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ament augmenta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9초

Synthetic Polyester Prosthetic Ligament 보강술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 (Treatment of Ruptur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using Augmentation of the Synthetic Polyester Prosthetic Ligament)

  • 손승원;전시현;박진욱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1-125
    • /
    • 2002
  • 목적 :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synthetic polyester ligament를 이용한 관절경적 보강술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 및 방사선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synthetic polyester ligament(ABC ligament, Surgicraft, U.K )를 이용하여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60예를 대상으로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 및 KT-2000관절계측기를 이용하여 후방 안정성에 대해 평가를 하였고,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상 후방 전위의 정도는 건측에 비해 술 전 평균 13.2 mm에서 술 후 평균 3.6 mm로 개선되었고, KT-2000 관절계측기를 이용한 검사상 후방 전위는 건측 평균 3.2 mm, 환측 평 균 3.9 mm이었고,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평균 49.2점에서 술 후 평균 84.3점으로 평균 33점 증가하였다. 결론 : synthetic polyester ligament를 이용하여 손상된 후방 십자 인대를 관절경적 보강술로 치료하고 장기 추시 관찰하여 자가 이식건을 이용한 경우의 임상적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 인조 인대 보강술은 하나의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 PD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Suture Anchor for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Cho, Nam Su;Bae, Sung Ju;Lee, Joong Won;Seo, Jeung Hwan;Rhee, Yong Gir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2호
    • /
    • pp.93-99
    • /
    • 2019
  • Background: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acute acromioclavicular (AC) joint dislocation. Additionally, the use of suture anchor for coracoclavicular (CC) fixation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CC sta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with CC ligament augmentation using suture anchor for acute AC joint dislocation. Methods: Seventy-four patients underwent the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with CC ligament augmentation using suture anchor for acute AC joint dislocation and were followed-up for an average of 12.3 months.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range of motion, Constant score, and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were used for clinical assessment. Acromioclavicular interval (ACI), coracoclavicular distance (CCD), and acromioclavicular distance (ACD) were obtained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assessments.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VAS Score was 1.7 points, the mean joint range of the forward flexion was $164.6^{\circ}$, external rotation at the side was $61.2^{\circ}$ and internal rotation to the posterior was a level of T12. The mean Constant score and the mean KSS was 82.7 points and 84.2 points, respectively. At the mean ACI, CCD, and AC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preoperatively and at the last follow-up. When the ACI, CCD, and ACD were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unaffected shoulder at the last follow-up, the affected shoulders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Conclusions: The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with CC ligament augmentation using suture anchor is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effective at acute AC joint dislocation.

봉합테이프를 이용한 발목 외측인대 보강술이 생물학적 인대 재생에 미치는 영향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alysis of Biological Ligament Healing after Suture-Tape Augmentation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 조병기;안민용;김윤호;안병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7-125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iological ligament healing quantitatively after suture-tape augmentation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t a minimum of 2 years after lateral ligament augmentation using suture-tape. Signal/noise ratios (SNRs) and widths of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s (ATFLs) were measured o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RI by three researchers. ATFL biological healing degrees were analyzed using changes in SNRs and widths of ATFLs and by comparing these metrics with those of normal contralateral ankles. Clinical evaluations were performed using foot and ankle outcome scores (FAOSs),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scores, and ankle stress radiographs. Results: Mean FAOS and FAAM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62.4 to 93.6 and 58.3 to 92.3, respectively, at final follow-up (p<0.001). Mean SNRs and ATFL widths improved insignificantly from 8.49 to 8.21 and 2.07 to 2.15 mm, respectively, at final follow-up (p=0.424, p=0.718).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NRs and ATFL widths were found between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sides (p<0.001, p=0.002).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outcomes and degrees of biological healing of ATFLs based on MRI findings. Conclusion: Despite improvements in clinical outcome measures, the effects of suture-tape augmentation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on biological ligament healing were insignificant. In addition,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linical outcomes and degrees of biological healing of ATFLs.

Coracoclavicular Ligament Suture Augmentation with Anatomical Locking Plate Fixation for Distal Clavicle Fracture

  • Lim, Tae Kang;Shon, Min Soo;Ryu, Hyung Gon;Seo, Jae Sung;Park, Jae Hyun;Ko, Young;Koh, Kyoung-Hw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4호
    • /
    • pp.175-180
    • /
    • 2014
  • Background: For Neer type IIB fracture of distal clavicle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injury, various surgical treatments have been used in literatures. However, there was no consensus on the optimal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and suture augmentation of disrupted coracoclavicular ligament.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23 patients with Neer type IIB distal clavicle fracture in Seoul Medical Center, Eulji Hospital, and National Medical Center. Firstly, suture anchors are inserted in the base of coracoid process and preliminary reduction was achieved by tie-off of three suture limbs around the clavicle. Then, the final fixation was completed with anatomical locking plate. Bony union and the distance between coracoclavicular ligaments were evaluated. Clin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including stiffness and secondary procedures were evaluated. Results: Bony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except one (22 of 23). At mean 14.9 month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coracoclavicular distance was observed compared to uninjured shoulder ($8.2{\pm}7.9mm$ versus $7.3{\pm}3.4mm$, p=0.14). Pain visual analogue scal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Constant score,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ore were 0.5, 83.4, 78.5, and 6.2, respectively. Revision surgery was performed in one case of nonunion. Four patients who complained of skin irritation underwent implant removal. Conclusions: In cases of an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 with coracoclavicular ligament disruption,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by locking plate fixation and coracoclavicular ligament suture augmentation concurrently.

