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noleic acid oxidation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468초

갓김치모델시스템에서 발효과정중 Chlorophylls의 특성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s of chemical and Antioxidative Characeristics of chlorophylls in the Model System of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최홍식;송은승;전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20-525
    • /
    • 1999
  • Changes of chemical and oxidative/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chlorophylls(CHLs) and their derivatives in the model system of mustard leaf kimchi(MLK)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of MLK(at 15oC, for 25days, 2.3$\pm$ 0.1% salt content) pH and total acidity were decreased/increased from 5.6 and 0.4%(initial day) to 3.6 and 1.07%(final day) resceptively. Activities of lipoxygenase and peroxidase were decreased gradually, however, these of chlorophyllase was increased in the first 10 days of fermentation. CHLs of MLK in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were degraded rapidly and all CHLs and chlorophyllides were converted to pheophytins and pheophorbides in the final stage. Deg radation effects of CHLs(a & b) and their derivatives(pheophytins a & b) fractionated from MLK and carotene on the autoxidation and lipoxygenase oxidation of linoleic acid were observed, and also strong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HLs and pheophytins were shown in their autoxidation/enzymtic oxidation of linoleic acid.

  • PDF

베타-카로틴과 알파-토코페롤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리폭시게나아제의 영향 (Effect of Lipoxygenase on Oxidative Stability of ${\beta}-Carotene$ and ${\alpha}-Tocopherol$)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1
    • /
    • 1992
  • 고형상의 모델시스템에서 베타-카로틴과 알파-토코폐롤의 산화에 미치는 리폭시게나아제, 리놀레산, 수분활성도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리놀레산 존재하에서 리폭시게나아제에 의한 베타-카로틴과 알파-토코페롤의 산화반응은 높은 수분활성도에서 잘 일어났으며 반응 48시간 경과 후에는 베타-카로틴의 경우 초기함량에 대해 19% 잔존량만을 보였고 알파-토코페롤은 5%를 나타내어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같이 동일 조건에서 알파-토코페롤은 베타-카로틴보다 더 많은 감소량을 보여 peroxy radical과의 반응성이 베타-카로틴보다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타-카로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베타-카로틴의 산화속도도 비례적으로 빨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스펙트럼상으로 볼 때 베타카로틴의 산화로 인한 최대파장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았다. 알파-토코페롤의 산화생성물로는 ${\alpha}-tocopheryl\;quinone$${\alpha}-tocopheryl\;dimer$가 검출되었으며 주요 산화생성물은 ${\alpha}-tocopheryl\;quinone$으로서 반응경과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 산화생성물은 리폭시게나아제와의 반응에 의해 그 함량이 훨씬 많음을 나타내었다.

  • PDF

오리고기의 포장방법이 냉장저장 중 육색과 지방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Color and Lipid Oxidation of Duck Meat during Cold Storage)

  • 강근호;정태철;양한술;김상호;장병귀;강희설;이덕수;이상진;주선태;박구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4
    • /
    • 2006
  • 함기 포장과 진공 포장이 냉장 저장 중 오리고기의 육색, 지방 산화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는 가슴육이 다리육에 비해 낮았으며, 냉장 저장 중 가슴육이 다리육에 비해 육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다리육의 조지방 함량이 가슴육에 비해 약2배 정도 높았으며, 저장 3일 째부터 전단가가 낮아졌다. 함기 포장은 진공 포장에 비해 냉장저장 중 다리육의 지방 산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산화는 palmitic acid 함량의 감소와 linoleic acid 함량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오리고기의 장기적인 냉장 유통을 위해서는 함기 포장보다 진공 포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Enhanced Uptake of Modified Low-Density Lipoprotein by Eicosapentaenoic Acid-Treated THP-1 Macrophages

