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ClO₄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3초

$LiCl-Li_2O_2$ 용융염계에서 오스테나이트계 합금의 부식거동 (Corrosion Behavior of Austenitic Alloys in the Molten Salts of $LiCl-Li_2O_2$)

  • 오승철;윤기석;임종호;조수행;박성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373-378
    • /
    • 2003
  • $LiCl-Li_2O_2$용융염계에서 용융염 취급장치의 구조재료를 위한 평가의 일환으로 오스테나이트 합금인 Fe-base 및 Ni-base 합금의 부식거동을 분위기온도; 650~$725^{\circ}C$, 부식시간: 24~168h, $Li_2O$농도; 3wt%, 혼합가스농도: Ar-10%$O_2$에서 조사하였다. $LiCl-Li_2O_2$ 용융염계에서 Ni-base 합금이 Fe-base 합금보다 높은 내부식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Fe-base 합금에서 Fe의 함량이 낮고 Ni의 함량이 높은 경우 부식저항성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Fe-base 합금의 부식생성물은 $Cr_2O_3$, $FeCr_2O_4$ Ni-base 합금에서는 $Cr_2O_3$, $NiFe_2O_4$로 나타났다.

  • PDF

고온 용융염에서 Fe기 및 Ni기 초합금의 부식거동 및 합금원소의 영향 (Corrosion Behavior and Effect of Alloying Elements of Fe-base and Ni-base Superalloys on Hot Molten Salt)

  • 조수행;장준선;정명수;오승철;신영준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10호
    • /
    • pp.985-991
    • /
    • 1999
  • Incoloy 800H, KSA (Kaeri Superalloy)-6, Inconel 600 및 Hastelloy C-276 합금의 용융염에서의 부식거동을 650~85$0^{\circ}C$ 온도범위에서 조사하였다. LiCl-Li$_2$O혼합용융염에서의 부식은 Li$_2$O에 의한 염기성 용해 기구에 의해 진행되며, 부식속도가 LiCl에서보다 훨씬 빠르게 나타났다. 혼합용융염 LiCl-Li$_2$O에서는 Ni기 합금의 부식속도가 Fe기 합금보다 빠르고, Mo와 W의 함량이 높은 Hastelloy C-276이 가장 빠른 부식속도를 나타내었다. 용융염 LiCl에서는 LiCrO$_2$의 단일 부식층이 형성되고, LiCl-Li$_2$O 혼합용융염에서는 산화물과 Ni의 2상구조의 다공성 부식층이 형성되었다.

  • PDF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고온용융염 부식거동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Behavior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Hot Molten Salt)

  • 조수행;박상철;정명수;장준선;신영준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1-216
    • /
    • 1999
  • LiCl 및 $LiCl/Li_2O$ 용융염분위기에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SUS 316L과 SUS 304L의 부식특성을 650­~$850^{\circ}C$ 온도범위에서 조사하였다. SUS 316L과 304L의 부식층은 외부 $Li(CrFe)O_2와 내부 Cr_2O_3$의 2층 구조를 형성하였다. LiCl 용융염중에서는 균일한 부식충이 형성되지만, $LiCl/Li_2O$ 혼합용융염중에서는 균일한 부식충 형성외에 업계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50^{\circ}C$까지 온도 증가에 따른 부식속도의 증가속도는 느리고, $750^{\circ}C$ 이상에서는 부식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용융염분위기에서 SUS 316L은 SUS 304L에 비하여 부식속도가 느려셔 보다 좋은 내식성을 나타내였다.

  • PDF

LiCl-Li2O 용융염에서 타이타늄 산화물의 전해환원 특성 (Electrolytic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Titanium Oxides in a LiCl-Li2O Molten Salt)

  • 이정;김성욱;이상권;허진목;최은영
    • 전기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6-160
    • /
    • 2015
  • 파이로프로세싱 전해환원은 사용후핵연료의 재활용을 위해 우라늄산화물을 금속으로 전환하는 공정으로 핵물질을 사용하기 이전에 대체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환원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해환원 장치 개발을 위한 대체 금속산화물로 타이타늄 산화물(TiO와 $TiO_2$)을 선정하고 $650^{\circ}C$$Li_2O$-LiCl 용융염에서의 용해도 및 전해환원 특성을 평가하였다. 1.0 wt.% $Li_2O$-LiCl 용융염에서 TiO와 $TiO_2$의 침지 실험을 통해 두 산화물 모두 염에 일부 용해됨을 확인하였는데, $TiO_2$(2100 ppm)가 TiO(156 ppm)에 비해 더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1.0 wt.% $Li_2O$-LiCl 용융염에서 TiO와 $TiO_2$의 전해환원을 각각 수행하여 Ti 금속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염 내 용해도가 낮은 TiO는 환원에 사용된 백금 양극 표면에서 Ti이 검출되지 않은 반면 $TiO_2$의 백금 표면에서는 Ti이 검출되었다.

