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pomis macrochiru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초

섬진강의 어류상 (Fish Fauna in the Seomjin River, Korea)

  • 박세권;주현수
    • 환경생물
    • /
    • 제33권3호
    • /
    • pp.314-329
    • /
    • 2015
  • 섬진강의 본류와 지류를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어류상을 연구한 결과, 총 13목 41과 81속 107종 37,751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어류 중에서 1차 담수어류는 57종 (53.3%), 2차 담수어류는 10종 (9.3%), 해산어류는 40종 (37.4%)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28.7%),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5.0%)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전체 21종 (31.3%)이 출현하였으며 보성강 수계에서 19종으로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급인 임실납자루 Acheilognathus somjinensis, II급인 다묵장어 Lampetra reissneri와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등 3종이었다. 외래종은 모두 3종으로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및 베스 Micropterus salmoides였다.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는 섬진강 수계에 이입되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호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 (The Ichthyofauna and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Miho Stream, Korea)

  • 손영목;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78
    • /
    • 2005
  •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미호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41종이었으며 이중 한반도 고유종 종은 12종 (29.3%) 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Micropterus salmoides 3종이었고 개체수 비교풍부도는 0.3% 이었다. 미호천 수계 어류상에서 우점종은 Zacco platypus로서 54.7%의 높은 우점율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조사 지점 에서도 우점하였다. 1982년에 비해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종풍부도는 낮았고 우점도 지수는 높았으며 Lampetra reissneri, Anguilla japonica, Acheilognathus macropterus, Coreoleuciscus splendidus, Pseudopungtungia nigra, Gobiobotia naktongensis, Lefua costata, Pseudobagrus koreanus, Monopterus albus, Iksookimia choii 등은 본 조사에서 출현하지 않았고 Carassius auratus, Rhodeus uyekii, Rhodeus notatus, Acheilognathus lanceolatus, Pseudogobio esocinus, Hemibarbus longirostri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utheri, Iksookimia koreensis, Pseudobagrus fulvidraco, Rhinogobius brunneus 등은 급격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증가 추세에 있는 대표적인 종은 Z. platypus, Pseudorasbora parva, Squalidus gracilis majimae 등이었다.

충주호의 어류상과 유입하천의 생태건강성 평가 (Fish Community and Stream Health Assessment in Lake Chungju and its Tributaries)

  • 최명재;박혜경;윤석환;이장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5-196
    • /
    • 2012
  • The fish community within the lake and 5 tributaries of Lake Chungju in spring and autumn, 2009 was surveyed. In this study, the total 128,506 individuals were collected belonging to 11 families 29 genera 34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that account for 91.6% of population and 49% of biomass of fish community. In the point of population, dominant species were small-sized species, which became the prey of big-sized predatory species. In the point of biomass, dominant species were predatory species which were large-sized.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lacustrine area was S. japonicus coreanus which accounted for 92.2% of total population and 49.1% of total biomass.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tributary streams was Tridentiger brevispinis which accounted for 66.4% of total population and 55.1% of total biomass. The site of C3 in lacustrine area and Dongdal-cheon in tributary streams collected the most number of species. Through ecological health evaluation of five tributary streams using 8 metric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model, two streams (Dongdal-cheon, Kwang-cheon were evaluated as, "B", "good" condition, and Jangsung-cheon obtained grade C indicating "Fair" condition, Jecheon-cheon obtained grade D indicating "Poor" condition based on IBI model. Lepomis macrochirus which was designated as a domestic ecosystem-disturbing alien species with wide food niche have shown tendency to increase the number of individuals since 1991 indicating the adverse effect on not only fish community but also aquatic ecosystem food web of Lake Chungju.

