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c acid

검색결과 2,150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 토양균중 Esterase 저해제 검색 및 분리에 관한 연구(제 2 보) Streptomyces Strain DMC-498 균주의 저해성분 및 관련 지질의 분리 (Studies on Screening and Isolation of Esterase Inhibitors from Soil Microorganisms (II). Isolation of Inhibitors and Associated Lipids from Streptomyces Strain DMC-498)

  • 이승정;김하원;곽진환;심미자;허영근;김성원;최응칠;김병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81-189
    • /
    • 1987
  • 한국 토양균 중에서 esterase 저해제를 생산하는 균주인 Streptomyces strain DMC-498을 oatmeal yeast extract 배지에서 3일간 액내 배양하였을 때 최고의 저해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균사체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저해제를 분리하였다. linoleic acid가 저해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50% 저해작용을 나타내는 linoleic acid의 양은 $0.045\;\mu\textrm{g}/ml$이었다. 활성이 보다 큰 compound A는 분자량이 500 이상이며 산소를 2개이상 함유하고 있는 환상구조의 지방족 화합물로 생각된다. 이것을 상경적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DMC-498 균주가 함유하는 지질의 주성분은 isostearic acid, isostearic acid methyl ester, linoleic acid methyl ester 및 oleic acid methyl ester이었다.

  • PDF

Effects of Essential Fatty Acids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Hormone Synthesis and Embryonic Developmental Potential

  • Kim, Kang-Sig;Park, Hum-Dai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5-85
    • /
    • 2019
  • Omega-3 α-linolenic acid and omega-6 linoleic acid are essential fatty acids for health maintenance of human and animals because they are not synthesized in viv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al potential of porcine oocytes. Various concentrations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added into in vitro maturation medium, and we evaluated the degree of cumulus expansion, oocyte nuclear-maturation rate, blastocyst rate, blastocyst quality, and levels of prostaglandin E2, 17β-estradiol, and progesterone in the spent medium. High doses (100 μM)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hibited cumulus expansion and oocyte nuclear maturation, and prostaglandin E2 synthesi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other groups (p < 0.05). Supplementation of 50 μM α-linolenic acid and 10 μM linoleic acid showed higher quality blastocysts in terms of high cell numbers and low apoptosis when compared with other groups (p < 0.05), and synthesis ratio of 17β-estradiol / progesteron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59 ± 0.22 vs. 2.97 ± 0.22, 3.4 ± 0.28 vs. 2.81 ± 0.19, respectively; p < 0.05). Our results indicated that supplementation with appropriate levels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beneficially affects the change of hormone synthesis (in particular, an appropriate increase in the 17β-estradiol / progesterone synthesis ratio) for controlling oocyte maturation, leading to improved embryo quality. However, high doses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treatment results in detrimental effects.

페놀물질을 첨가한 Linoleic Acid의 항산화 효과측정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Phenolics on Linoleic Acid With Phenolics)

  • 김정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7-153
    • /
    • 1993
  • Phenolics as antioxidant were added to linoleic acid to prevent lipid oxidation.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them was measured by peroxie value at each 24hour interval in order to compare with 0.02% protocatechuic acid(PRL) and phloroglucinol(PHL) in linloleic acid, contrast tube at 37$^{\circ}C$for 96 hours blowing oxygen into specimen. Perocide values of oxidized linoleic acid, PRL, PHL for 96 hours were 78, 42, 30, From that the effect is more clearly demonstrated by NMR rather than UV and that the effect was dependent on the functional group and geometric molecular structure of phenolics.

  • PDF

참깨 품질 개량에 관한 연구 제1보 참깨 유질평가와 지방산조성의 품질간 차이 (Breeding of Sesame (Sesamum indicum L.) for Oil Quality Improvement 1. Study on the evaluation of oil quality and the differences of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varieties in sesame)

