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Standards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도서관 정책의 반성과 과제 (Review and Plan of the Policy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전명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31-444
    • /
    • 2002
  • 대학도서관의 정책은 도서관의 장서, 사서, 건물, 이용자를 관리하는 방향을 결정한다. 대학도서관의 장서는 종이자료와 디지털자료를 구비하여 최대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건물의 관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화시켜야 하며, 이용자는 수서, 검색, 대출 모든 부분에서 되도록 손수봉사(Self-service)를 하게 한다. 사서들은 자질을 높여서 수시로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의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서 전문직의 규범이나 원칙을 만들고, 대학도서관의 기본목표를 설정하고 정책과 절차, 규칙을 성문화하여야 한다. 국가의 역할은 대학도서관에 지원금을 배분하되, 그 운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

  • PDF

한국 사서직에 대하여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in Korea)

  • 김용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0
    • /
    • 2005
  • 이 연구는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찾으려고 시도되었다. 외형적으로는 사서직이 전문직으로서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 오래 동안 논의되어 온 사서직 자격제도, 교육제도 등도 다시 고찰한다. 사서직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문헌정보학 연구와 사서들의 의지가 모이는 전문직 단체의 활동은 전문성 확보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논의한다.

  • PDF

Develop and Deliver Essentia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 Eisenderg, Michael B.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1
    • /
    • 2011
  • There is an explosion of talk about crucial, new literacies for the 21st Century, for exampl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media literacy, technology literacy, digital literacy, visual literacy. The other day, there was even an article about "gaming literacy!" How does one make sense of it all? The common factor in all these literacies is "information" -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use,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valuation. And, these "information" elements come together in information literacy: the ability to engage in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problem-solving. Information literacy is the overarching and unifying literacy, and all libraries have a unique and essential role to play in delivering meaningfu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o people of all ages. In this keynote paper and address, Professor and Dean Emeritus Mike Eisenberg will defin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library-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and offer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at are comprehensive(reaching all users), predictable (consistent over time), and accountable(measured and reported).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인증제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in Library Services)

  • 이상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11-231
    • /
    • 2002
  • 본 논문은 세계적인 품질인증제도를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이들 제도의 특성을 비교 ${\cdot}$ 분석하고, 외국 도서관의 적용사례를 고찰한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TQM을 기반으로 한 데밍품질상, 말콤발드리지 국가품질상, 유럽 품질상의 품질인증기준은 광범위하고 동적이며, 고객 지향적인 제도인 반면, ISO 9000 품질 인증 제도는 협소하고, 정적이며, 명세서의 일치여부를 평가하는 내부지향적 제도임이 밝혀졌다.

평생교육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조건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quirements of the public library for life-long education : centering around the facilities)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37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and much more the facilities and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performance of its func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 looked in to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facilities, collections, service facilities i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ed a tentative plan on the basis of every kinds of statistics. The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w, 227, 110 populations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library are so many that 181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largely deficient state. To solve, a n.0, pplied for Armstrong's standards (5, 000 populations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library, and the number of an elementary school 5, 412 elementary schools in Korea). In the former case should be establish 8, 221 public libraries, in the latter case should be established at least 5, 412 public libraries. 2. The public library in Korea is possessed of building areas of 82, 267 pyong (468 pyong per library). They are very poor state comparing with population. Therefore, the building area should be expand according to population by region. Also, the reading facilities of 88, 455 seats, 465 population of the effective service per seat, are largely insufficient of situation. And consequently they should be secured at least 205, 535 seats with standards of five seats per 1, 000 population. 3.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keep collection of 4, 517, 280 volumes. As there are 11 volumes per 100 persons, they are very deficient state in figures. Therefore, in this study, suggested Schenk's standard (1 volume per a person) and IFLA standard (2 volumes per a pers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however, they should be secure at least 41, 106, 993 volumes with a Schenk's standard of one volume per a person. To meet this kind of necessary conditions, there must not only be a national policy but also be a facility for every residents to utilize for educational place, and to every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they have to do their best to open their library to every citizens, when needed, with their self-conceit. Cooperating with policy-makers, users, and librarians, making every endeavors to develope Korean libraries, we can promise the hope that our public library will be progressed towards future.

