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weight aggregate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31초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Concrete)

  • 강성혁;김정호;추경남;박영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18
    • /
    • 2014
  • Recently, climate change have increased consumption of building heating and cooling energy. Therefore, various act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and energy consumption have been prepared by world developed countries. The 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s approximately reaches 25% of total korea energy consumption. The greatest part in the buildings of the energy consumption is building facade. Especially the outer covering of the building has been made of concrete more than 70%. But a few research projects on concrete comprising more than 70% of outsider of buildings has been tried. This research is structural insulation concrete what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using Micro Form Admixture and Calcined Diatomite Powder and Lightweight Aggregate.

  • PDF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Flexural Behavior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Beams)

  • 변은혁;조장세;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41-444
    • /
    • 2010
  • 대공간 구조물과 초고층 빌딩에 있어 건축물의 자중 감소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 및 휨 성능을 평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 1개와 경량 콘크리트 보 4개의 총 5개 시험체를 제작하여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을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순인장 변형률에 따른 경량콘크리트 보의 강도와 연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최외단 철근의 순인장 변형률이 증가할수록 시험체의 연성비는 증가하였으며 최대하중과 강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순인장 변형률 0.005 이상에서 연성지수 2 이상을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단열성능향상 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 Material)

  • 박영신;김정호;강연우;염광수;전현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7-228
    • /
    • 2013
  • Recently, it is certain that the increase of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by radical change in climate condition has caused serious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al and energy concerns associated with increase of fossil fuel usage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as well as global warming. So, various act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exhaustion and energy consumption have been prepared by world developed countries. The 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s approximately reaches 25% of total korea energy consumption. The greatest part in the buildings of the energy consumption is building facade. but a few research projects on concrete comprising more than 70% of outsider of buildings has been tried. This research structural insulation concrete what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 material.

  • PDF

폐유리 경량골재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모르타르의 미세구조적 특성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mortar as a surface roughness of waste glass bead)

  • 편수정;김규용;최병철;김문규;지성준;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39-140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aste glass beads, a lightweight aggregate manufactured from waste glass powder, when incorporated into mortar in order to examine its usability depending on the particle shape.

  • PDF

인공경량골재 특성의 발포제 및 융제 첨가 의존성 (Dependence of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upon a flux and a bloating agent addition)

  • 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8-53
    • /
    • 2009
  • 점토와 석분오니로 비중이 1 이하인 인공경량골재를 제조할 때 발포제와 융제의 종류 및 소성온도가 미세구조, 부피 비중 흐리고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 종류의 기포 발포제를 첨가한 경우 부피 비중 $0.5{\sim}1.0$, 흡수율 $41{\sim}110%$ 범위의 다공성 인공경량골재 제조가 가능하였으나 골재 외형이 거칠고 미세구조가 불균일하였다. 융제 된 발포제가 각각 한 종류씩만 첨가된 골재는 소성 중 시편이 폭발하여 표피층(shell)의 일부가 소실되었다. 발포제로서 진공오일외에 ${Fe_2}{O_3}$와 탄소를 복합 첨가할 경우 black core와 shell 구조가 잘 형성되어 균일한 미세구조론 나타내었다. 융제된 발포제가 복합적으로 첨가된 $1200^{\circ}C$ 소성체의 경우, 점토 및 석분오니로만 제조된 시편에 비해 부피비중이 67% 줄고 흡수율은 48배 증가하여 우수한 발포특성을 좌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복합 첨가 계열 시편은 부피비중 $0.5{\sim}1.0$, 흡수율 $50{\sim}125%$의 다양한 물성을 나타냈으며, 따라서 각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알카리-실리카 반응(反應)에 의한 인공경량골재(人工輕量骨材)콘크리트의 공학적(工學的) 성질(性質) (Engineering Properties of Synthetic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ffected by Alkali-Silica Reaction)