  • Kang, Young-Hee;Park, Sung-Hee;Kang, Jung-Sook;Park, Jung-Han-Yoo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26-33
    • /
    • 2001
  • Animal and clinical studies as well as epidemiological data have provided convincing evidence that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an protect against atherosclerosis. However, the effects of the fatty acids on atherogenesis are contradictory. This discrepancy could derive from great susceptibility of the fatty acids to oxida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icosapentaenoic aced(EPA) on cellular atherogenesis via the scavenger receptor of THP-1 derived macrophages. THP-1 cells were fully differentiated into macrophages by incubating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for seven days. Atherogenic features of EPA were compared by subsitituting for linoleic acid (LA). Macrophages were also incubated without treatment of the fatty acids as controls. EPA (5-50 nmol/mL) was not cytotoxic and did not measurably induce cellular oxidation compared to bovine serum albumin (BSA) vehicle or identical doses of LA. EPA increased macrophage uptake and degradation of acetylated LDL(AcLDL) up to 14% and 88%, respectively. EPA increased markedly total cellular sterol synthesis and heparin-releasable lipoprotein lipase activity of macrophages, indicating that EPA may enhance accumulation of cellular cholesteryl ester and possibly facilitate formation of foam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PA promotes the modified LDL-triggered atherosclerotic process by the modulation of the scavenger receptor and the activation of LPL in macrophages.

  • PDF

몇가지 천연 산화방지물의 첨가가 가열 팜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me Natural Antioxidants Effect on Thermal Oxidation in Palm Oil)

  • 장영상;이영수;강우석;신재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14
    • /
    • 1989
  • Effectiveness of some natural antioxidan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physico-chemical char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thermal oxidation in palm oil. Tocopherol showed most enhanced thermal oxidation stabilities compared to the other natural antioxidants. AR spice was no good AOM stability and changes of acid value but the other parameters were obtained desirable results. The changes of linoleic aicd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during thermal oxidation. Addition of rosemary and glycyrriza extract increased the stabilities of oil less than tocopherol and AR spice. Order of antioxdative effects was tocopherol, AR spice and others. There was no significiant difference in stability of rosemary and glycyrriza extract.

감마 오리자놀이 리놀산 및 분쇄돈육의 항산화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γ-Oryzanol on Lipid Oxidation of Linoleic Acids and Ground Pork)

  • 조수현;박범영;김진형;김용곤;이종문;안종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87-594
    • /
    • 2006
  • 미강으로부터 추출한 감마 오리자놀을 리놀산 및 분쇄돈육에 0.02%, 0.05%, 0.10% 0.15% 및 0.20%(w/w) 농도로 첨가하여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감마 오리자놀을 첨가한 리놀산은 40℃에서 10일간 저장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peroxide 값을 나타냈으며(P<0.05), 또한 감마 오리자놀 처리구는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peroxide 값을 나타냈다. 분쇄생돈육에 0.05%, 0.10%, 0.15% 및 0.20%의 감마 오리자놀을 첨가하여 4℃에서 6일간 저장한 결과 감마 오리자놀을 0.20% 첨가한 처리구가 저장기간 동안 합성항산화제인 BHA와 유사한 수준의 TBARS 값을 나타냈다. 분쇄가열돈육에서도 감마 오리자놀을 첨가하여 4℃에서 4일간 저장한 결과 감마 오리자놀을 0.05% 이상 첨가한 처리구들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TBARS 값을 나타냈으며(P<0.05) 분쇄생돈육에서와 같이 감마 오리자놀을 0.20% 첨가한 처리구의 TBARS 값이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감마 오리자놀은 신선육에 0.20% 이상, 가열육에는 >0.05% 사용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감마 오리자놀은 식육 및 육제품에 항산화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육가공 제품의 저장 및 조리방법이 지질산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Days and Cooking Method on Lipid Oxidation in Processed Meat Products)

  • 이재민;조정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79
    • /
    • 1995
  • Ham, sausage and bacon were treated with common household processing techniques including refrigerated storage(0, 14, 28 days) and cooking(pan-frying, microwaving, boiling). Lipid oxid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fatty acid composition, malonaldehyde(MA), TBA values and by measuring fluorescent products. Major fatty acid composition were oleic acid and followed respectively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ty acid composition by cooking method but there was a tendency of being increased of unsaturated fatty acid during 28days storage. Ma, TBA and fluorescent products showed a tendency of being increased continually according to storage days rather than cooking method.