  • PDF

국내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과과정 분석 및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Analysis and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Library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장수현;박상욱;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9-2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앞선 고려사항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정보학분야 NCS 직무 단위 및 사서 자격 기준과 관련된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등을 검토하였다. 둘째, 2021년 기준 전국 문헌정보학 개설 교과목을 조사 및 분석해 현황을 알아보았다. 셋째, 사서 및 정보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인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2021년에 개설된 문헌정보학과 교과목 중 가장 교과목 수가 높은 분야는 '정보서비스'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도출된 키워드는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학년별 최우선 요구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이후 현장의 사서 및 정보전문가의 의견을 설문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조사한 결과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단순한 표준화뿐만이 아닌 다양한 이용계층을 포괄할 수 있는 특성화된 교과목의 운영이 병행해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Evaluation Indicators for Green Libraries and Library Eco-friendliness

  • Noh, Younghee;Ahn, In-J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51-77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eco-friendly factors on the aspects of library service, materials provided or handled by the library, and programs including educational programs. Furthermore, it was setup to perform a trial evaluation for the eco-friendliness of the library based on the determined evaluation standards b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 of 'Do employees of the library think that establishment of green libraries is necessary?', the employees of the libraries responded yes by 65.52%, but only 4.6% responded that it would not be necessary. Second, in analyzing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areas of green libraries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libraries' employees, they were ranked in order: the indoor environment, energy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terial and resource areas. Third, 11 areas were determined to evaluate the level of greening in the libraries; the highest averages were scored 510 for the area of energy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415 for the area of library resource, and 320 for the area of indoor environment. Last, the libraries were graded based on actual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to measure the level of greening, two libraries were graded as Diamond, the highest grade, accounting for 15.39% of all libraries; Gold and Silver grades accounted for another 15.39%, together five Certified graded libraries accounted for 38.46%, which was the highest rate among the libraries. Any library scoring less than 20% when compared to the full score was graded as Non-certified, and one library, which scored 15.06% fell into this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et up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green libraries in our country, as well as reference for the employees of libraries in constructing or remodeling library buildings, establishing service infrastructure,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and planning library duties in an eco-friendly way.

병원 내 의학도서관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edical Library in the Hospital)

  • 노영희;신영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61-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병원 내 의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대상, 장서, 시설 및 환경, 직원, 서비스 등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수요조사 및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병원 내 의학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임으로써 도서관의 위상을 높이려면, 조직상 독립부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둘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에 대한 장서, 규모, 인력에 대한 법적 기준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체계적인 병원 내 의학도서관 운영을 위해 도서관 고유업무와 행정업무가 구별될 수 있도록 전문직 사서의 지원과 인력 충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예산 지원, 사서의 전문화 교육,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타 도서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등의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사서교사 양성현황과 수급문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resent Educational Aspect of Korean Teacher Librarians and Their Supply-demand Problems)

  • 김성준;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1-186
    • /
    • 2008
  •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양성현황과 수요전망을 통해서 사서교사 양성체제와 수급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서교사의 교육체제, 양성기관 현황 및 양성인원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양성능력을 전망하고, 사서교사 선발현황과, 한국도서관협회 기준, 학교도서관진흥법의 기준을 적용하여 필요한 사서교사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서교사 수급불균형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미래의 수요에 필요한 적정 인원을 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직과정 승인인원의 재조정과 사범대학의 문헌정보교육과의 신설을 제안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ounding Collection in Public Libraries)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3-320
    • /
    • 2017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개관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구축되는 개관장서 구성의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최근 지역자치단체 등이 공공도서관을 지속적으로 설립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반면, 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장서구성에 대한 방법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일선에서는 혼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최근 개관한 10개 공공도서관의 개관장서 구축 사례를 검토하여 장서개발정책 수립, 장서구성기본계획 수립, 개관장서 규모 도출, 그리고 향토자료 구축 방안 등의 측면에서 표준적인 공공도서관 개관장서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