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초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pecialized Programs in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9-80
    • /
    • 2005
  • 지식정보사회에서는 다양한 분야를 널리 아는 것보다 특정 분야에 특성화된 전문가를 원하며 그러한 전문가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특성화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목표와 교육방향을 설계하는 대학 및 학과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문헌정보학 교육과정도 대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도서관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대학 자원과 환경을 바탕으로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과 자원과 환경은 대학마다 다르므로 각 대학의 특성에 맞게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즉 표준화된 교과과정이 아닌 특성화된 교과과정의 운영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학의 처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으며 정보전문가로서의 보다 전문화되고 특성화된 자질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한국 도서관정보정책의 추이와 과제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32
    • /
    • 2008
  • 이 글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서관정보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거시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향후 개선을 위해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한 과제를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책의 근간이 되는 법과 제도, 정책기구, 행정조직, 전문인력, 재정, 그리고 발전계획과 관련하여 추이와 특징 그리고 문제점 등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한다. 이 글에서의 논의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기초하고 있으며, 논의의 순서는 도서관정보정책에 대한 개념적 정의에서 시작하여, 2006년 이전까지의 도서관 정보정책의 추이와 특징 그리고 한계를 도서관정책과 정보정책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2006년 새로운 <도서관법> 이후의 도서관정보정책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혁을 들여다보면서 향후 도서관과 정보문화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보다 심층적인 논의와 검토가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 PDF

21세기 정보전문직의 역할과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ies and Roles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the 21st Century)

  • 홍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7-301
    • /
    • 2000
  • 각종 첨단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활동의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정보화 현상이 더욱 보편화되면서 정보전문가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들의 역할과 능력도 재평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전문직의 역할을 규명하고, 정보전문직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정보전문직의 능력에 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정보전문직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현장이 요구를 파악하며, 궁극적으로는 21세기 사회, 문화, 정보기능을 담당할 정보전문직 양성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PDF

문헌정보학 연구방향에 관한 연구 - 국내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n Research Trends Litera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란주;변자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1-15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론에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서 앞으로의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분석 자료로 90년대 이후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 및 연구방법론에 관련된 10편의 국내 연구들을 선정하여 세 그룹으로 나눈 후 조사.분석한다. 분석결과 정보학 분야에 연구의 관심이 집중되고 문헌연구와 조사연구 등이 많이 사용된다. 주 연구자는 교수 그룹이며 학제간의 연구 및 여러 계층의 공동연구가 부족하다.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방법뿐만 아니라 새로운 연구방법에 관한 논의와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문헌정보학 전문가를 위한 연구기반 지식의 개발과 문헌정보학의 연구기준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 PDF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정책 개발을 위한 인식도 조사 (Perception Survey for Developing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ational Digital Library)

  • 곽승진;노동조;장윤금;황재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0
    • /
    • 2010
  • 국립디지털도서관(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이 개발되기 위해서는 문헌연구 및 해외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사례 분석, 관련 분야 전문가를 통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도서관 이용자 및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등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정책 개발 방법 중의 하나로서 NDL 건립과 운영에 관한 도서관 이용자 및 사서들의 인식과 기대사항을 다양한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대학평가인정제의 실시와 대학도서관 자원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Accreditation Program and the Changes in the University Library Resources)

