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서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수상;이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81-104
    • /
    • 2023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소재 3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EBSM과 collectionHQ에서 제시하는 핵심성과 지표를 적용하여 장서성과평가를 시도한 사례연구이다. 장서의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장서성과평가에 집중하며, 개별 도서관 평가뿐만 아니라 평가결과에 나타난 도서관별 차이를 검토하였다.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성과지표는 누더기 아이템, 사망 아이템, 인기저자 공급, 인기주제 공급, 과잉재고 주제분야와 재고부족 주제분야이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더기 아이템 평가에서 3개 도서관 모두 전체 아이템에서 누더기 아이템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망 아이템의 경우, 3개 도서관 모두 높은 비율로 나타나, collectionHQ에서 제안한 기준값을 초과하였다. 셋째, 인기저자 상위 10명을 확인하였으며, 도서관마다 차이가 났다. 넷째, 인기주제 공급 평가에서는 3개 도서관 모두 기준값에 미치는 인기주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도서관별로 상위 10개의 인기주제를 식별하였다. 다섯째, 과잉재고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은 과잉재고 주제분야가 하나도 없었지만, 금정도서관과 서동도서관에서는 다수의 주제분야가 과잉재고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재고부족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에서만 재고부족 주제분야가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성과지표 모형 개발을 위한 상대적 가중치 연구 (A Study on the Relative Weight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 Model)

  • 김정택;한복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71-96
    • /
    • 2008
  • 최근에 국내 일부 대학과 대학도서관에서는 경영혁신의 일환으로 성과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BSC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BSC를 적용하여 대학도서관 성과의 측정도구인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성과지표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여 대학도서관의 사명달성과 성과제고에 어떠한 성과지표가 중요한지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성과지표는 개발 과정에서 개발 주체의 특성과 관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성과지표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 부여에 있어 전문가집단 간 차이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BSC 기반 대학도서관 성과지표 모형을 도출하고, 도출된 성과지표 모형의 평가요소별 중요도와 성과지표 모형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 부여에 있어 전문가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연구이다.

  • PDF

전략적 계획을 기반으로 한 BSC 모형 개발 -Rod Library 사례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Balanced Scorecards Model based on the Strategic Plan of the Rod Library, UNI)

  • 조윤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9-179
    • /
    • 2006
  • 북아이오와주립대학 도서관은 우수한 교양 커리큘럼을 지원하는 개별화 학습 환경과 다양한 지적, 문화적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1987년부터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하여 현재 5년 단위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최근 전략이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는가에 대한 성과측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아이오와주립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2004-2009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략을 균형성과표의 네 관점으로 전환하는 BSC 모형과 전략지도를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각 관점별 전략적 목적을 측정하는 핵심성과측정지표와 이를 이끄는 동인들의 인과관계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의 중요도 및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들의 인식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for Teacher Evaluation)

  • 박지혜;최희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93-111
    • /
    • 2009
  • 이 연구는 2009년에 개발되어 현재 선도학교를 통해 활용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및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평가지표 및 문항의 중요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각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평가지표 및 문항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현재의 평가문항에 다양한 독서교육활동 실시여부에 대한 항목 추가, 자료조직 및 관리 관련 평가문항 수정의 필요성, 학생지도 평가영역 명칭에 대한 제고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이 대체로 타당하기는 하지만 일부분에서 수정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Webometrics Ranking of Digital Libraries of Iranian Universities of Medical Sciences

