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ft to right ratio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2초

편측부전마비환자의 하지에서의 위약증상의 분포 (Distribution of Weakness at the Lower Extremity of Hemiparesis Patients)

  • 박건주;하정상;김욱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01-110
    • /
    • 1997
  • 뇌졸중으로 인한 상부운동뉴런의 장애로 편측부전마비가 있는 환자의 하지에서 등속성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최대우력치를 구하고 정상대조군과 환자의 건측과 환측을 비교하여 환측에서의 위약증상의 분포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정상대조군의 최대우력치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우성측과 비우성측간에는 최대우력치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각속도가 빠를수록 최대우력은 감소하였다. 정상대조군에서 굴근에 대한 신근의 근력비는 성별, 우성측과 비우성측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각속도가 빠를수록 근력비는 증가하였다. 환자의 건측에서 최대우력치는 대부분 수치의 감소만 있을 뿐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의 소견은 없었고 굴근에 대한 신근의 근력비는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고 환측은 남자의 $180^{\circ}/sec$의 각속도에서 신근의 최대우력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감소(P<0.01)를 보였고 굴근에 대한 신근의 근력비는 환자의 환측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상으로 상부운동신경의 장애로 인한 편측부 전마비환자의 하지에서는 굴근이 신근보다 더욱 뚜렷한 최대우력치의 감소를 보였으며 편측 부전마비 환자의 재활치료목표의 설정이나 효과판정에 있어서 최대우력치와 함께 굴근과 신근의 근력비를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근근막 동통증후군과 전침(Electric Acupuncture)치료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lectric Acupuncture Therapy on Myofascial Pain Syndrome)

  • 정문봉;이상한;민봉기;윤미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97-903
    • /
    • 1999
  • Many out patients of the rehabilitation center complaint a pain caused by suffering of MPS, and it brings many different kind of social and ecinomical problems such as medical expenses and the reduction in work efficiency. Therefore, we conducted a research to present a fast and effective treatment to the MPS patien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996 to January 1998 with eighteen outpatients who agreed to be the subjects to our reserach. We applied the electric acupuncture on 28 different trigger point on the patients with mostly muscular-skeletal pain and some tender and radiating pain. After the treatment, VRS, VAS, PRI were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pain on the patients third and seventh visits, and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To apply EAP treatment, we acupunctured 6em-Iong needles on Tps region, then the electrodes of pulse generater pg-306 E.S.T were connected on the top of the needles. the electric acupuncture therapy was conducted for 20 minutes with the intensity of 4hz - 60hz(auto wave). The treated electric intensity was the level at which the patients did not feel discomfort. 2. Thirteen out of the 18 participated patients were in their 30s and 40s(72.2%), showing highest frequency. There were more female than male with the ratio of 1 to 1:2. 3. six out of the participated patients (33.3%) had the pain for less then a week, and the average duration of the pain of the participated patients wear 0.8 years. 4. The pain occured mostly in the upper trapezius by 6 part (21.4%), then in the gluteus medius region by 4 part (14.3%). Many of the patients with the pain in the upper back area accompanied varios kind of the referred pains such as radiculopathy, HIVD and Frozen shoulder. 5. MPS occured more frequently on the right side than left side then left side and it seemed to be due to the frequent use of the right hand. 6.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of the intensity of the pain right before and after the EAP treatment. Howerver,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VAS, and a little bit of decrease i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PRI after the EAP treatment. 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resent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EAP can be used for the treating the myofascial pain syndrome with promptness and safety in most cases.

  • PDF

관동맥우회로술 후에 심근 SPECT에 나타난 관류의 악화 분석 (Analysis of Aggravated Perfusion in Myocardial SPECT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이원우;윤석남;김기봉;정준기;이명철;고창순;이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42
    • /
    • 1997
  • 관동맥우회로술을 실시하고 심근 SPECT를 수술전과 수술 후 3개월에 실시한 44명의 환자(남:여=25:19, 나이 $57.1세{\pm}8.2$)를 대상으로 악화된 심근 관류를 분절과 관상동맥영역의 수준에서 분석하였을 때 분절의 수준에서는 LCx영역에 있는 분절들이 유의하게 악화되었으나[odds ratio=2.54 (95% 신뢰구간. 1.53-4.22, p<0.01)] 영역의 수준에서는 LCx가 관류악화의 위험 인자는 아니었다. 혈관이식편의 종류와 관상동맥성형술 여부도 심근 관류 악화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결과로 aortic cross clamp time이나 심폐우회시간, 원래 mid-LAD의 직경 등 알려진 수술전후 심근경색의 위험 인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종합하여 심근 SPECT의 관류 악화를 평가하여야 하며 이 연구는 수술전후 심근경색을 연구하는 기본적인 데이터로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 PDF

자성 망간 추적자를 이용한 in Vivo 시신경경로 추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n Vivo Visual Pathway Tracing using Magnetic Magnanese Tracer)

