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정보(情報) 유통방식(流通方式)의 효율화(效率化) (To Promote Efficiency of a Information Circulation method)

  • 이진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9-142
    • /
    • 1980
  • The present paper discusses some problem areas in supplying information. As the world advances in civilization, we need exact and rapid information exchange, it may be said in this connection that we also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information, we can find the following phenomena: 1. Increase of present potentiality users. 2. Demand of high level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3. Increase of demand in the information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growth of research and development. 4. Contraction of the existing knowhow and degeneration of special field technique, 5. Increase of information concerned person for policy making in the government and in the industry. In the meantime, the information problem occur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information materials, in addition to numerical increase of various kinds, increase of users crate control and standardization problem, so it is needed to improve a mode of expression, structure, file and methods of usage. The librarian, as a information processor, should recognize that the information is national resources and improve the marketability of information industry. We need an administrative system of national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library in accordance with increase of an administrator who is engaged in information activities.

  • PDF

자원공유 수단으로서의 전문 데이터베이스 (Full-text databases as a means for resource sharing)

  • 노진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45-79
    • /
    • 1996
  • Rising publication costs and declining financial resources have resulted in renewed interest among librarians in resource sharing. Although the idea of sharing resources is not new, there is a sense of urgency not seen in the past. Driven by rising publication costs and static and often shrinking budgets, librarians are embracing resource sharing as an idea whose time may finally have come. Resource sharing in electronic environments is creating a shift in the concept of the library as a warehouse of print-based collection to the idea of the library as the point of access to need information. Much of the library's material will be delivered in electronic form, or printed. In this new paradigm libraries can not be expected to su n.0, pport research from their own collections. These changes, along with improved communications, computeriza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s, fax and digital delivery of articles, advancement of data storage technologies, are improving the procedures and means for delivering needed information to library users. In short, for resource sharing to be truly effective and efficient, however, automation and data communication are essential. The possibility of using full-text online databases as a su n.0, pplement to interlibrary loan for document delivery is examined. At this point, this article presents possibility of using full-text online databases as a means to interlibrary loan for document delivery.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urn-around time and the cost of getting a hard copy of a journal article from online full-text databases was comparable to the other document delivery services. Second, the use of full-text online databases should be considered as a method for promoting interlibrary loan services, as it is more cost-effective and labour saving. Third, for full-text databases to work as a document delivery system the databases must contain as many periodicals as possible and be loaded on as many systems as possible. Forth, to contain many scholarly research journals on full-text databases, we need guidelines to cover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electronic reserves. Fifth, to be a full full-text database, mor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really needed.

  • PDF

미래형 대학도서관 모형개발 연구 (A Study on a Model for University Library in the Future)

  • 한상완;김태수;김석영;김성혁;문성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63-139
    • /
    • 1995
  • At this point, the universities preparing the 21st century, require a great reform in various ways, especially a renovation of the function of the university library that can provide intellectual and information ability in information society is raised as an imminent task. Information technology, particularly the advanced technology in networking, have already constructed networks for university libraries using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and it has enabled formation seekers to get the retrieved results transferred to their personal computers in a second. On the other hand, university libraries playing the most important role as an information center are still not corresponding effectively with the information age since it is tied down to the previous system, policy and tradition. The duty of university library is to distribute the accumulated, processed and stored academic information promptly and accurately to professors, researchers and students who are in need, and thereby to enhance their research capability, However, the present university libraries do not seem to be functioning smoothly due to the lack of an effective administrating system, budget,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Accordingly, our university libraries are in urgent need to be of a new and futuristic form appropriate for the 21st century. They must be able to cope with the growth of users' expect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d several university libraries in the America, the structures of which have been reorganized, and also looked into the network(NACSIS) for the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in Japan.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 1) changing role of university library, 2) new criteria for evaluating university libraries, 3) urgent need of a network for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4)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university libraries, and 5) case studie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the foreign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our university library in the 21st century.

  • PDF

건설공사정보 메타데이터의 XML 스키마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XML Schema for the Metadata of Construction Information)

  • 박재원;최재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55-17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공사정보 DB들을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Dublin Core 기반으로 도출하고, 도출된 메타데이터 요소의 특성과 자료형에 맞게 XML 스키마를 설계해 보며, 이를 건설공사정보의 통합 검색에 실제로 적용해 보는데 있다. 건설공사정보 DB로부터 Dublin Core에 기반한 메타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 건설산업분야 실무담당자와 공동으로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결과적으로 메타데이터 요소 12개와 관리요소 1개, 총 13개의 메타데이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13개의 메타데이터의 특성들은 검토ㆍ분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요소별 XML 스키마 설계과정이 상세하게 기술되었다. 완성된 XML 스키마를 기반으로 실제 적용된 통합검색 서비스 환경을 살펴보았으며, 앞으로의 연구과제도 제시되었다.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수요조사 분석 및 개선방안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sible Ways to Improve Policy Information Services and Demand Survey Analysis)

  • 홍현진;노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9-97
    • /
    • 2008
  • 정책정보는 유일무이성, 전문성, 특정성 면에서 국가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으며, 정책정보가 국민 개개인에게 주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및 행정기관이 갖고 있는 정책정보에 개인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함은 물론 효율적인 정책정보서비스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정책정보를 총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책이나 시스템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정책정보유통기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정책정보유통에 대한 요구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에 산재되어 있는 정책정보를 국가적 차원으로 통합하여 국가정책정보 인프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중국의 고문헌 관리 법제화의 조사 분석 (Research and Analysis of Enactment of China's Old and Rare Books Management)

