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Communication Spac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도서관의 소통적 공간에 대한 사서 인식조사에 따른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Communication Space of the Library According to Librarians' Perception Survey)

  • 노영희;김윤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27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소통적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과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 소통적 공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은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서의 인식조사 결과, 도서관 소통적 공간에 대해 사서들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인식도를 나타내는 만큼 도서관에서는 소통을 위한 활성화 방안이 추진되어야 한다. 첫째, 소통과 교류라는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수행을 위해서 소통의 방향성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이 조용한 공간에서 벗어나 소통의 공간으로 재창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마을의 기관과 단체, 모임 등과 함께 교류 및 연계를 하고 넷째, 이용자들이 주체적이며 자발적으로 소통, 커뮤니티를 운영해 나갈 수 있도록 도서관에서 지원해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on the Education of Library Space Planning)

  • 박혜진;노영희;최만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77
    • /
    • 2020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 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와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의 방향과 개선사항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은 공간기획 실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공간기획 과정에서 사서의 참여는 이용자 및 전문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방법과 교육과정을 도서관 규모와 예산에 따라 계획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공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사서의 공간실무 참여와 필요성은 강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서관 운영과 이용자들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도서관 공간의 지식정보 구성 및 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formation Construction & Transfer in the Library Spac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20-229
    • /
    • 2013
  • Recently, the volume of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electronic media is quickly increasing in the library fiel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Libraries have both printed data and electronic data and are faced with the issue of corresponding with the access and use of knowledge information in terms of the space. This study is for building the layout of a sustainable knowledge information space based on the view that the library is the official infrastructure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based societ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meaning of knowledge information in the modern society, characteristics i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inform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forecast the spatial structure where users access knowledge information and exchange with one another and developing the direction and guidelines for the spatial plan that today's libraries prefer through this analysis. For this, this study firstly prepared the base for the research on library space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hysical realization of such concept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bout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social concept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lso, it seized the characteristics in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information by conducting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information service such as knowledge information and space, space and information media, space and space through the cases of 10 public libraries. The analysis resulted in basic data including the system of organizing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of knowledge information transferring elements and structure, and layout pattern of each library. These results are deemed meaningful for the promotion of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hrough the exchange, creation, and experience of knowledge information, the social role of today's public library.

A Study on Defining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 Younghee Noh;Yoon-Jeong Kim;Woojung Kwa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95-123
    • /
    • 2023
  • This study intended to discover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libraries, such as locality, communality, interactivity, and organic vitality, and measure as to whether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m were appropriate,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finally turned out that the libraries had the four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communality', 'interactivity', and 'organic vitality'. The four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may be classified into 16 factors and 63 detailed factors accordingl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communication, first, locality means that local residents create and maintain the identity of a social, historical, and cultural locality while sharing the space of a library. In the library, the users can receive local life information or create a cultural identity of the locality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Second, communality is a fundamental factor in forming a community of local residents and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a group formed based on plac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culture and belief system, and interests. Third, interactivity refers to a kind of behavior in which users interact with other users, information providers, and books and information in the library to give and receive influence. The actions in which two or more objects share knowledge, thoughts, emotions, and opinions may be seen as being accomplished through interaction. Lastly, organic vitality means seeking the continuous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creating a lasting characteristic even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library.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도서관가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Furniture to support Communication Channel)

  • 천혜선;이정미;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7-65
    • /
    • 2009
  • Library i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book and human. Specially public library furniture plays an important role from every aspect in information materials and users, among users and in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managers and users. This study defined library furniture as a communication channel which connects library materials and users and was based on 35 local libraries and 12 overseas libraries. The author studied major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which constitute communication types among storage furniture, furniture in reading areas and furniture in digital reading area.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storage furniture should be designed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library materials and for effective delivering to the users. Therefore utmost communication can be made by searching for various designs in book-shelves and effective manner of display. Secondly, furniture in reading areas should support various users' needs from customized browsing to long hour studying and there should be properly supported for private space and correspondent reading postures. The third, there are needs for design conditions to support privacy and for comfort from long hour reading and mobility out of posture change in digital reading areas. The fourth, there should be ergonomically designed furniture plan and surroundings in public library which can boost various reading postures. Also furniture plan should be done by considering users' bodies and eyes orientations which can result in improved power of concentration.

