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tiraceta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난치성 소아 간질에서 levetiracetam의 효과 (Efficacy of levetiracetam in refractory childhood epilepsy)

  • 이건수;강준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71-578
    • /
    • 2010
  • 목 적: 간질 환자의 20-30%는 난치성 간질로 알려졌는데, 기존의 항경련제나 새로운 항경련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환자에게 LEV를 부가요법으로 투여 후 효과와 부작용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89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하여 난치성 간질로 진단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86명을 대상으로, LEV 투여 전 6개월간의 평균 경련 횟수를 기준으로 LEV외에 다른 항경련제를 추가하기 전까지의 평균 경련 감소 정도를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결 과: 86명의 환자 중 남자는 47명, 여자는 39명이었고, 발작 소실은 86명 중 44명(51.1%), 50% 이상 발작 감소는 86명 중 62명(72.1%)이었고, 19.8%는 변화가 없었으며, 5.8%는 발작이 증가했다. 나이, 동반질환, 발작형 및 치료 전 6개월간 발작 횟수는 발작 소실이나 50% 이상 발작 감소율과 관계가 없었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발작 소실과 50% 이상 발작 감소를 보인 경우는, 질병기간, LEV 투여 전 치료기간, LEV의 용량과 치료 전 사용한 항경련제의 숫자였으며, LEV 치료 기간과 뇌파는 발작 소실에만 의의가 있었고, 원인은 50% 이상 감소율에만 의의가 있었다. 부작용은 86명 중 40명(46%)에서 나타났고, 부작용은 기면, 과잉 행동, 과민성, 공격성, 피로 등이었으며, 대부분 일시적이거나 경미하여 치료 도중 소실되었다. 결 론: 난치성 소아 간질의 치료에 LEV의 부가 요법은 부분 발작뿐만 아니라 전신발작에도 효과와 반응이 좋고, 심각한 부작용도 없었다.

Intravenous levetiracetam versus phenobarbital in children with status epilepticus or acute repetitive seizures

  • Lee, Yun-Jeong;Yum, Mi-Sun;Kim, Eun-Hee;Ko, Tae-S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1호
    • /
    • pp.35-3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intravenous (i.v.) phenobarbital (PHB) and i.v. levetiracetam (LEV) in children with status epilepticus (SE) or acute repetitive seizure (AR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children (age range, 1 month to 15 years) treated with i.v. PHB or LEV for SE or ARS at our single tertiary cent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eizure termination was defined as seizure cessation within 30 minutes of infusion completion and no recurrence within 24 hours. Information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electroencephal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previous antiepileptic medications, and adverse events after drug infusion was obtained. Results: The records of 88 patients with SE or ARS (median age, 18 months; 50 treated with PHB and 38 with LEV) were reviewed. The median initial dose of i.v. PHB was 20 mg/kg (range, 10-20 mg/kg) and that of i.v. LEV was 30 mg/kg (range, 20-30 mg/kg). Seizure termination occurred in 57.9% of patients treated with i.v. LEV (22 of 38) and 74.0% treated with i.v. PHB (37 of 50) (P=0.111). The factor associated with seizure termination was the type of event (SE vs. ARS) in each group.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in 13.2% of patients treated with i.v. LEV (5 of 38; n=4, aggressive behavior and n=1, vomiting), and 28.0% of patients treated with i.v. PHB (14 of 50). Conclusion: Intravenous LEV was efficacious and safe in children with ARS or SE. Further evaluation is needed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nd best-tolerated loading dose of i.v. LEV.

Experience and pharmacokinetics of Levetiracetam in Korean neonates with neonatal seizures

  • Shin, Jae Won;Jung, Yun Seob;Park, Kyungsoo;Lee, Soon Min;Eun, Ho Seon;Park, Min Soo;Park, Kook In;Namgung, R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2호
    • /
    • pp.50-54
    • /
    • 2017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afety and pharmacokinetics of levetiracetam (LEV) in neonates with seizures and to establish a population pharmacokinetics (PPK) model by using the software NONMEM.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8 neonatal patients with seizures, who were treated with LEV, including 151 serum samples, was performed. The mean loading dose was 20 mg/kg, followed by a mean maintenance dose of 29 mg/kg/day. Results: Seventeen neonates (94%) had seizure cessation within 1 week and 16 (84%) remained seizure-free at 30 days under the LEV therapy. The mean serum concentration of LEV was $8.7{\mu}g/mL$. Eight samples (5%) were found above the therapeutic range. No serious adverse effects were detected. In the PPK analysis for Korean neonates, the half-life was 9.6 hours; clearance, 0.357 L/hr; and volume of distribution, 4.947 L, showing differences from those in adults. Conclusion: LEV is a safe and effective option for the treatment of neonatal seizures with careful therapeutic drug monitoring.