  • 성찬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33-40
    • /
    • 1991
  • 이 논문(論文)은 알카리 실리카 반응(反應)에 의한 인공경량골재콘크리트의 공학적(工學的) 성질(性質)에 관한 연구로서, 연구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Type A 콘크리트는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증가하였고, type B와 C 콘크리트는 재령 28일(日)에서 최대 압축강도를 보였으나,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2. Type A 콘크리트는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휨강도도 증가하였으나, type B와 C 콘크리트는 재령 14일(日)에서 최대강도를 보였으며, 그 이후부터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3. 압축강도와 휨강도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type A 콘크리트는 유의성(有意性)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type B와 C 콘크리트는 유의성(有意性)을 인정할 수 없었다. 4. Type A, B 및 C 콘크리트의 흡수율은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다같이 증가하였고, type A 콘크리트에 비(比)하여 type B와 C 콘크리트는 7.0-7.8배(倍)로 나타났으며, 흡수율은 모두 수침초기(水浸初期)에 높게 나타났다. 5. 압축강도와 흡수율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type A 콘크리트는 유의성(有意性)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type B와 C 콘크리트는 유의성(有意性)을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학적 성질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성찬용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5-82
    • /
    • 1997
  • 건설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구조물은 대형화되어 가고, 건설공사의 급격한 팽창으로 골재 수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천연골재자원은 점차 부족현상을 면치 못할 처지에 있다. 또한, 무리한 천연골재의 채취는 자연환경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자연보호 측면에서도 심각한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공급량 부족현상은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세계 몇몇 나라에세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골재 생산으로 공해예방과 폐기물 활용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산업부산물중 플라이 애쉬 생산량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억여톤에 달하고 있으나 이중 일부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산업부산물인 PFA(Pulverized Fuel Ash)로 만든 인공경량골재의 년생산량이 영국은 600,000$m^3$, 미국은 300,000$m^3$이며, 매년 증가주세에 있다. 고성능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단위중량의 증가없이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켜 실용화 측면에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플라이 애쉬로 만든 경량골재는 시멘트와의 친화력이나 접착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 사용한 골재는 플라이 애쉬로 만든 인공경량 조골재와 강모래이고, 결합제로서 프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부수적인 결합재로서는 플라이 애쉬, 슬래그, 실리카 흄을 사용하였으며, 고성능 경량골재 콘크리트를 개발코자 재령 28일과 180일의 압축강도가 각각 50MPa와 60MPa가 되도록 배합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 애쉬, 슬래그, 시리카 흄과 같은 산업부산물을 혼입했을때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동탄성계수, 공극체적, 공극률, 단위중량, 공극 크기별 분포등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구명하여 재반 구조용 콘크리트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코저 한다.있어 특정한 발육단계의 난포 사망기전을 연구하기 어렵다. 또한 난포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기 때문에 특정한 난소국부호르몬이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힘든 점이 있다. 최근 들어 난포체외배양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이러한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각 발육단계의 난포를 절단해 체외배양하면서, apoptosis DNA 절단 현상을 이용하여 각종 난소국부 호르몬들이 난포발육단계별로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해 보였다. 난포는 발육하면서 점차 복잡한 호르몬 경로를 생존을 위해 필요로 한다. Prevulatory난포생존에 필요한 난소국부호르몬들은 early antral 단계의 난포에서는 그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다가 preantral단계의 난포에서는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했다. 단지 예외는 cGMP처리로써, 세포내 cGMP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난포발육단계에 무관하게 생존에 중요한 인자로, 장래 연구는 난포 세포내의 cGMP수준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는데 있을 것이다.인정되지 않았다. 7. 농지보전 처리구인 배수구와 초생수로구는 비처리구에 비해 낮은 침두 유출량과 낮은 토양유실량을 나타내었다.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 PDF

수직로에서 부유 소성된 경량 세골재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ine lightweight aggregates sintered at floating state using by vertical furnace)