수용성 계에서 Phenolic Acid류와 인삼 추출물이 갖는 산화방지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Acids and Ginseng Extract in Aqueous System)

  • 이형옥;박옥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34-438
    • /
    • 1998
  • Linoleic acid 1% 완충용액에 3종의 phenolic acid류, 즉 caffeic acid, ferulic acid, vanillic acid 및 인삼 추출물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비교물질로 ${\alpha}-tocopherol$을 사용하여 MDA (malondialdehyde) 정량법과 headspace oxygen analysis로 측정 비교 하였다. MDA 생성량으로 비교한 산화방지 효과는 $caffeic\;acid{\geq}ferulic\;acid>{\alpha}-tocopherol>$인삼 추출물>vanillic acid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산화저해율은 각각 63.5, 62.9, 52.3, 51.2, 5.6% 이었다. 첨가된 인삼 추출물의 농도는 700 ppm, 그외 phenolic aicd류 및 ${\alpha}-tocopherol$의 농도는 각각 100 ppm 이었다. 또한 인삼 추출물에 caffeic acid와 ${\alpha}-tocopherol$을 각각 100 ppm 첨가한 결과 91.2%의 산화저해율을 나타내었다. Headspace oxygen analysis 에 따른 결과에서는 MDA 생성량으로 비교한 산화방지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ferulic acid>caffeic acid>${\alpha}-tocopherol$>인삼 추출물>vanillic acid의 순 이었고, 이때의 headspace 중 산소 함량은 18.56, 17.78, 17.17, 16.65, 15.95%로 각각 나타났다.

  • PDF

모델시스템에 있어서 무지개 송어 지방질의 산화에 대한 Lipoxygenase의 영향 (Effect of Lipoxygenase on the Oxidation of Rainbow Trout Lipid in Model system)

  • 김혜경;엄수현;최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0-75
    • /
    • 1995
  • The effect of lipoxygenase (LOX) on the oxidation and co-oxidation of lipid fraction was studied in the model system of rainbow trout. For the reaction in model system 1 g of lipid fraction and 50mL of enzyme extract(LOX, 140 unit in 50mL phosphate buffer solution at pH 7, 4)), which were obtained from rainbow trout, were homoginized in the presence of Tween 20 and kept at 23$\circ$C for 3 days. The activity of LOX was decreased to 43% of initial level during the reaction in the model system. The initial composition of rainbow trout lipid was showed to be consisted of trigliceride(TG;82%) and free fatty acid(FFA;0.1%), while this converted to 59% of TG and 20% of FIFA, respectively after reaction in model system.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 was also observed an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one of the major fatte acids, was decreased to 13% from 54% in the content of total fatty acids after reaction. The carotenoids in rainbow trout were composed of 0.4% $\alpha$-carotene, 1.6% $\beta$ -carotene, 80% canthaxanthin, 7% lutein and 11% zeaxanthin, thus the canthaxanthin was the major component. This canthaxanthin was the most degraded carotenoid by lipoxygenase catalyzed co-oxidation during the reaction. On the other hand the tocopherol isomers found in the rainbow trout were $\alpha$ and $\beta$ -tocopherol, and $\alpha$-tocopherol had a higher degradation rate by the lipoxygenase catalyzed co-oxidation than of $\beta$-tocopherol in the reaction of model system.

  • PDF

감자튀김 횟수에 따른 식용유지의 산화 안정성 및 지방산 조성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Oxidation Stability of Edible Oils with Frying Number of French Fried Potatoes)

  • 이진원;박장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1011-10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감자튀김 횟수에 따른 각종 식용유지의 화학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식용유지로서는 sunflower oil(SO), canola oil(CO) 및 frying oil(FO)을 사용하였으며, 튀긴 감자에서 추출한 기름의 지방산 조성 변화와 산화 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튀긴 감자에서 추출한 기름의 산화정도는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CO 및 FO를 사용하여 튀긴 감자에서 추출한 기름에 대한 산가는 튀김 횟수가 30회의 경우 초기보다 각각 0.20, 0.17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SO의 산가는 CO와 FO에 비하여 그 값이 낮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 측정 결과는 일률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지방산 조성 변화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 SO 및 FO를 사용하여 감자를 튀긴 경우 튀김 반복횟수가 증가할수록 oleic acid 함량은 감소하고 linoleic acid 함량은 증가하였다. 벤조피렌 생성 유무 측정 결과는 SO, CO 및 FO에서 튀김 초기와 반복횟수에 따라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 튀김에 사용한 식용유지 종류 및 튀김 반복 횟수에 따라서 지방산 조성에 변화가 나타나며 그로 인하여 유지의 산화 안정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