  • 이정일;강철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4-65
    • /
    • 1980
  • 참깨의 유질을 개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참깨유구성지방산 종류별 함량의 품종간 차리와 조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시험을 하였는 바 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불포화지방산인 Olieic acid는 평균 39% 함유 되어 있으며 최저함량은 32.6%에서 최고함량은47.3%까지 14.7%의 변이복을 가지적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적으로 45.8%이며 최w저 31.1%에서 최고 54.9%까지 무려 23.8%의 품종간 차를 보였다. 2.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에서는 Palmitic acid의 평균함량은 9.5% 최저 4.6%, 최고 18%로서 13.4%의 품종간 차이가 있으며 Stearic acid 평균함량 4.8%, 최저 1%에서 최고 9%까지 8%의 품종간 변이를 보였다. 3. 품종 유래에 따른 지방산 조성 차이를 보면 한국품종과 미국품종들이 Palmitic, Stearic acid 함량이 가장 낮고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특히 한국품종은 가장 양질유 품종들이었다. 대체로 재배기간의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 특히 한국재래종은 불포화양질유지방산 함량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재래종인 만성종은 Linoleic acid 함량이 54.9%이며 Oleic + Linoleic acid 함량이 92%에 이르러 참깨 지방산 개량육종에 중요한 유전자원이라 할 수 있다. 5. 참깨 종피색별 지방산조성 차이에서는 양질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과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았던 것은 황색 종피종(47.5%)이었으며 그다음이 갈색 종피종이었다. 6. 지방산 조성의 숙기별 차를 보면 포화지방산에서는 숙기별 차이가 거의 없으나 불포화지방산중 Oleic acid는 조숙에서 만숙으로 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데 반해서 Linoleic acid는 만숙일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조숙종에서는 Oleic acid 함량이 Linoleic acid 함량보다 약간 더 높아서 중ㆍ만숙종과 조성 패턴이 다름을 보여 주었다. 7 착과습성에 따른 지방산조성 차이에서는 1과성은 포화지방산이 높고 3과성은 불포화지방산중 Linoleic acid 함량이 1과성보다 월등히 높았으나 Oleic acid 함량은 1과성보다 약관 낮은 편이었다. 8. 실방수 차이에서는 3과성 2실4수이 불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고 포화지방산에서는 1과성 2실4수이 가장 높았다. 4실8수에서는 일정한 영향이 보이지 않았다. 9. 지방산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간에는 r =-0.955**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여 지방산 개량육종의 전망을 밝게 해주며 O1eic과 Linoleic acid간에도 에우 높은 부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필수지방산 함량을 높이는 개량 육종도 가능하다.

  • PDF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을 달리한 쌀의 지방산 및 페놀산 함량 비교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Phenolic Acid in Rice with the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인호;전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1-726
    • /
    • 1996
  • 쌀의 영양, 가공 및 저장 등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 별로 시료를 제조하여 지방산과 페놀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쌀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oleic 및 linoleic으로서, 배아는 palmitic 20.0%, oleic 33.3% 및 linoleic 43.0%의 함량을, 미강은 palmitic 17.3%, oleic 45.1% 및 linoleic 34.5%의 함량을, 백미는 palmitic 23.4%, oleic 26.2% 및 linoleic 46.4%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 지방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oleic은 외층일수록, linoleic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백미의 경우 oleic acid는 외층일수록,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및 linolenic acid는 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페놀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유리 페놀산 321.0mg%, 페놀산 에스터 299.7mg%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212.4mg%이었다. 백미는 유리 페놀산 118.omg%,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56.0mg%이었고 페놀산 에스터는 추출되지 않았다. 페놀산의 구성성분은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의 함량이 86.2%로 가장 높았으며 sinapic 및 syringic acid는 35.7~36.6%, p-coumaric acid는 16.7%이었고 vanill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백미는 ferulic acid 12.3%, sinapic acid 4.1%, p-coumaric acid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로 조사한 총 페놀산의 함량은 배아가 0.18%로 가장 높았으며 미강은 외층일수록 함량이 높았고 백미는 미량존재 하였던 성분이 분획에 따라 함량이 분산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 PDF

Biohydrogenation Pathways for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by Orpinomyces Rumen Fungus

  • Nam, I.S.;Garnsworthy,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1호
    • /
    • pp.1694-1698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iohydrogenation pathways for linoleic, linolenic, oleic and stearic acids by Orpinomyces species of rumen fungus during in vitro culture. Biohydrogenation of linoleic acid produced conjugated linoleic acid (cis-9, trans-11 C18:2), which was then converted to vaccenic acid (trans-11 C18:1) as the end product of biohydrogenation. Biohydrogenation of linolenic acid produced cis-9, trans-11, cis-15 C18:3 and trans-11, cis-15 C18:2 as intermediates and vaccenic acid as the end product of biohydrogenation. Oleic acid and stearic acid were not converted to any other fatty acid. It is concluded that pathways for biohydrogenation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by Orpinomyces are the same as those for group A rumen bacteria.