  • 한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93-214
    • /
    • 2018
  • 이 연구는 중국의 고문헌 관리 법제화에 대한 조사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중국의 법체계와 고문헌 관리 정책을 살피고, 4종의 법률과 6종의 행정법규, 4종의 부문규장 및 13종의 행정규범성문건을 조사하였다. 그중 고문헌 관리 내용을 다루고 있는 1) 2013년의 법률 '중국문물보호법', 2) 1981년의 행정법규 '중국고문헌정리지시', 3) 1986년의 부문규장 '중의고문헌 연구정리출판 관리세칙', 4) 2001년의 부문규장 '문물소장품 등급결정 표준', 5) 2003년의 부문규장 '문물경매관리 임시규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 고문헌 관리 정책의 중요성, 2) 국가 차원의 고문헌 관리, 3) 교육 확대와 인적자원의 양성, 4) 고문헌 관리 전문기구의 설치, 5) 중의고문헌 부문의 특별 관리 등의 중국 고문헌 관리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일본 공립도서관 지정관리자제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ated Manager System of Public Libraries in Japan)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57-77
    • /
    • 2021
  • 일본 공립도서관의 정체성은 「사회교육법」과 「도서관법」에 따른 사회교육기관이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위원회가 직영하는 가운데 공공적 단체로 한정한 관리위탁을 병행하여 왔다. 그러다가 2003년 「지방자치법」을 개정하여 행정처분 형식과 민간사업자로 확대한 지정관리자제도를 전격 도입하였다. 2018년 말을 기준으로 공립도서관 18.0%가 지정관리자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나, 찬성론과 반대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설민영'을 표방하는 지정관리자제도의 전모와 공립도서관 도입현황을 개관하고, 주요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DMS를 도입할 경우에 기대되는 비용 절감, 서비스 향상, 직원의 전문성 강화, 업무의 연속성 및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은 논란의 여지가 많았다. 다운사이징 위주의 인사관리, 계약직 위주의 고용정책, 지정기간의 단기성, 복수 경쟁시장의 부재, 비정규직의 지식정보서비스 역량 등에서 기인한다. 공공도서관은 충실한 장서와 적극적인 서비스를 기반으로 인문적 가치와 사회적 품격을 높이는 지식문화 기반시설인 동시에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을 강조하는 지방공공재다. 최근 국내에서 공공도서관을 문화재단 등에 위탁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지정관리자제도는 강 건너 불이 아니다. 일본의 참을 수 없는 제도적 가벼움이 국내 공공도서관에 적용될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

지방의회 자료수집 및 협력체계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Data Collection and Cooperation System in Local Council)

  • 곽동철;정현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9-150
    • /
    • 2013
  • 지방의회 자료실은 지방의회 의원의 민주적 입법 및 의정활동을 지원하여 지역사회의 민주주의와 국리민복에 기여하고 있다. 전국 17개 광역 지방의회의 자료실은 자료수집과 입법정보서비스에서 지역마다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의회자료실의 입법정보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국적인 의회자료 간 협력기구의 조직과, 둘째, 의회발간자료의 공유를 위한 협력시스템의 구축, 셋째, 저작권법과 국회도서관법의 관련조항 정비, 넷째, 디지털 방식으로 간행되는 의회자료 중심의 공동 활용, 다섯째, 전국 지방의회 자료실에 대한 국회도서관 입법정보서비스의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요약되었다.

한국학(韓國學) 고문헌자료(古文獻資料) 전문도서관(專門圖書館) 건축계획(建築計劃)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Architectural Design of Library Building for Preserving Ancient Documents of Koreanology)

  • 이근영;박지훈;공순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43-157
    • /
    • 2009
  • 본 연구는 시설 프로그램, 면적 구성비, 공간 구획, 순환 시스템 등 공간 구성의 분석을 통해 고문헌 전문도서관의 건축 계획 및 설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사례의 공간구성은 크게 자료영역, 이용자영역, 사무/유지관리영역, 서비스/공공부분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은 세부영역으로 구분된다. 둘째, 자료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큰 면적을 차지한다(39~56%). 셋째, 서고의 위치, 보존처리영역의 위치, 하역장의 설치 유무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인다. 넷째, 각 사례의 공간구성체계를 분석하면 각 사례별 공간구성은 자료의 이동경로와 관계가 있다.

대구시 중장기 공공도서관 확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id- to Long-term Public Library Expansion Plan in Daegu City)

  • 윤희윤;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97-117
    • /
    • 2023
  • 본 연구는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중장기 확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관계 법령 및 통계데이터 분석, 사례조사, 의견·방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비스 권역은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총 14개 권역(중구·서구·남구·달성군은 각각 1개, 동구와 북구는 각각 2개, 수성구와 달서구는 각각 3개)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확충 시나리오는 과거 13년간(2008-2020) 전국 도서관의 증가 추이 및 향후 10년간(2023-2032) 증가 예측을 바탕으로 최종 목표연도(2032년)까지 26개관을 추가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건립 중에 있는 대구대표도서관을 제외한 기초자치단체별 건립 시나리오는 중구·서구·남구에 각각 1개관, 수성구에 2개관, 달성군에 3개관, 동구에 4개관, 북구와 달서구에 각각 7개관을 제시하였고, 연면적 규모별로는 법적 최저 기준인 330-2,499㎡(분관)을 17개관, 2,500-4,999㎡(거점관)와 5,000-9,999㎡(중앙관)를 각각 4개관 추가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조건정비를 전제로 대구시와 공공도서관은 포용·개방형 커뮤니티 공간화, 디지털 플랫폼 조성, 대구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운영·협력체계 강화, 지역거점관의 장서개발 및 서비스 특성화, 다양한 지식정보·프로그램서비스 충실화, 도서관 핵심지표 관리 및 기여도 제고 등에 주력해야 지역 지식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