 수 있는 유효응력모델인 UBCSAND모델을 이용하여 지진하중으로 인한 지반의 변위와 침매터널의 거동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미국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RPI)에서 실시한 원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석한 George Massey 침매터널의 원심모형실험은 2개의 모델로 구성되었으며, Model 1은 기본 모델로서 원상태 지반을, Model 2는 다짐공법으로 지반개량을 실시한 지반을 모델링하였다. 원심모형실험 Model 1에서 설계지진으로 인한 주변 지반의 액상화로 모형터널의 변위가 크게 발생하였다. Model 2에서 다짐공법으로 터널 주변 지반을 개량하였을 때 모형터널의 수직 및 수평 변위는 Model 1보다 50% 정도 감소하였다. UBCSAND모델은 원심모형실험에서 계측된 과잉간극수압, 가속도, 변위를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검증된 수치해석방법은 유사한 지반에 설치된 침매터널의 지진 시 변위와 거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액상화에 대한 지반개량공법과 개량범위를 체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안벽 구조물의 내진성 평가를 위한 진동대 시험 (Shaking Table Tests for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of Quay Walls)

  • 김성렬;박영호;권오순;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75-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진동대 시험을 실시하여 지진동에 대한 일반 안벽 구조물과 내진 보강된 안벽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분석하고 내진보강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진동대 시험은 기초지반이 조밀한 경우와 느슨한 경우, 자갈 뒤채움재를 설치한 경우 그리고 내진대책공법으로 경량재 치환공법과 모래다짐말뚝 공법을 적용한 경우 등 총 5가지 시험단면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과잉간극수압, 가속도 반응 그리고 지반의 변형양상을 분석한 결과, 기초지반과 뒤채움 지반의 연약화가 안벽 구조물의 동적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경량재 치환공법과 모래다짐말뚝공법이 안벽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