지질산화생성물의 DNA손상작용 및 그 억제기구 (DNA Damage of Lipid Oxidation Products and Its Inhibition Mechanism)

  • 김선봉;강진훈;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9-430
    • /
    • 1987
  • 지질산화생성물에 의한 DNA손상작용 및 그 억제 기구를 밟히기 위하여 linoleic acid와 plasmid DNA와의 모델계를 통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하여 DNA가 손상되었으며, 그 정도는 linoleic acid의 양이 많을 수록 크게 나타났다. 2.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한 DNA손상작용은 POV 100 mea/kg이하인 산화초기에서도 빠르게 진행되었다. 산화초기의 DNA손상작용에는 활성산소 종의 관여가 크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일중항 산소와 superoxide anion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지질 2차반응생성물인 malonaldehyde와 hexanal의 DNA손상작용은 linoleic acid경우와는 달리 활성산소종과는 무관하였으며 DNA와 와의 복합체형성에 의하였다. 4. Linoleic acid hydroperoxide의 DNA 손상작용은 linoleic acid의 초기신화에 의한 DNA손상작용 보다 크게 나타났고, 활성산소종의 영향은 없었다. 5. 지진산화생성물에 의한 DNA손상 작용은 천연 항산화성분(마늘 및 생강추출물) 및 활성산소소거제($\alpha-tocopherol 및 superoxide dismutase$의 첨가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다. 특히 . 마늘 및 생강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비롯하여 공액 diene 및 POV의 증가 또한 크게 억제하였다.

  • PDF

새로이 분류된 천연 항암제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LA) (Naturally-Occurring Novel Anticatcinogens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iec Acid (CLA))

  • 하영래;마이클파리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1-407
    • /
    • 1991
  • 동물실험을 통하여 새로이 밝혀진 항암제(anti-initiator/anti-ptomotor)인 CLA는 grilled ground beef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CLA는 grilled ground beef 외에도, cheese 및 이들 관련식품에 많이 존재한다. CLA는 반추동물의 위에 서식하는 혐기성 bacteria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성되며, 식품 가공 중에서도 생성된다. 이것은 또한 in vivo에서 linoleic acid의 carbon centered free radical 형태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CLA는 아주 강력한 항산화제임이 밝혀져, 지금까지 알려지 있지 않았는 free radical에 대응하여 membrane을 보호하는 in situ defense mechanism 역할을 한다. 이는 또한 cytochrome P450 isozyme의 활성을 저해하는 반면, ODC 효소 활성 역시 저해한다. 그래서, 적어도 CLA의 이 세가지 biological activity가 CLA 항암기작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Zn, Cu 및 Linoleic Acid의 급여(給與)에 의한 가토(家兎) 횡문근(橫紋筋)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변화(變化) (Histopathological Changes on the Striated Muscle of Rabbits Fed Zinc, Copper and Linoleic Acid)

  • 허민도;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9
    • /
    • 1983
  • The present studs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on the cardiac and skeletal muscles, and liver of rabbits fed a commercial ration, either alone or with supplements of Zinc (3,000mg/kg. of diet, as sulfate), Copper (1,500mg/kg. of diet, as sulfate), Linoleic acid (3% of diet), Zinc with Linoleic acid and Copper with Linoleic acid. In the skeletal muscle, light microscopic changes observed were cloudy swelling, hyaline degeneration, atrophy, fragmentation and coagulative necrosis of muscle fibers, and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infiltration of mononuclear cells. Especially, in rabbits fed with supplements of Zinc with Linoleic acid and Copper with Linoleic acid, calcification with muscle fibers progressing to necrosis were often observed. In the myocardium, loss of muscle fibers with necrosis and vacuolization, hyaline degeneration, hemorrhage and congestion were observed. In the liver, congestion and necrosis of hepatocytes, and centrilobular necrosis were observed. Differences of histological chang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was not mark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