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ian Recommend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공공도서관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Online Book Curation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이수상;이태석;주소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89-209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에서 추천된 도서를 내용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대상은 23개 공공도서관에서 수집한 35가지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와 11,447권의 추천도서 목록이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부 도서관들만 추천주제를 제시하고 있었고, 추천대상은 특정한 대상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도서의 추천주기는 월별이 가장 많았다. 대체로 추천되는 도서는 서로 중복되지 않지만, 2019~2021년에 발행된 '문학'(소설)에서는 중복이 있었다. 추천도서는 일부 발행처에서 출판한 도서의 비중이 높았으며, 2019~2021년에 발행된 도서들이 가장 많았다. KDC 6판 기준으로 분석한 주제분야는 '문학'이 가장 많았다. ISBN 부가기호 기준으로 분석한 독자대상은 '교양', '아동' 도서 순으로 나타났고, 발행형태는 '단행본'과 '그림책, 만화'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을 위한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 지침을 개발하고 플랫폼을 구축하여 도서관들이 공유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사서교사 이미지가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eacher Librarians' Images on the User Satisfaction of School Libraries)

  • 천희선;박지홍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55
    • /
    • 2018
  •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사서교사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이미지에 따라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도를 알아봄으로서 학교도서관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서울, 경기지역 10개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서교사의 이미지유형은 전문성있는 이미지와 적극적인 이미지, 단순한 업무이미지로 분류되었고 전문성있는 이미지와 적극적인 이미지는 학교도서관이용자만족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한 업무이미지는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와 이미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는 학교도서관 재이용의사와 추천의도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사서교사이미지와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적극적인 태도와 전문성을 신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용빈도가 낮을수록 사서교사의 이미지를 단순한 업무이미지로 보고 있으므로 이용빈도를 높이기위한 다양한 독서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서교사이미지가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청소년을 위한 도서관 추천도서 목록의 특징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Recommended Book Lists for Teens and the Way to Improve)

  • 박미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1-124
    • /
    • 2023
  • 도서관의 도서 추천은 막연한 요구를 가진 이용자들의 도서 탐색 및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소개하고 적합한 도서를 추천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도서관 이외의 다양한 기관에서도 추천도서 목록을 발간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록에는 추천도서를 선정하는 주체의 의도가 반영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추천도서 목록이 도서관 이외 기관에서 발간하는 추천도서 목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많은 기관에서 도서 추천의 주요 타겟층으로 삼는 '청소년'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① 추천도서의 선정 기준, ② 추천된 도서의 특징, ③ 추천도서 목록의 제공방식의 측면에서 도서관과 도서관 이외 기관의 추천도서 목록을 상호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추천도서 목록이 갖는 특징과 한계를 도출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면에 대해 논의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서교사 역할 및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 Librarians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1-102
    • /
    • 2020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서교사의 역할, 자질, 건강 및 용모, 도서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4개의 프레임과 20개의 하위범주를 토대로 분류한 뒤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의 중심에 존재하는 핵심적 개념은 학생의 경우 '도서관운영'이었으며, 교사의 경우는 '독서교육'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은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 지원', '도서관활용수업 및 협력수업'과 같은 사서교사의 교수협력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높지 않은 데 비해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역할을 비중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추천과 안내 활동을 하위개념으로 구성하는 '정보봉사'는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중심적 기능을 하고 있으며,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서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서는 '전문성 및 전문지식'이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서교사의 역할 설정, 학생 및 교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서추천제도와 베스트셀러 목록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Librarian Recommendation System and Bestseller List)

  • 남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1-334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인 장서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계량화된 객관적 기준점 제시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스테디셀러는 정기간행물 형태의 학습서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현대소설로서 스테디셀러는 특정 작가에 의존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베스트셀러는 출판사와 저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만화와 아동용 교재를 출판하는 출판사의 도서는 베스트셀러 선정에 상당부분 상관성을 갖고 있었다. 추천된 도서 한 권당 추천 도서의 대출 수 평균은 14,871권이었으며, 베스트셀러로 선정된 도서 한 권당 평균 대출 수는 53,531권이었다. 한편 대출데이터를 기준으로 약 80~82%의 도서가 전체 상위권 대출의 90%를 감당하고 있고, 약 27~29%의 도서가 전체 상위권 대출의 50%를 감당하고 있었다. 이는 일련의 파레토법칙이 공공도서관 대출패턴에서도 굳건히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문학의 대출은 전체 대출에서 50.6%를 차지하였으며, 문학 중에서 한국문학작품이 전체 51.3%를 차지하였다. 자연과학은 다른 주제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수의 문헌으로 더 많은 대출을 발생시키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