이토토요의 도서관 공간에 나타나는 창조적 인터페이스요소에 관한 연구 - 타마미술대학신도서관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Creative Interface Factors of Library Space on Ito Toyo - Focus on the Tama Art University New Libraries -)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05-213
    • /
    • 2010
  •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hich is oriented to interaction, fusion and connection is more increased in the post-information society. The information environment is already realized as interface to reach immediately and freely to the databased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contemporary libraries execute very important roles as an intellectual infra of modern times to deliver the great human achievement and create new culture. In the mean time, the rapi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bring out big change in the traditional dispatch and receipt method of information. For this reason, libraries as the community space of visitors integrates physical space - electronic space and reconstructs new temporary culture and value to build the new interface that connects human to human, human to space and human to information. On the premise of these awareness, this study analysis the creative interface factor of Tama Art University New Libraries in Ito Toyo in order to research the function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modern libraries. And the results are follows. 1)We can make sure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and the integration consciousness between digital technology and analogue sensitivity t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post-information society. 2)We can classify for the creative interface factors by the character as space factor(Arcade, Gallery, Lounge, AV Booth, Cafe), facility/equipment factor(Laboratory, Media, Bar, Info Shelf, Media Seat) and furniture factor(Carrel, Desk, Mag Table, XI Shelf). 3)We can see that these interface factors change the stream of library users and that the library is constructed for library users to create and discovery something easily from books and modern technologies. And we can realize also that these factors are creative installation to lead out naturally the latent liberty sense of users.

양평군 공공도서관 공간 운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Space Operation Plan for Yangpyeong-gun Public Library)

  • 장인호;노영희;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1-32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양평군의 신규 건립 도서관이 지역민을 위한 문화 향유 공간, 창의성 함양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공간별 운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될 공간에 대한 운영 계획(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타 도서관의 유사 공간별 명칭, 운영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고, 도서관 사례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운영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자료실 등은 유아·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초기 독서습관 향상, 발달 기여, 다양한 감각 발달 등에 기여하는 공간 활용이 중요하며, 소극장은 규모가 큰 공연을 중심으로 기획해야 한다. 벽면서가&북스테어 옆 독서 및 휴식을 위한 가구와 공간 마련하고 일정 이하 잡담이 가능한 소통공간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목적실은 체험형 창작 활동, 창작 공연 등을 활성화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아리실은 주기적인 소통 및 의견 공유를 통해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은 다양한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을, 일반자료실은 전 주제의 자료를 제공하는 장소로써 이용자들과 주기적으로 소통하여 의견을 반영하여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족실은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차도 마시면서 북카페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 공간구성 변화 및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f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and their Assessment Strategies)

  • 장윤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29-248
    • /
    • 2014
  • 대학도서관은 급변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도서관의 신축 및 리노베이션을 통한 공간구성의 변화를 시도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대학도서관의 전통적 기능인 자료 보존 및 제공 그리고 대학교 구성원의 학습에 필요한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원자(supporter)의 기능을 넘어서, 공간구성의 변화를 통해 학습과 연구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조력자(facilitator)의 기능으로의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대학도서관 공간 기능의 변화와는 달리 이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리노베이션이나 신축 전후의 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 혹은 도서관 이용의 변화에 국한되고 있어서, 대학의 비전과 목표를 반영한 도서관의 학습커먼즈(learning commons)로서의 기능을 평가하는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조사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개발과 미래의 공간구성 및 평가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이용자와 사서의 인식 및 수요 분석 (Users and Librarian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n the University Library Space)

  • 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3-242
    • /
    • 2020
  •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역량, 그리고 협업역량으로 대변되는 대학의 미래 학습 및 혁신 역량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도서관의 공간혁신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와 사서의 관점에서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한 인식 및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공간혁신의 방향성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이용자와 사서를 위한 각각의 설문지를 설계하고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363명과 대학도서관 사서 186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그들의 도서관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수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이용자의 특성별, 이용행태별 차이를 분석하고, 사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소속도서관 규모, 사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 및 공간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이용자와 사서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수요자 기반의 도서관 신축이나 공간 재구성 계획 시 참고할만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MC 환경에서 디지털도서관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Communication Model for Digital Library in the CMC Environment)

  • 조윤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3호
    • /
    • pp.27-43
    • /
    • 1999
  •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CMC) 환경에서 운영되는 디지털도서관(DL)은 전통적인 도서관(TL)에서 제공하던 정보서비스의 영역과 제공방법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 주었고, TL은 정보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이동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하에 DL의 정보서비스는 불특정 다수 이용자들에게 시공간을 초월한 정보서비스의 영역학대와 즉시적이고,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고는 CMC 환경에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DL과 이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해 개괄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DL에서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DL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개발을 위해 DL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국내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DL의 효과적인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모델을 제시하고, 향후 CMC 환경에서 제공되는 DL과 정보이용자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