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aO_3$ 단결정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LiTaO3 및 LiMbO3 단결정 내의 상자성 불순물에 관한 전자 자기공명 연구 (Electron Magnetic Resonance Study of Paramagnetic Impurities in LiTaO3 and LiMbO3 Single Crystals)

  • 염태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204-210
    • /
    • 2003
  • 강유전체 물질인 LiNbO$_3$ 및 LiTaO$_3$ 단결정 내에 불순물로 첨가되어 있는 상자성 전이원소인 Cr$^{3+}$ , $Mn^{2+}$, Fe$^{3+}$ 이온에 관한 전자 자기공명 연구를 하였다. 이들 두 단결정 내에 들어있는 불순물 이온에 대하여 중첩모델을 써서 계산한 영자기장 갈라지기 상수의 값을 실험에서 얻은 영자기장 갈라지기 값 및 기존에 보고된 많은 연구 논문과 비교 분석하여 상자성 불순물이 결정 내의 어느 자리를 치환하고 들어가는지를 연구하였다. LiNbO$_3$ 단결정 내의 Cr$^{3+}$ 이온이 불순물로 들어 갈 경우에는 두 가지 공명 중심이 가능하며, Li$^{+}$ 및 Nb$^{5+}$이온 자리를 각각 치환하고 들어간다. 또한 LiNbO$_3$ 결정 내의 $Mn^{2+}$ 및 Fe$^{3+}$ 이온의 경우에는 두 이온 모두 Nb$^{5+}$ 이온 자리를 치환하고 들어간다. LiTaO$_3$ 단결정 내에 불순물로 들어가 있는 Cr$^{3+}$ 및 Fe$^{3+}$ 이온은 모두 Li$^{+}$ 이온 자리를 치환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iTaO_3$ 단결정의 완전용융조성 (Congruent Melt Composition of $LiTaO_3$ Single Crystal)

  • 정대식;박병학;김유성;노용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9-106
    • /
    • 1993
  • 열분석(DTA :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방법에 의한 퀴리온도$(T_c)$ 측정방법으로부터 48.50에서 49 $Li_2O$ mole %까지의 퀴리온도$(T_c)$$Li_2O$ mole %(C)의 관계식 $(T_c = -17.869C^2+1840.2C-46623)$을 구하였다.$LiTaO_3$ 단결정의 congruent 조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48.60 부터 48.70 mole %까지의 영역에서 쵸크랄스키법으로 $LiTaO_3$ 단결정을 육성하고 Top과 Tail 결정에서의 퀴리온도 차이,${\Delta}{T_c} (T_{c(Top)}-T{_c(Tail)})$ 그리고 결정성장 초기와 말기의 융액과 결정의 조성비로부터 분배계수(k)를 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결정된 congruent 조성은 48.65 mole %였으며 그때의 $(T_c)$ 값은 $610{\pm}1^{\circ}C$였다.

  • PDF

$LiB_3O_5$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Lithium Triborate, $LiB_3O_5$)

  • 박현민;조양구;김한균;정수진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8-142
    • /
    • 1998
  • Lithium triborate, LiB3O5(Mr=119.37), 단결정을 상단 종자정 융액법으로 성장시켰으며,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결정계는 사방정계이며 공간군은 Pna21(No. 33)이다. 단위포의 상수는 a=8.432(1) , b=7.364(1) , c=5.110(1) , α=β=γ=90.00o, V=317.3(6) 3, V=4, Dx=2.50 gcm-3, MoKα1, λ=0.71069 , μ=2.3/cm, F(000)=232, T=293 K 이었다. 최종 구조의 오차인자는 520개 회절 점에서 각각 R=0.0222과 wR=0.0582이었다.

  • PDF

$Li_3B_7O_12$의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Lithium Heptaborate, $Li_3B_7O_12$)

  • 박현민;조양구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0
    • /
    • 1998
  • Lithium heptaborate, Li3B7O12(Mr=288.49), 단결정을 성장시킨후, 결정구조를 X-선 분말 회절법과 단결정 회절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단위포 내에 각각 두개의 (B3O7)3-와 (B3O8)5-그룹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군은 P-1(Ci1)으로 결정되었고, a=6.500(3) Å, b=7.839(2) Å, c=8.512(1) Å, α=92.07(2)˚, β=104.97(2)˚, γ=99.35(3)˚, V=412.0(2) Å3, Z=2 Dx=2.32 g cm-3, MoKα, λ=0.71069 Å, μ=2.15cm-1, T=293K 이었다. 최종 구조의 오차인자는 2,296개 회절 점에서 각각 R=0.0339과 wR=0.0882이었다. X-선 분말 회절방법으로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sI(Li) 단결정의 섬광특성 (Scintillation Characteristics of CsI(Li) Single Crystals)

  • 이우교;도시홍;노태익;김완;강희동;문병수
    • 센서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359-367
    • /
    • 1999
  • CsI에 lithium을 활성제로 0.02, 0.1, 0.2 및 0.3 mole% 첨가한 CsI(Li) 단결정을 Czochralski 방법으로 육성하였다. 육성한 CsI(Li) 단결정의 격자구조는 bcc구조였으며, 격자상수 $a_o$ 값은 $4.568\;{\AA}$이었다. CsI(Li) 단결정의 흡수단은 245 nm이였으며, 흡수단으로 여기 시킨 발광스펙트럼의 파장범위는 $300{\sim}600\;nm$이었고 중심파장은 425 nm이었다. Li 농도를 0.2 mole% 첨가한 경우 에너지 분해능은 $^{137}Cs$(662 keV)에 대해서는 14.5%, $^{54}Mn$(835 keV)에 대해서는 11.4%이었고 $^{22}Na$의 511 keV와 1275 keV에 대한 에너지 분해능은 각각 17.7%와 7.9% 이었다. 그리고, $\gamma$선 에너지와 에너지 분해능 사이의 관계식은 ln (FWHM%) = -0.893lnE + 8.456이였으며, 에너지 교정곡선은 ${\log}E_r=1.455\;{\log}(ch.)-1.277$이었다. Li를 0.2 mole% 첨가한 CsI(Li) 단결정의 인광감쇠시간은 실온에서 0.51 s이었고, 일정비율 시간분석법(CFT:constant-fraction timing method)으로 측정한 시간분해능은 9.0 ns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