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nin biocha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리그닌 바이오차가 배추 재배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ignin Biochar Application on Kimchi Cabbage Cultivation)

  • 조한나;박재혁;윤진주;이승규;김소희;조주식;강세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3-357
    • /
    • 2023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ignin biochar on Kimchi cabbage cultivation in an upland field. Each of the inorganic fertilizers (IF, applied at 32-7.8-19.8 kg/10a=N-P-K), lignin biochar (LBC, applied at 1,000 kg/10a), improved LBC (LBC+N, applied at 1,000 kg/10a), and LBC+IF treatments areas were separated by a control (Cn) treatment area. The fresh weight of Kimchi cabbage increased in the order LBC+N > IF > LBC+IF > Cn > LBC treatments,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eaf were ranged from 20.8-25.7 and 13.7-15.8 cm/plant in all treatments. After Kimchi cabbage harvesting in the LBC+N treatment, soil quality improved bulk density, pH, OM, TN, and Av-P2O5 than those other treatments. In addition, the total N2O flux in LBC+N LBC+N was lower than in IF treatments. Therefore, improved lignin biochar application effectively improves Kimchi cabbage cultivation and can benefit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리그닌과 적니의 공동 열분해를 통한 금속-바이오차 생산 및 수중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활용 (The Production of Metal-biochar through Co-pyrolysis of Lignin and Red Mud and Utilization for the Removal of Contaminants in the Water)

  • 김은지;김나은;박주영;이희연;윤광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9권2호
    • /
    • pp.1-10
    • /
    • 2024
  • With industrial development, the inevitable increase in both organic and inorganic waste necessitates the exploration of waste treatment and utilization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co-pyrolyzing lignin and red mud to generate metalbiochar, aiming to demonstrate their potential as effective adsorbents for water pollutant removal. Thermogravimetric analysis revealed mass loss of lignin below 660℃, with additional mass loss occurring (>660℃) due to the phase change of metals (i.e., Fe) in red mud. Characterization of the metal-biochar indicated porous structure embedded with zero-valent iron/magnetite and specific functional groups. The adsorption experiments with 2,4-dichlorophenol and Cd(II) reveale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two pollutants reached its maximum at the initial pH of 2.8.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pyrolysis of lignin and red mud can transform waste into valuable materials, serving as effective adsorbents for diverse water pollutants.

저속열분해를 통한 바이오매스 부산물의 바이오촤 특성 비교 분석 (Comparision of Biochar Properties From Biomass produced by Slow Pyrolysis)

  • 박진제;이용운;류창국;강기섭;양원;정진호;현승훈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3년도 제46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69-7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biochar by slow pyrolysis at $500^{\circ}C$ for various biomass residues. Six biomass materials were tested: Tree bark, Tree stem, bagasse, cocopeat, paddy straw and palm kernel shell. In the biochar yield, the effect of ash in the raw biomass was significant for paddy straw. Excluding the ash content, the timber bark, bagasse and paddy straw had a similar biochar yield of 26-29 wt.%. Tree stem and bagasse had well developed pores in a wide size range and large surface area over $200m^2/g$. Cocopeat and PKS has significantly higher biochar yield due to the increased content of lignin, but the development of intra-particle pores and microscopic surface area was very poor. The elemental composition, pH and other properties of the biochar samples were also compared.

  • PDF

목질계 바이오매스 유래 바이오차의 특성과 메틸렌블루 흡착 효과 (Characteristics of Biochar Derived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and Effect of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 신윤정;송대연;이은주;이재원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53-16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미이용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차를 생산하고 메틸렌블루 흡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바이오매스는 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분의 함량은 벌채부산물에서 가장 높았다. 탄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탄화 수율은 감소하였으며, 수소와 산소 함량도 감소하였다. 반면, 탄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탄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바이오차의 비표면적과 미세기공은 증가하였다. 바이오차 비표면적은 탄화 온도 600 ℃에서 가장 높았다(216.15~301.80 m2 /g). 600 ℃에서 탄화한 바이오차를 이용하여 메틸렌블루 흡착 실험을 수행한 결과, 참나무, 벌채부산물, 사과 전정가지의 흡착 거동은 Freundlich model, 복숭아 전정가지는 Langmuir model에 적합하였다. 흡착 동역학에서 참나무와 복숭아 전정가지는 pseudo-first-order model, 벌채부산물과 사과 전정가지는 pseudo-second-order model에 적합하였다.

열분해 온도에 따른 리기다소나무 바이오오일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Investig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oils Produced from Pitch Pine (Pinus rigida) at Various Temperatures)

  • 김태승;김재영;오신영;황혜원;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04-21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동형 열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리기다소나무를 $400{\sim}550^{\circ}C$ 범위에서 체류시간 1.9초 동안 급속 열분해하여 바이오오일, 탄, 가스를 각각 생산하였다. 열분해 생산물의 수율은 열분해 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 받았다. 바이오오일의 수율은 $500^{\circ}C$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기건 바이오매스 대비 64.9 wt%로 나타났다. 열분해 온도가 높아질수록 탄 수율은 36.8 wt%에서 11.2 wt%로 급격히 감소한 반면 가스 생성량은 16.1 wt%에서 33.0 wt%로 증가하였다. 바이오오일의 수분함량과 발열량은 열분해 온도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분함량은 26.1 wt%에서 11.9 wt%로 감소한 반면, 발열량은 약 16.6 MJ/kg에서 19.3 MJ/kg로 증가하였다. 모든 온도조건에서 생산된 바이오오일에는 공통적으로 2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셀룰로오스 유래 물질 10종과 리그닌 유래 물질 12종으로 분류하였다.

반응온도에 따른 팜 부산물(empty fruit bunch)의 열화학적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ochemical Degradation Features of Empty Fruit Bunch on The Function of Pyrolysis Temperature)

  • 이재훈;문재관;최인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50-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팜 부산물인 empty fruit bunch (EFB)의 시료 특성을 분석하고 유동형 열분해기를 이용하여 $400{\sim}550^{\circ}C$ 범위에서 체류시간 1.3초간 급속열분해 공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반응온도에 따른 열분해 주요 산물(바이오오일, 바이오차, 가스)의 수율과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구명하였다. EFB의 화학조성 및 원소분석을 통해 시료 내 칼륨 함량이 8400 ppm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열중량분석에서 나타난 특성으로 볼 때 EFB 시료 내 칼륨의 촉매작용에 의해 셀룰로오스의 분해가 촉진된 것으로 추측된다. $50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는 바이오오일의 수율이 증가하고 가스의 수율이 감소하였으며 바이오차는 수율에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500{\sim}55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는 바이오오일과 바이오차의 수율이 감소하였고 가스의 수율이 증가하였다. 각 조건별로 생성된 바이오오일은 수분함량 20~30%, 발열량 15~17 MJ/kg 범위의 값을 나타냈으며, 점도 11 cSt (centistoke), 전산가(total acid number) 100 mg KOH/g oil 미만으로 나타났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을 통해 EFB 바이오오일로부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9종)과 리그닌계 화합물(17종)을 확인하였다. 리그닌계 화합물 중 특히 phenol이 다량 검출되었으며 이는 전체 화합물 농도의 25%에 해당하는 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