만경강의 담수어류 및 외래어종의 분포 (Study of Freshwater Fish Fauna and Distribution of Introduced Species of Mankyeong River, Korea)

  • 이완옥;김경환;김종화;홍관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8-209
    • /
    • 2008
  • 서해로 유입되는 만경강에 대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 총 14과 63종의 담수어류를 채집하였으며, 이중에 우점종은 Zacco platypus (27.7%)이었고, 아우점종은 Zacco koreanus(11.3%)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23종(36.5%)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야생동 식물에 속하는 종은 Pseudopungtungia nigra, Liobagrus obesus 등 2종이었다. 만경강의 지류별 우점종은 전주천은 Zacco koreanus, 고산천 소양천은 Zacco platypus, 삼천천은 Tridentiger brevispinis이었고, 만경강 본류는 Carassius auratus로 안정된 군집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도입된 외래종은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등 3종이 출현하였다. 이중 강한 육식성인 Micropterus salmoides는 분포지역이 확대되면서 중 하류의 정수지역에 널리 분포함에 따라 이곳에 주로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와 고유종을 비롯한 소형 어류의 개체수와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경상북도 포항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Ichthyofauna collected from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 유동재;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이진희;강경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63-370
    • /
    • 2008
  • The ichthyofauna of certain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were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7-19,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9,480 individuals (ind.) belonging to 22 species, 17 genera, 8 families and 4 orders were collected. Of these, 11 species were cyprinidae fish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relative abundance 47.14%). There were six Korean endemic species (289 ind., relative abundance 3.04%), including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mulimaculatus, Hemiculter eigenmanni, Iksookimia yongdokensis and Coreoperca herzi, and the dominant Korean endemic species was Pseudobagrus brevicorpus (relative abundance 3.04%) collected in Hoehakji, Cheonggyeji, Ahnsimji and Mabukji. There were five introduced species. Three species, including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fulvidraco and Hypomesus nipponensis, were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stream systems, and two species, including Carassius cuvieri and Lepomis macrochirus, originated in foreign countries. Of these, Lepomis macrochirus (l,521 ind., relative abundance 16.05%) was collected at the all reservoirs except at Gidongj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otic fishes in question have been widely dispersed within the reservoirs in Pohang-si.

하천 부유 쓰레기 상습 정체 구간의 수환경 및 생물다양성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to the Water Environmental and Biodiversity on the Constant Stagnation Zone by River Floating Debris)

  • 김흥민;박수호;장선웅;곽석남;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3-220
    • /
    • 2018
  • 하천부유쓰레기 관련 조사 및 정책은 수거나 처리비용에 초점이 맞춰져있으며, 부유쓰레기로 인한 수환경 오염에 대한 평가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낙동강 유역(금곡, 호포)의 부유쓰레기 집적구간에 대한 수환경 오염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질조사 결과 부유쓰레기 상습 정체 구간이 비정체 구간에 비해 낮은 DO 농도를 나타냈으며, COD와 Chl-a는 유사한 농도를 나타냈다. 상습 정체 구간에 약 3달간 부유 상태로 둔 포집조사 결과 절지동물문이 가장 많은 종(4종)이 출현하였으며, 깔따구류(Chironomidae sp.)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적 저하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유속이 느리고 정체된 수역에서 주로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이 출현하였다.

외래어류가 우리나라 하천생태계 어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떡붕어(Carassius cuvieri), 배스(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을 대상으로 (Impacts of Introduced Fishes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Lepomis macrochirus) on Stream Fish Communities in South Korea)

  • 이대성;이다영;지창우;곽인실;황순진;이혜진;박영석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41-254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하천 내 주요 외래어류 종인 떡붕어(Carassius cuvieri), 배스(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에 대한 국내 서식 환경을 확인하고, 어류 군집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당 외래어류종은 모두 어류 종수가 많고 종다양성이 높은 곳에 주로 서식하였다. 각 외래어류의 개체수가 증가할 때, 전체 어류의 출현 종수 및 개체수는 감소하여 어류 군집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생물 연결망을 구성한 결과, 하천 내 떡붕어는 쏘가리와 우리나라 고유종인 참갈겨니, 참중고기 등과, 배스와 블루길은 가물치 및 쏘가리와 고유종인 참중고기와 줄납자루 등과 낮은 출현 유사성을 보였다. 그리고 외래어류 3종 모두 각각의 연결망을 구성하는 다수의 어류들과 낮은 출현 유사성을 보여, 잠재적으로 외래어류에 의한 어류 군집 내 피해 및 교란이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하천생태계 내 유입된 지 50년 가까이 지난 외래어류 3종은 여전히 하천 내 어류 군집과 국내 고유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하천 내 외래어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요구된다. 차후 다양한 외래어류 및 하천생태계 내 생물분류군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수행된다면, 하천생태계 전반에 대한 외래어류의 영향 평가 및 구체적인 생물 자원관리 방안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팔당호 어류군집의 생태특성 및 장기 변동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Variation of Fish Community in Lake Paldang and its Tributaries)

