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ukotoxin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istribution of the serum Ig G titers to whole cell and leukotoxin of Mannheimia haemolytica Al in Holstein and Korean indigenous cattle slaughtered in abattoir

  • Byun, Jae-Won;Kim, Kyung-Ho;Lee, Sung-Mo;Lee, Jung-In;Hwang, Hyun-Soon;Kim, Yong-Hee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 /
    • v.26 no.4
    • /
    • pp.323-328
    • /
    • 2003
  • A total of 419 slaughtered cattl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erum Ig G titers to the Mannheimia haemolytica Al whole cell and leukotoxin recognized with important virulence factor in bacterial pathogenesis.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ere represented with average absorbance${\pm}$standard deviation. Serum Ig G titers were detected with the ranges from 0.1 to 0.5 at 490nm. Whole cell titers were higher than leukotoxin antibody on the whole. Antibody titers of slaughtered cattle between races, age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gradual decrease under aging in dairy cow for whole cell (decline mean titer from 0.29 to 0.27 according to age) was undertaken. Holstein bulls shipped from Seoul province had a significantly lower Ig G titers than those from another ones (p<0.05).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Gene in Bacillus subtilis (Bacillus subtilis을 이용한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 Yoo, Han-sang;Maheswaran, Samuel 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6 no.3
    • /
    • pp.665-680
    • /
    • 1996
  • Bovine Pneumonic Pasteurellosis는 수송열(輸送熱)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질병으로서, 여러가지 요인의 복합적(複合的)인 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Pasteurella haemolytica A1이 가장 주요(主要)한 인자(因子)로 밝혀져 있다. P haemolytica A1은 leukotoxin(LKT), lipopolysaccharide(LPS), capsular polysaccharide 등 여러가지의 병원성인자(病原性因子)을 생성한다. 이들 인자중 LKT가 가장 중요한 병원성인자로 밝혀져 있다. 이에 본 실험은 P haemolytical A1의 LKT 유전자를 Bacillus subtilis에서 발현(發現)시킴으로서 LPS에 오염(汚染)되지 않은 LKT을 대량으로 생산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의 첫 단계(段階)로서 pLKT52 plasmid을 Sau3 A1의 제한효소을 이용하여 부분소화(部分消化)시킨 후 이 부분 소화(消化)된 유전자들로부터 3~5kb 크기의 유전자들을 순수분리하여 pUC18와 결합시킨 후 E coli NM522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이때 형질전환된 균주들은 LKT에 대한 단크론 항체인 MAb601을 이용하여 colony blot 법에 의해서 LKT 유전자 보유 및 발현여부(發現與否)을 조사하였다. 이들 양성 clone들은 제한효소분석(制限酵素分析), 염기서열분석(鹽基序列分析) 및 Western blot 등에 의해서 재확인(再確認)하였다. 총 9개의 양성 clone중 위의 방법에 의해서 한 clone을 선택(選擇)하여 lktCA insert를 재분리하여 shuttle vector에 subcloning 하였다. Subcloning된 LKT 유전자들은 shuttle vector의 종류(種類)(pHPS9, p602/20, pHPS9-Sac)와 각기(各其) 다른 종류(種類)의 B subtilis(spoO12A, BR121, WB3O, Raj1105) 숙주내(宿主內)에서 발현정도를 Western blot 법에 의해서 비교(比較)하였다. 이때 최적발현조건(最適發現條件)은 p602/20와 pBL1의 dual plasmid system을 이용하여 B subtilis spoO12A에서 2시간동안 IPTG로 발현을 유도(誘導)하는 것이었다. B subtilis에서 발현된 LKT을 visual 법과 neutral red uptake 법을 이용하여 소 폐포(肺胞) 대식구(大食求)에 대한 biological activity를 확인하였다. 발현된 LKT에 대한 LPS 오염은 LKT을 SDS-PAGE 후 silver stain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서 볼 때에 lktCA 유전자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p602/20는 B subtilis에서 매우 불안정(不安定)하였고, 발현된 LKT는 세균자체(細菌自體)에서 생성되는 protease들에 의해서 파괴(破壞)됨으로서 농도(濃度)가 매우 낮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다음 단계(段階)의 실험에서 해결되어야할 문제들이다.