  • Dastani, Meisam;Atarodi, Alireza;Panahi, Somaye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41-52
    • /
    • 2018
  • Digital Library websit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f the institution and library resources. It acts as a trustworthy mirror of the institute. To evaluate the library website performance webometrics tools and indicators are required.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is study the webometrics of Digital Libraries of Iranian Universities of Medical Sciences on the Web to determine the amount of the visibility a website and web pages. The URL and link of 42 digital library website is obtained directly by visiting the university's website. To extract the number of indexed web pages (size), rich files have used the Google search engine Also, to extract the number of scientific resources retrieved have used the Google Scholar search engine. To calculate and obtain the number of links received have used the MOZ search engine. Gener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ebsite of Iranian digital libraries did not have a good performance in term of webometric indexes, and none of them were not rated at all indexes, only some of the websites mentioned in one or two indicators.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병원 간호조직의 핵심성과지표 문헌분석 (A Review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 임지영;오승은;고국진;이현희;박연홍;장진희;윤수미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4-2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and to find usefu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Before starting the literature search clea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determined. After that, were viewed 41 studies from the RISS, K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NDSLDB. Data were collected on October 17, 2013. Researchers developed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literature review using a balanced score card development process and construction steps of previous studies. This framework had 10 steps related to the balanced score card development process. Results: A total of 10 studies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 identified 234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nursing department. The average number was 6.6 in finance perspective, 8.6 in perspective, 11.9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6.2 in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We found that 173 indicators had been cited only once. 61 indicators were cited over twice. Further, 8 indicators employed different perspectives on different stud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mmarize useful information on recent trends 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a balanced score car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hospitals. These results will help develop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asures and Indicators for Foreign Research Information Centers)

  • 오동근;여지숙;최성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9-116
    • /
    • 2012
  • 이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외국학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설립된 외국학술지지원센터들의 운영전반과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평가지표를 운영전략과 운영시스템, 운영성과의 세 부문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8개 세부부문, 16개 지표, 35개 세부지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각각의 지표는 AHP 전문가설문조사 결과 도출된 가중치로 배점을 결정하였으며, 최종점수는 운영전략부문 190점, 운영시스템부문 440점, 운영성과부문 370점, 총 1,000점 만점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평가지표정의서를 개발하였으며, 이 정의서를 기반으로 시범평가와 자체평가를 실시하여, 차후의 실제평가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검토하도록 하였다.

대학도서관평가 표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Indicators for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Evaluation)

  • 김기영;최상기;김주섭;안혜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03-334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경영평가를 위한 표준지표 및 평가방법의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집 및 합의를 통하여 평가체계 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대학도서관 평가의 목적과 요구조건을 살펴보고, 다수의 이해관계자의 의견에 기초하여, 심층면담,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등을 이용한 다단계 합의의 방법으로 평가지표를 추출하였으며, 이의 구성 및 배점체계 등을 개발하였다. 전반적 평가체계는 과정적 접근을 큰 틀로 하여, 내부적/기능적인 과정 범주와, 외부적/서비스중심적인 자원 및 결과 범주를 고려하였으며, 범주들 간의 중요도의 균형 속에서 조사 분석 결과의 항목별 중요성에 따라 배점체계를 구축하였다. 더불어 평가방법 및 연차별 평가개선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평가체계의 개발을 통해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평가활동에 기여할 뿐 아니라 대학도서관의 성과요소 및 예측변인들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의 지표 분석 (Analysis of Indicators for Information-Poor shown in Library Statistics)

  • 김홍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3-214
    • /
    • 2016
  • 본 연구는 정보격차해소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조사와 분석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의 양적인 상태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도서관 통계지표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통계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각 도서관이 투입하는 요소들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퇴보, 장애인용 특수자료 수의 지속적인 감소, 정보취약계층 서비스 이용자수의 감소, 전체 도서관 예산에서 차지하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의 매우 적은 비율과 그 예산마저도 매년 감소하는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지표들과 그 추이는 각종 관련 정책들과 공모사업들의 추진이 지식정보격차해소에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노력은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되고 있는 듯 보이나, 실질적인 예산의 투입이나 관련 정책의 추진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효과성 차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s of Effectivenes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홍현진;이용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25
    • /
    • 2001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대한 평가지표 연구'의 후속 연구인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의 효과성 지표와 차원(요인)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설문지 조사를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 중 175 개관을 표본으로 서정하고, 도서관 관계자 집단들에게 자신이 근무하는 도서관의 성과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결과는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방법으로 11개의 효과성 차원으로 추출되었는데, 이 차원들은 조직효과성의 일반적인 4가지 모델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