  • 박혜경;이장호;최명재;윤석환;송호복;이규;윤석제;신경애;변명섭;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51-963
    • /
    • 2009
  • The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Lake Paldang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September 2008. During the survey period, 53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species wa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representing 81.8% of total number and 25.7% of total biomass of collected fish and subdominant species was Lepomis macrochirus representing 3.3% of total number and 18.9% of total biomass of collected fish. There were 20 Korean endemic species (38% of collected species number) including Cottus koreanus and 4 exotic species (7.5%) including Micropterus salmoides. The similarity analysis of fish communities among water areas of Lake Paldang using UPGMA showed that fish community of North-Han River was similar to that of South-Han River area and was different from that of Gyeongan River area. Long-term variation of fish community from 1972 to present study in Lake Paldang showed decrease of the species numbers after dam construction until 1994, and gradual increase from 1996 to present study indicating the disturbance of lentic system by dam construction in the 1980s. The increase of species number in the late 2000s may results in part from the increase of survey sites of successive studies. L. macrochirus which was designated as a domestic ecosystem-disturbing alien species with wide food niche have shown more than 20% of relative abundance since 1996 indicating the adverse effect on not only fish community but also aquatic ecosystem food web of Lake Paldang.

한강지류 경안천의 어류군집 특성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Gyeongan Stream,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Drainage System, Korea)

  • 최광식;한미숙;강동원;고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2-156
    • /
    • 2020
  • 한강지류 경안천의 어류 군집 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48개 지점에서 족대와 투망으로 채집된 어류는 11과 40종이었다. 우점종은 피라미(Zacco platypus, 48.0%),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17.7%), 그 다음으로 돌고기(Pungtungia herzi, 6.8%), 참갈겨니(Zacco koreanus, 5.0%), 붕어(Carassius auratus, 4.3%),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2.7%), 떡납줄갱이(Rhodeus notatus, 2.5%)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한국고유종은 14종(35.0%)이었고, 외래종은 배스(Micropterus salmoides),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이스라엘잉어(Cyprinus carpio Islaeli type) 3종, 육봉형 어류는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밀어(Rhinogobius brunneus), 둑중개(Cottus koreanus) 3종, 기후변화 민감종으로 둑중개 1종이 채집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는 최상류 지점들에서 높았고, 다양도와 풍부도는 상류지점이 낮고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군집구조는 크게 하천(최상류, 상류, 중·하류)과 호수로 구분되었다. 하천건강성은 좋음(23지점, 47.9%), 보통(15지점, 31.3%)의 비율이 높았다. 과거조사와 비교한 결과, 선행조사에서 출현하였으나 본 조사에서 출현하지 않은 종은 12종,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출현한 종은 9종이었으며,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된 배스와 블루길은 점차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춘천호와 안동호의 어류상과 군집 특성 (Ichthy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in Chuncheon and Andong Reservoirs)

  • 김진희;권준영;송준영;오윤경;김광석;허준욱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0-80
    • /
    • 2019
  • 수산자원보호구역인 춘천호와 안동호에서 어류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되었으며, 어류상을 파악하고 우점종 및 아우점종을 확인한 결과 춘천호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3과 34종 1,197개체였다. 채집된 어류 중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이 23.2%로 우점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17.4%로 아우점하였다. 안동호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9과 24종 1,393개체였다. 우점종은 블루길이 15.7%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붕어(Carassius carassius)가 15.2%로 아우점하였다. 두 조사지점의 종다양도는 과거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균등도는 안동호에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춘천호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인공호 모두 어류상 및 군집구조 측면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외래종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다양한 어종이 안정적으로 개체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산자원 종자 방류 및 인공산란장 설치 등과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