  • PDF

INTERRELATIONSHIP BETWEEN VIRULENT CLONAL TYPES, SEROTYPES AND LEUKOTOXICITY OF KOREAN STRAINS OF A. ACTINOMYCETEMCOMITANS (한국인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균주의 특이 독성 clone형과 혈청형 및 백혈구독성과의 관계)

  • Ku, 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5 no.3
    • /
    • pp.487-496
    • /
    • 1995
  •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not all A. actinomycetemcomitans produced significant level of leukotoxic factor and its leukotoxicity have associated with serotype and genetic variation. Our aim was to investigate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erotype and leukotoxicity of an A. actinomycetemcomitans consisting of 13 clinically well characterized. Korean isolates and to evaluate if particular virulent clonal types of A. actinomycetemcomitans are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For this study, 13 strains of A. actinomycetemcomitans from 6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using a selective medium(tryptic soy agar supplemented with 10% serum, $75{\mu}g$ of bacitracin and $5{\mu}g$ of vancomycin per ml) in 10% C02 incubator for 3days with routine Gram staining, colony morphology and biochemical test..For serotyping, antisera were prepared from reference strains of 5 serotypes. (ATCC 29523,Y4, SUNY aB 67, IDH 781, IDH 1705) and then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immunoabsorption and indirect immunofluoroscent procedures were done. For analysis of leukotoxicity, sonic extract of A. actinomycetemcomitans exposed to PMN, and trypan blue was stained for counting the cell viability. Finally Southern blot analyses of genomic DNA digested with the restriction enzyme Tag I was done and the Southern blots were hybridized with the 530bp fragment, termed delta 530, originating from the ltx promoter of strain 652 and deleted from strain JP2. Also ltxA-3.1 and SC2 probe from strain JP2 were hybridized with genomic DNA fragments. Results reveal that strains isolated showed approximately equal proportions of 3 serotypes(b, d, e) and serotype b was not detected. 2 patients harbored 2 different serotypes in the same disease site. The prevalence of leukotoxic strain was 23%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erotype, leukotoxicity and clinical observations. Especially virulent clonal types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 (JP2 strain) could not foun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on the genetic polymorphism of leukotoxin and its relations to clinical status.

  • PDF

The role of CD14 and Toll-like receptors on the release of MMP-B in the LPS recognition pathway (지질 다당질 인지경로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 분비에 대한 CD14와 Toll-like receptors의 역할 연구)

  • Yang, Seung-Min;Kim, Tae-li;Seol, Yang-Jo;Lee, Ya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3
    • /
    • pp.579-590
    • /
    • 2006
  • 1. 연구배경 교원질 분해작용을 하는 호중구의 세포질 효소인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은 치주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그리고 궤양결장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서 농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A. actinomycetemcomitans의 leukotoxin이 사람호중구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의 분비를 유도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천면역 체계에서 세포표면 항원무리14, Toll-like 수용기, 그리고 $NF-{\kappa}$ B경로를 통하여 A. actinomycetemcomitans의 지질다당질로 유도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의 분비 여부와 세포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재료 및 방법 건강한 개인 제공자(남자 13명, 여자 3명)로부터 얻은 개개인의 20ml 말초혈액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호중구를 추출한 후 항세포표면 항원무리14와 함께 $4^{\circ}C$에서 30분간 전배양 한 후, $37^{\circ}C$에서 9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추출한 호중구에 Toll-like 수용기 억제제 또는 $NF-{\kappa}$ B억제제인 TPCK를 첨가한 후 $37^{\circ}C$에서 1시간 동안 전배양하고 $37^{\circ}C$에서 9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호중구에 세포뼈대 억제제인 cholchicine, nocodazole, demecolcine, 그리고 cytochalasin B를 A. actinomycetemcomitans의 지질다당질과 함께 $37^{\circ}C$에서 9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 분비량은 효소면역측정법을 통해 결정하였다. 통계처리는 일원배치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였다(p<0.05). 3. 결과 A. actinomycetemcomitans 지질다당질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의 분비를 증가시켰다.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의 분비는 항세포표면 항원무리14에 의해서 억제되었지만, 항 Toll-like 수용기2, 항 Toll-like 수용기4 항체는 억제시키지 못했다. $NF-{\kappa}$ B 억제제는 A. actinomycetemcomitans의 지질다당질로 유도된 $NF-{\kappa}$ B 결합 활성도와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 분비를 억제하였다. 미세섬유 중합반응 억제제는 A. actinomycetemcomitans의 지질다당질로 유도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의 분비를 억제시켰으나, 미세관 중합반응억제제는 억제시키지 못했다. 4. 결론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8은 A. actinomycetemcomitans의 지질다당질로 유도되며, 세포표면 항원무리-$NF-{\kappa}$ B 경로를 통하여 분비되고, 이 분비 과정은 미세섬유 계통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