  • 차미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18
    • /
    • 2000
  • 본 연구는 대학평가인정과정 중 도서관 관련 영역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 제도가 평가인정을 받은 대학의 도서관의 자원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도서관통계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도서관 평가항목에 포함된 열람좌석수, 도서와 연속간행물 소장량 및 예산은 대학종합평가가 실시된 이후 크게 증가하였지만, 평가에 포함되지 않은 직원부문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는 점을 발견하고, 도서관 평가항목과 측정방법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환경의 변화와 사서의 역할변용 (Changing Roles of the Librarians under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 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40
    • /
    • 2000
  • 이 논문은 오늘날 변화무상한 정보환경 하에서 사서들이 어떤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전문직업집단으로서 사회적 가치를 계속 유지,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 분석의 전제로서 사서직의 역할이 시대를 거쳐 변천한 양상을 고찰하고, 최근의 정보환경 특히 인터넷과 가상도서관이 현실화되는 새로운 환경을 분석함으로서 사서의 역할변용에 대한 단위성을 찾았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정보환경 하에서 사서들이 수행해야 할 새로운 역할모델로서 교육전문가, 상담전문가, 탐색전문가, 정보중재자, 주제전문가, 문화기획자 등의 6가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및 학술행사 인식 연구 -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 (Perceptions of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 Group Interviews)

  • 김수정;이종욱;정인영;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19-345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정보관리학회)가 협력하여 지원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4개 학회가 출간·운영하는 학술지 및 학술행사에 대한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발전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학회의 임원들을 비롯하여 학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온 대학교수, 연구자, 사서 등 총 21명을 대상으로 6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한 학술지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 간 품질 차이가 크므로 전반적인 논문의 품질 향상을 위해 현행 심사 및 출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현장 실무자의 논문 투고를 장려하고 학술지에 현장 연구를 적극적으로 게재함으로써 현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학술지들은 주제 범위나 현장성 반영 정도, 국제화 노력 정도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특성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학술행사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대규모의 공동학술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학술적 요구뿐만 아니라 친목 도모를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회별로 특성화된 학술행사를 준비해야 하며 이를 위해 관련 전문직 단체와의 협력을 꾀할 수 있다. 셋째, 실무자, 신임 연구자, 대학(원)생 등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문헌정보학개론 교과내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87-325
    • /
    • 2013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개론 과목의 표준교과내용을 개발하고, 강의계획서를 비롯한 교재목차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강의계획서와 교육교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문헌정보학개론의 표준교과내용으로 포함될 주요 수업내용은, (1) 지식정보사회, (2) 정보와 정보원, (3) 문헌정보학의 학문계통, (4) 정보전문직, (5) 도서관사, (6) 도서관 정보센터, (7) 관종별 도서관의 유형 및 기능, (8) 장서개발, (9) 정보자료조직, (10) 정보서비스, (11) 디지털도서관, (12) 정보검색과 데이터베이스, (13) 도서관협력, (14) 도서관정책과 정보윤리 등으로 나타났다. 최종교재목차도 이와 유사한 내용으로 제안되었다.

도서관. 정보학교육의 공통핵심영역에 관한 연구

  • 송영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97-126
    • /
    • 1981
  • The professional duties of librarians and other information workers involve a generalized body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the so-called, 'common core') which is a n.0, pplicable worldwide without regard to national boundaries, levels of economic and technical development or cultural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validate and su n.0, pport this common core concept through a detailed examination of its important role in the sound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oth as a learned subject and as a profession. Following an initial overview of generally agreed upon core area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ians and information specialis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anifold social changes rapidly being effected by comput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ocus shifts to the proliferation of academic homes for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core areas in information science. Of note 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cience as a broadly accepted social science discipline and the evolving core curriculum in library schools. To this regard the fact that the popularization of compute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ncreasingly blurring the once-sharp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librarians and information specialists naturally favors common core concept. Major figur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such as Shera, Saracevic and Foskette su n.0, pport this concept and have already identified its theoretical infrastructure. Finally, UNESCO and IFLA are also stressing the common core cure curriculu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oth as guidelines for the Third World and as a means to achieve universally accepted academic standards. In conclusion, the search for a comprehensive common core curriculu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s still in the elementary stages. The task of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is common core is among the most crucial responsibilities facing today's educators and professionals for the successful elaboration of a common core would enable us to attain three highly desirable professional goals: 1) To determine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 To serve as the base for further professional education and specialized research. 3) To offer enhanced o n.0, pportunities for integra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programs by providing a genuine two-way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