단일 요법 항경련제가 소아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convulsant Monotherapy on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 신찬옥;이나영;한지윤;유일한;엄태훈;빈중현;김영훈;정승연;이인구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9-271
    • /
    • 2018
  • 목적: 항경련제 사용은 골밀도 감소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소아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단일 요법으로 치료하는 뇌전증 환자에서 항경련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부천성모병원에서 뇌전증 치료를 하는 소아 환자 60명에 대해 후향적으로 살펴 보았다. Dual photo absorptiometry로 골밀도를 6개월마다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60명 중 Oxcarbazepine, Valproate, Levetiracetam으로 치료한 환자는 각각 31, 16, 13명이었다. Oxcarbazepine 치료 환자 31명 중 8명(25.8%, P=0.10), Valproate 치료 환자 16명 중 9명(56.3%, P=0.04), Levetiracetam 치료 환자 13명 중 4명(30.8%, P=0.50)에서 골밀도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 Valproate 투여 환자들에서 다른 항경련제 치료 환자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항경련제 치료를 하는 소아 뇌전증 환자의 골밀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단일 센터에서 경험한 소아에서의 노로바이러스 위장관염과 연관된 양성 경련 (Convulsions with Noroviral Gastroenteritis in Children at a Single Center in Korea)

  • 강수연;이현주;김신혜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3-239
    • /
    • 2018
  • 목적: 바이러스성 위장염은 유소아에서 흔한 질병이다. 바이러스성 위장염은 위장염과 연관된 양성 경련의 형태로서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 백신 개발 후 노로바이러스는 소아에서 더욱 임상적으로 의미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이 확진된 위장염과 연관된 소아 경련 환자에서, 특히 노로바이러스를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임상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명지병원을 내원한 소아환자 중 경련 및 위장염으로 입원한 15세 미만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조회를 통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경련 및 위장염으로 입원한 46명의 환자(남아 24명, 여아 2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 환자들 중 노로바이러스 21건(45.7%), 아데노바이러스 3건(6.5%), 로타바이러스 2건(4.3%), 아스트로바이러스 1건(2.2%)이 검출되었다. 노로바이러스 위장염군의 환자는 비-노로 바이러스성 위장염군에 비해 설사 발생률이 높았다(61.9% vs 28.0%, P<0.05). 노로바이러스 위장염과 연관된 양성 경련은 전신발작 형태를 보였다. 12명의 환자는 뇌전증 지속상태가 나타났으며, 그 중 5명 (23.8%)이 노로바이러스 위장염군에서, 7명 (33.0%)이 비-노로 바이러스 위장염군(P=0.837) 에서 발생하였다. 발작은 12명의 환자 중 8명(66.7%)에서 정맥으로 투여한 benzodiazepines에 의해 효과적으로 종결되었다. 12명의 환자 중 3명(25%)에서 fosphenytoin이나 levetiracetam과 같은 지속성 항 경련제가 필요하였다. 결론: 위장염과 연관된 양성 경련 환자는 원인이 노로바이러스 또는 비-노로바이러스임에 따라 임상양상이 크게 달라지지 않으나, 초기에 적극적인 항경련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확인할 수 있었다.

Successful Management of Post-Traumatic Hydrocephalus and Pseudomeningocele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in a Cat

  • Hyoung-Won Seo;Jeong-Min Lee;Hae-Boem Lee;Yoon-Ho Roh;Tae-Sung Hwang;Kun-Ho Song;Joong-Hyun So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6-61
    • /
    • 2023
  • A 5-month-old female domestic short-haired cat presented with a history of seizure episodes for two months following an animal bite injury to the head. There were no remarkable findings on physical and neurological examination or blood analysis.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fracture of the left parietal bone with an inward displacement of the bone fragment whi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an enlarged temporal horn of the left lateral ventricle and a pseudomeningocele compressing the adjacent cerebral parenchyma. Subsequently,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results were normal.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with subsequent post-traumatic hydrocephalus (PTH) and pseudomeningocele. Despite treatment with phenobarbital and levetiracetam, seizures were not sufficiently controlled. Craniectomy for bone fragment removal and duraplasty were performed after a week. The patient then returned to normal condition with no further seizure activity. On repeated MRI two months after discharge, the hydrocephalus of the lateral ventricle and pseudomeningocele were enlarged; however, the patient maintained a good clinical status without any neurological sig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PTH and intracranial pseudomeningoceles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cats. PTH and pseudomeningocele are among the complications of TBI and may not have any significant relevance with the clinical signs in this case. Thus, to broaden our knowledge about PTH and pseudomeningocele in cats, we describe serial changes in the clinical findings of this cat over the treatment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