Tight-Rope®을 이용한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치료 - 예비 보고 - (Coracoclavicular Ligament Augmentation Using Tight-Rope® for Acut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 - Preliminary Report -)

  • 권석현;최상수;이성인;김정우;김광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15-122
    • /
    • 2013
  • 목적: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 (Arthrex)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0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 환자에 대해 Tight-Rope$^{(R)}$를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 중에서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정복 상태의 평가는 쇄골의 방사선학적 추시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UCLA 점수, Constant 점수 및 VAS 통증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평가에서 UCLA 점수는 22예(73%)에서 우수, 5예(17%)에서 양호, 2예(7%)에서 보통, 1예(3%)에서 불량이었으며, Constant 점수는 평균 $92.5{\pm}7.5$점이었다. 방사선학적 결과는 26예(86%)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보였으며, 2예(7%)에서 중등도의 정복 소실, 2예(7%)에서 완전 재탈구를 보였으며, 이중 완전 재탈구를 보였던 2예에서 임상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으며 재수술을 필요로 하였다. 결론: 급성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서 Tight-Rope$^{(R)}$를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은 신뢰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제공하는 좋은 치료 방법이라 생각한다.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에 대한 외측 보강술 및 슬와근 건고정술 (LCL Augmentation and Popliteal Tenodesis for Lateral and Posterolateral Instability Of The Knee)

  • 박진욱;이주협;손승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8-102
    • /
    • 2004
  • 목적: 외상으로 인한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에게 있어 동시 외측 보강술 및 슬와근 건고정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그 치료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으로 진단 받고 외측보강술 및 슬와근 건고정술 후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5예, 여자가 6예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8.5세였다. 손상 후 수술까지의 평균기간은 6.8개월이었다.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의 치료에 있어 본원에서는 대퇴부 외상과에서, 3예에서는 아킬레스 동종건 이식을 시행하였고 18예에서 내측부 인대용 ABC인조인대(Active Bioprosthetic Composite Polyester Ligament, Surgicraft, U. K. )를 이용하여 외측 측부인대의 보강 및 슬와근 건고정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슬관절 90도 굴곡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상 후방 전위의 정도는 건측에 비해 평균 5.6 mm에서 2.5 mm로 개선되었다. 슬관절 30도 굴곡상태의 내반 검사는 전위정도가 건측에 비해 수술 전 평균 8.2 mm의증가소견을 보였으나, 수술 후에는 평균 2 mm의 증가소견만을 보였다.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52.5점에서 수술 후 평균 86.7점으로 34.2점 증가하였고 자가건 이식과 ABC 인조인대를 사용한 군에서 결과는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결론: 슬관절의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전성에 대한 외측 보강술 및 슬와건 건고정술은 수기 및 수술 후 치료방법이간단하며,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로 미루어 보아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판단된다.

  • PDF

견봉쇄골 관절의 급성 탈구에서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한 변형된 Phemister 술식 (The Modified Phemister Operation with the Suture Anchor Added for the Augmentation of Conoid Ligament in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 문기혁;남일현;이영현;김기철;이재훈;안길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34-39
    • /
    • 2010
  • 목적: 견봉쇄골 관절의 급성 탈구에서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한 변형된 Phemister 술식의 치료 방법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4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Rockwood 제 3형이 11예, 5형이 3예 였고 환자의 평균나이는 45.2세 였다. 변형된 Phemister 술식에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하여 수술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4개월이었으며 술 후 임상적 평가는 Weitzman 분류 및 VAS 점수와 Constant 점수, KSS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Weitzman 분류상 13예에서 우수, 1예에서 양호로 평가되었고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 170.7도, 외전 166.4도, 외회전 68.2도, 내회전 T7 였다. 평균 VAS 점수는 1.9, 평균 Constant 점수는 90.8점, 평균 KSS 점수는 91점이었다.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는 모든 예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견봉쇄골 관절의 급성 탈구에서 원추인대 기능의 강화를 위한 봉합 나사못을 추가한 변형된 Phemister 술식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 (Anterior Cruciate Ligament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Semitendinosus Tendon)

  • 최남용;한창환;인용;문찬웅;최승욱;진성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7
    • /
    • 2008
  • 목적: 저자들은 전방 십자 인대 부분 파열 환자에서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한 상태로 자가 반건양건(Semitendiosus tendon) 을 이용하여 보강술을 시행한 후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관절 운동 범위, 전방 전위 정도, pivot shift 검사 및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방 전위 정도는 KT 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는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과 Lysholm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술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결과, 관절 운동 제한 소견을 보인 예는 없었으며,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경골 전방 전위에서는 20lb 부하시 정상측과 비교하여 평균 1.7 mm의 차이를 보였다. Modified Feagin knee scoring system에 의한 기능 평가는 91%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Lysholm score는 술전 평균 70점에서 술후 평균 92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부분 파열 환자에서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은 슬관절 안정성의 유지와 더불어 고유 감각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