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nosulfonate, : Polymeriz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백색부후균에 의한 리그닌의 중합화와 탈중합화 (제1보)-리그닌분해균에 의한 Lignosulfonate의 분해- (Polymerization and Depolymerization of Lignins by White-Rot Fungi(I)-Degradation of Lignosulfonate by Lignin-degrading Fungi-)

  • 정현채;김병수;박종열
    • 펄프종이기술
    • /
    • 제29권4호
    • /
    • pp.64-72
    • /
    • 1997
  • 백색부후균에 의한 리그닌의 분해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리그닌 분해능이 우수하고 laccase활성이 높은 LKY-7 및 C. versicolor-13 균주와 manganese peroxidase 활성은 비교적 높으나 laccase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LSK-27 균주로 lignosulfonate를 처리하였다. LKY-7 과 C. versicolor-13 균주에서는 lignosulfonate의 중합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중합화는 laccase 활성 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SK-27 균주에서는 lignosulfonate의 고분자 영역이 분해되면서 탈중합화가 일어났으며 리그닌 분해 효소로는 manganese peroxidase만 검출되었다. 보조기질로 glucose를 첨가한 결과, LKY-7 균주에서는 laccase 활정이 각소하면서 중합화 현상이 어느 정도 감소하였으나 C. versicolor-13 균주는 laccase 활성의 증가와 함께 중합화도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SK-27 균주에서도 glucose 첨가에 의해 manganese peroxidase 활성이 증가되면서 lignosulfonate의 중합화가 관찰되었다. lignosulfonate 중합화에는 laccase 뿐만 아니라 manganese peroxidase도 관여하며 보조기질로서 탄소원의 종류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Degradation of Lignosulfonate by Fungal Laccase with Low Molecular Mediators

  • Cho, Nam-Seok;Shin, Woon-Sup;Jeong, Seon-Wha;Leonowicz, 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10호
    • /
    • pp.1551-1554
    • /
    • 2004
  • In the presence of laccase, low molecular weight (M.W.) fractions from lignosulfonate (M.W. 97 kD) were produced. By Sephadex column chromatography, four lower M.W. fractions of 9 kD, 1.8 kD, 1 kD and 0.85 kD were identified. The addition of acetovanillone (AV) or acetosyringone (AS) enhanced to the degradation of lignosulfonate with fungal laccase. During this process, there were found new generation of lower M.W. fractions, e.g. approximately 20 kD, 1.8 kD, 1 kD and 0.85 kD for AV, and 20 kD, 3 kD, 1 kD and 0.85 kD for AS, respectively. The quantities of lower M.W. products (especially the fractions of M.W. 1 kD and 0.85 kD) were larger than those in the controls. Also, its degradation became more active in the presence of AS than AV. The presence of AS or AV seems to prevent the re-polymerization of degraded lignosulfonate by the laccase.

전도성 고분자-리그닌 복합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nducting Polymer-Lignin Composite)

  • 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33권2호
    • /
    • pp.210-215
    • /
    • 2022
  • 표면의 전하 특성이 다른 두 가지 리그닌을 사용하여 이전 연구에서 제시된 간단한 방법인 용액상 화학적 중합을 이용하여 폴리피롤@리그닌(PPy@lignin) 및 폴리피롤@리그노설포네이트(PPy@lignosulfonate)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폴리피롤은 두 가지 리그닌 표면에서 각각 성공적으로 중합되었으며, 얻어진 복합소재들은 주사전자현미경, 순환전압 전류법, 임피던스(impedance)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리그닌의 종류가 달라도 복합재료들은 성공적으로 제조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기적 특성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개별 리그닌의 표면 특성 차이로 나타나는 물성 차이가 존재함을 임피던스 분석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나아가, 두 가지 복합소재들을 아가로즈(agarose) 젤(gel)에 투입하여 전도성 젤을 형성하고 이 젤들의 특성들을 역시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살펴보았으며,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리그닌의 전기절연성에도 불구하고 전도성 젤이 전기전도도를 포함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도성 젤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Pleurotus ostreatus에 의한 리그닌 분해에 미치는 수종 탄수화물의 영향 (Effect of several carbohydrates on lignin degradation by pleurotus ostreatus)

  • 김규중;맹진수;강사욱;하영칠;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3-328
    • /
    • 1986
  • To clarify the effects of several carbohydrates on the biodegradation of lignin by Pleurotus ostreatus. The strain was cultured on the media formulated with lignin and carbohydrates such as cellulose, xylan, collobiose, glucose and xylose, which was added individually. The culture mixtures grown 36 days were filtered and then estimated the degree of lignin biodegrada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P. ostreatus was stimulated and the depoly-merization was also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carbohydrates. When the carbohydrates were not added, polymerization was apparent in stead of depolymerization. In the case of glucose as an added carbohydrate, the content of lignin by the nitrosolignin method was greatly (about 7.4 times) decreased than control which contains lignin as a carbon source. The peak of lignin at 280nm in UV spectra was decreased about 27% after 27 days of culture. As results, it was assumed that lignin biodegradation was correlated to the carbohydrates and especially glucose was very significant role in lignin degrad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