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gionella spp.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Pseudomonas aeruginosa KLP-2가 생산한 Pyocyanine의 항균활성 및 생리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yocyanine Produced by Pseudomonase aeruginosa KLP-2)

  • 박은희;이상준;차인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83-488
    • /
    • 2001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생물학적 제제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제제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Pseudomonas aeruginosa KLP-2가 생산하는 항균성 물질을 동정하고, 생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항균성 물질을 전제하여 FAB-MS로 확인한 결과 pyocyanine으로 동정되었으며, 진청색의 needles 성상을 나타내었고 chloroform, methanol, ethyl acetate와 같은 용매에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yocyanine의 UV spectrum은 methanol에서 최대 흡광치(318 nm)를 보였고, FAB-MS로 확인한 결과 m/z 211에서 protonated molecular ion(M+H)$^{+}$ 이 관찰되었으며, 분자식은 $C_{13}$H$_{10}$ N$_{2}$O로 확인되었다. Pyocyanine 은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 R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faecalis, E. coli. Kegionella peneumophila, Shigella flexneri, Shigela boydii, Shigella sonnei, NAG Vibro cholerae, Vibrio parahaemolyticus, Vibro vulnificus, Yersinia enterocolitica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등의 다양한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여 비교적 넓은 항균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Legionella pneumophila에 대하여 0.5$\mu$g의 pyocyanine을 함유한 disk가 48mm의 억제환을 타나내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 PDF

Phagocytosis-associated genes in Acanthamoeba castellanii feeding on Escherichia coli

  • Min-Jeong Kim;Eun-Kyung Moon;Hye-Jeong Jo;Fu-Shi Quan;Hyun-Hee K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97-404
    • /
    • 2023
  • Acanthamoeba species are free-living amoebae those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environment. They feed on various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fungi, and algae. Although majority of the microbes phagocytosed by Acanthamoeba spp. are digested, some pathogenic bacteria thrive within them. Here, we identified the roles of 3 phagocytosis-associated genes (ACA1_077100, ACA1_175060, and AFD36229.1) in A. castellanii. These 3 genes were upregulated after the ingestion of Escherichia coli. However, after the inges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the expression of these 3 genes was not altered after the consumption of L. pneumophila. Furthermore, A. castellanii transfected with small interfering RNS (siRNA) targeting the 3 phagocytosis-associated genes failed to digest phagocytized E. coli. Silencing of ACA1_077100 disabled phagosome formation in the E. coli-ingesting A. castellanii. Alternatively, silencing of ACA1_175060 enabled phagosome formation; however, phagolysosome formation was inhibited. Moreover, suppression of AFD36229.1 expression prevented E. coli digestion and consequently led to the rupturing of A. castellanii.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CA1_077100, ACA1_175060, and AFD36229.1 genes of Acanthamoeba played crucial roles not only in the formation of phagosome and phagolysosome but also in the digestion of E. coli.

한국인의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한 Moxifloxacin 400mg 1 일 1회 요법과 Clarithromycin 500mg 1일 2회 요법의 치료효과 및 안전성 비교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 Comparative Study for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Moxifloxacin 400 mg Once a Day and Clarithromycin 500 mg Twice Daily in Korean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Bronchitis)

  • 김승준;김석찬;이숙영;윤형규;김태연;김영균;송정섭;박성학;김호중;정만표;서지영;권오정;이신형;강경호;이이형;황성철;한명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40-751
    • /
    • 2000
  • 연구배경 : Moxifloxacin은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한 뛰어난 효과, 안전한profile과 유리한 약물동력을 바탕으로 기존의 fluoroquinolones보다 한단계 진보된 약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베타-락탐계 혹은 기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들에 대해 매우 유효하다. Moxifloxacin은 특히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Chlamydia pneumoniae, Legionella spp. 그리고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기 감염에 특히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 다기관, 무작위, 공개, 비교시험으로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 투여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7일 투여 그룹간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170명의 환자 중에서 87명이 moxifloxacin 투여군 이었고 83명이 clarithromycin 투여군이었다. Moxifloxacin 투여군종에서 76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5명), clarithromycin 투여군중에서 77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1명)이 치료효과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임상적 성공율은 Moxifloxacin 투여군 76명중에서 70명(92.1%) 이었고 clarithromycin 투여군 77명중에서 71명(92.2%) 으로 유사하였다. 세균학적 Moxifloxacin 투여군이 73.5%, clarithromycin 투여군이 54.8% 으로 Moxifloxacin 투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8). 내원시 시행한 객담의 세균 감수성 검사에서 moxifloxacin 투여군이 clarithromycin 투여군보다 Streptococcus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p<0.001). 이상반응은 moxifloxacin 투여군 86명중에서 12.8% 에서 나타났고, clarithromycin 투여군 83명중에서 21.7%에서 발생하였다. 두통(4.7% vs 4.8%, 각각 moxifloxacin 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과 소화불량(2.3% vs 6.0%, 각각 moxifloxacin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 이 두 군에서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이었다. 결론 : 본 임상시혐의 결과,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간 요법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요법과 비교할 때 임상적으로 동등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미생물학적으로 우월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