  • 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258-263
    • /
    • 2008
  • 입자를 부유 상태에서 소성할 수 있는 수직로를 이용하여 2 mm 이하 크기의 경량 세골재를 제조하고 그 물리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1200{\sim}1300^{\circ}C$에서 소성된 대부분 시편은 표면에 다량의 액상이 발달하였고 따라서 내부의 가스가 팽창하여 다공성의 중앙부와 상대적으로 치밀한 표피층이 형성되었다. 특히 압출 성형체를 파쇄시켜 얻은 부정형의 C 계열 시편은 $1300^{\circ}C$ 이상으로 소결하면 내부에 가스가 팽창하여 시편 전체가 부풀어져서 구형으로 되었다. 본 부유 수직로에서 소성된 시편의 겉보기 비중은 $0.68{\sim}1.08$ 범위로 대부분 물에 뜰 정도의 경량이었다. 제조된 경량 세골재의 흡수율은 기공율과 비례하였고, 따라서 내부 기공들이 완전 고립된 폐쇄기공은 아님을 나타내었다. 부유소성로에서 제조된 세골재는 전기 머플로에서 소성된 시편과 비슷한 물성을 나타내었으나, 전기로에서 나타나는 골재 간 융착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수직로에서 부유소성된 세골재의 내충격성은 자연골재보다 다소 낮았으나, 단위용적중량은 KS 규격 기준을 만족하였다.

바텀애쉬와 폐유리를 사용하여 제조한 저온소성 경량골재의 열전도율과 기공특성 (Thermal Conductivity and Pore Characteristics of Low-Temperature Sintered Lightweight Aggregates Mode from Waste Glass and Bottom Ash)

  • 이한백;지석원;서치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851-85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대부분 폐기 매립되고 있는 산업부산물의 재활용 기술을 확보하고자, 연화점이 $700^{\circ}C$ 수준으로 낮은 폐유리와 에너지 연소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바텀애쉬를 모재로 기존 경량골재의 소성온도보다 20~30%가 낮은 $800{\sim}900^{\circ}C$에서 제조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저온소성 경량골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경량골재의 열전도율은 $0.056{\sim}0.105W/m{\cdot}K$ 수준, 기공률은 40.36~84.89% 수준으로 나타났다. 열전도율과 기공률의 상관계수는 -0.97로 매우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는데, 기공률이 단열특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소성온도별 $CaCO_3$ 첨가량과 바텀애쉬 치환율에 따른 경량골재의 미세구조는 소성온도에 상관없이 $CaCO_3$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크기도 증가하고, 바텀애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기공크기는 작아지며 일정하지 못하였다. 특히 바텀애쉬를 30% 치환한 경우 대부분의 기공형태가 구(球)형태의 폐기공이 아닌 불규칙한 형태의 개기공으로 존재했으며 기공크기도 바텀애쉬 0~20% 치환 사용한 경우에 비해 약 1/10~1/5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바텀애쉬 30% 치환시 소성온도 $900^{\circ}C$의 경우가 $700^{\circ}C$, $800^{\circ}C$에서 보다 더욱 불규칙한 형태의 개기공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경량골재의 흡수율 증가, 강도 저하, 단열특성 저하에 일정부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팽창 폴리스틸렌 비드 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xpanded Polystyrene Bead Concrete)

  • 민정기;김성완;성찬용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3-95
    • /
    • 1996
  • The normal cement concrete is widely used material to build the construction recently, but it has a fault to increase the dead load on account of its unit weight is large compared with strength. So,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using expanded polystyrene bead on fine aggregate and natural gravel, expanded clay and pumice stone on coarse aggregate. The test ru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water-cement ratio of concrete using pumice ston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oncrete using natural gravel and expanded clay. 2. The unit weights of concrete using pumice stone and expanded caly were shown less than 1,000g/$m^3$. 3.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all types were shown less than 60kg/$cm^2$, tensile and bending strengths were shown less than l3kg/$cm^2$ and 3lkg/$cm^2$$^2$, respectively. 4. The pulse velocity of concrete was shown similar with using natural gravel and pumice stone, and shown the lowest using pumice stone. 5.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concrete was shown considerably smaller, and shown the lowest using pumice stone. 6. The static modulus of elasticity of concrete using expanded clay and pumice stone were shown considerably smaller, and shown 22% ~29% as compared with th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7. The stress-strain curves of concrete were shown similar, generally. And the curves were repeated at short intervals increase and decreased irregula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