중성자 산란을 이용한 $KMnCl_3$, $LiNbO_3$$Mg-LiNbO3$단결정의 mosaic 연구 (Mosaics of $KMnCl_3$ undoped and Mg-doped $LiNbO_3$ single crystals measured by neutron scattering)

  • 양용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34
    • /
    • 1995
  • 단결정 $KMnCl_3$, $LiNbO_3$$Mg-LiNbO_3$의 bulk 성질을 중성자 산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편광 빛을 사용하여 보이는 좋은 단결정이라도 이들의 bulk 성질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는 중성자 산란으로 재측정하여야 함을 보여준다. 중성자 산란에서 나타나는 $KMnCl_3$, 의 큰 mosaic 분포는 이 결정이 단일 구역을 갖는 단결정이 아니고 축에 대해 작은 각으로 분포되어 있는 구역 군들이 상대적으로 여러 방향으로 존재함을 보여준다. $LiNbO_3$ 에서 나타는 작은 mosaic분포는 큰 구역들이 서로 가까이 정렬되어 있고 Mg가 첨가된 $LiNbO_3$ 는 잘 키워진 단결정으로 나타났다.

  • PDF

흡수식냉난방기용 다성분 리튬염 작동매체의 증기압 및 용해도 측정 (Measurement and Analysi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Multi Lithium Salts Solution in Absorption Heat-Pumps)

  • 주우성;김희택;오영삼;백영순
    • 공업화학
    • /
    • 제9권1호
    • /
    • pp.82-88
    • /
    • 1998
  • 고효율 공냉형 흡수식 냉방기를 위한 신작동매체로 기존의 $LiBr-H_2O$계에 높은 흡수성과 용해성를 지닌 $LiNO_3$과 LiCl 무기물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된 다성분계의 작동매체에 대한 용해도와 증기압을 측정하여 $LiBr-H_2O$계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최적혼합비를 각각 구하였다. 용해도 측면에서 $LiBr-LiNO_3-H_2O$계의 경우, LiBr과 $LiNO_3$의 최적혼합 몰비는 5:1이었으며, 반면 $LiBr-LiNO_3-LiCl-H_2O$계의 경우 LiBr, $LiNO_3$, LiCl의 최적혼합몰비는 5:1:2로 나타났다. 한편 증기압은 $LiBr-H_2O$계에 $LiNO_3$의 첨가량이 증가하였으나, LiCl의 경우에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각각 나타내었다.

  • PDF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Binary Electrolyte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 Kim, Hyung-Sun;Jeong, Chang-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0호
    • /
    • pp.3682-3686
    • /
    • 2011
  •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sulfur batteries with binary electrolytes based on DME and DOL, TEGDME and DOL mixed solvent containing $LiClO_4$, LiTFSI, and LiTF salts were investigated. The ionic conductivity of 1M LiTFSI and $LiClO_4$ electrolytes based on TEGDME and DOL increased as the volume ratio of DOL solvent increased, because DOL effectively reduces the viscosity of the above electrolytes medium under the same salts concentration. The first discharge capacity of lithium-sulfur batteries in the DME and DOL-based electrolyte followed this order: LiTFSI (1,000 mAh/g) > LiTF (850 mAh/g) > $LiClO_4$ (750 mAh/g). In case of the electrolyte based on TEGDME and DOL, the first discharge capacity of batteries followed this order: $LiClO_4$ (1,030 mAh/g) > LiTF (770 mAh/g) > LiTFSI (750 mAh/g). The cyclic efficiency of lithium-sulfur batteries at 1M $LiClO_4$ electrolytes is higher than that of batteries at other lithium salts-based electrolytes. Lithium-sulfur battery showed discharge capacity of 550 mAh/g until 20 cycles at all electrolytes based on DME and DOL solvent. By contrast, the discharge capacity of batteries was about 450 mAh/g at 1M LiTFSI and LiTF electrolytes based on TEGDME and DOL solvent after 20 cycles.

Li2ZrO3로 CO2 제거시 알칼리 첨가제 효과 (Effects of Alkaline Additives on CO2 Removal by Li2ZrO3)

  • 박주원;강동환;조영도;유경선;이재구;김재호;한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5호
    • /
    • pp.535-539
    • /
    • 2006
  • 가연성 폐기물 가스화반응으로 생성되는 합성가스내의 $CO_2$ 제거반응에서 $Li_2ZrO_3$와 알칼리염 첨가제의 효과를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Li_2ZrO_3$는 고체상태의 $ZrO_2$$Li_2CO_3$를 합성하여 제조하였고, 반응성향상을 위하여 $K_2CO_3$, $Na_2CO_3$, NaCl, LiCl 등의 알칼리염을 첨가한 후 열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첨가한 알칼리염에 따른 반응성 향상은 $K_2CO_3>NaCl>LiCl>Na_2CO_3$ 순으로 나타났고 이는 $Li_2CO_3$의 partial melting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 시료의 SEM 분석 결과 용융상태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XRD를 통해 첨가된 알칼리염들의 화학적 성분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aCl을 사용한 경우 반응 초기에 60분 정도의 유도시간이 발생하였으며, $Na_2CO_3$가 첨가된 경우 $700{\sim}750^{\circ}C$에서도 $Li_2ZrO_3$$CO_2$ 제거반응에 의해 생성된 $Li_2CO_3$의 분해가 유도되지 않아 반응성 감소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