  • 배성진;장용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42-47
    • /
    • 2007
  • 목적: 망간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시신경경로의 활성화를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뉴질랜드 암컷 흰색 토끼의 망막에 $30{\mu}l$$MnSl_2(1mol)$ 용액을 주입한 후 고성능 경사자계 시스템이 장착된 임상용 1.5 기기에서 3D FSPGR 펄스열을 사용하여 고해상도 T1-강조영상을 망간 주입 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획득한 후 시신경경로의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에서의 조영증강을 관찰하였다. 또한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해부학적 위치에 동일한 원형의 관심영역을 정하여 신호강도를 측정 한 후 배경 잡음의 신호강도와의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구하였다. 결과: 망간 주입 후 시신경 경로상의 주요 구조물들이 조영증강 되었다 조영 증강된 주요 구조물로는 오른쪽 시신경(optic nerve), 시각교차(optic chiasm), 왼쪽 시신경 경로(optic tract), 왼쪽 가쪽 무릎핵(lateral geniculate nucleus), 왼쪽 상구(superior colliculus) 등 오른쪽 망막의 대측(contralateral) 시신경 경로상의 구조물이었으며 동측(ipsilateral) 시신경 경로는 조영증강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시신경계의 말단부위인 망막에 $MnCl_2$를 주입한 후 시신경계의 축삭을 통한 망간이온의 전파를 비침습적으로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망간이온의 전파는 전압 개폐성 칼슘채널을 통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망막에 직접 주입하는 경우 전압 개폐성 칼슘채널의 빠른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기성복 남자 바지 패턴 그레이딩에 관한 연구 -35-55세를 중심으로- (A Study on Grading Practices of Men's Pants in Apparel Industry)

  • 윤미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34-942
    • /
    • 201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conventional grading increments and methods for middle-age men's pants, and to suggest new grading guidelines that will enable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size and silhouette as a result of combining the concept of grading, which help maintain the ratio and proportion by sizes as one of ready-made apparel's advantages, with body form oriented and aesthetic approaches. In the apparel industry, the current sizing specifications and methods adopted by relevant compani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body forms of men aged 35 to 55 yea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o find out problems and ultimately to suggest their solutions or improvements. It was considered that as the conventional grading practices used in the industry were customary on the basis of the past experiences, it was required to take the body forms of target consumers into account and also, to reconsider the conventional grading methods. Analyses of sizing and specifications by brands show that 4 to 19 sizes including 82 or 84 as standard size have been produced. Since men's apparel has a large number of sizes with the large range of sizes, grading is critically important. As silhouettes depend on the distribution of grading rule values at each point of increment pattern in the main regions during grad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size grading and form variations. To maintain an appropriate silhouette with keeping the angle of center back line of a pattern, it is desirable to set the ratio of side line part to center part from the crease line to approximately 3:7. It is required to diversify the values of grading rules according to different sizes and pattern regions in consideration for the body forms of key consumers. In addition, if the natural lines of designs and patterns for the width increments of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the increments of hip width in pant's front and back panels, the ratio of grading rule values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crease line, knee circumference, thigh circumference and so on are taken into account, grading will be satisfactory in the all aspects of size, silhouette and ratio.

중추 청각 처리 기능 평가에서 hearing in noise test의 임상적 유용성과 개선점 고찰 (A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and improvement of hearing in noise test in evaluating central auditory processing)

  • 한수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8-113
    • /
    • 2022
  • 소음상황에서의 어음 이해 능력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Hearing In Noise Test(HINT) 도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 유용한 도구가 초기의 기대와 달리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상 청력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양이에서 들어오는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특히 배경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 듣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하지만, 어음이해에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노인 인구들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도구들이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사법이 근거하고 있는 기전에 있는 인지적 특성과 임상에서의 문제점을 분 석하여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본 임상 사례로 정상 청력을 가진 20대와 70대의 대표적 HINT점수를 비교하고, 소음이 어떤 조건에서 제시되는가에 따른 문장 인지 특징을 조명하였다. 대상자의 HINT score는 Quiet(Q), Noise Front(NF), Noise Right(NR), Noise Left(NF)조건에서 분석되었다. 여러 임상적 관점에서 유용한 점은 배경 소음이 있을 때 노인의 경우 청년보다 더 많은 신호대잡음비를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량적 변수를 보여주고, 양이차폐감소차이(Binaural Masking Level Difference, BMLD)효과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효과적 임상적 적용에는 세부 연령대별 비교 가능한 표준 자료가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유용성 확인과 함께 임상 관련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흰쥐에서 폐정맥 폐쇄에 의해 유도된 폐동맥고혈압 발생 후의 폐장의 변화 (Changes in the Lung after Pulmonary Hypertension Induced by Obstruction of the Pulmonary Vein in Rats)

  • 장원채;정인석;조규성;오봉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9호
    • /
    • pp.659-667
    • /
    • 2006
  • 배경: 저산소증, 공기색전증, monocrotaline 약물 주입 등에 의해 혈관 내막의 손상을 일으켜 폐동맥내세포외간질 단백질 합성을 활성화시키고 혈관의 중막비후나 신생내막의 형성을 일으키는 혈관개조(vascular remodeling) 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정맥을 폐쇄시킨 후 변화된 혈류에 의해 폐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352{\pm}18g$의 흰쥐(n=10)를 이용하여 ketamine 근육내 주사로 마취하여 정중흉골절개술을 시행하고 심장을 노출시킨 후 우측 폐정맥을 크립을 이용하여 폐쇄하였으며, 15일 후 폐동맥압, 좌심실과 심실중격 대비 우심실 무게비(RV/LV+Sweight ratio), 말초 폐동맥의 외측지름대비 벽두께비(percent wall thickness (%WT)) 등을 측정하여 대조군(n=5)과 비교하였다. 결과: 폐정맥 폐쇄군의 폐동맥압은 38{\pm}12 mmHg로 대조군의 $13{\pm}4mmHg$에 비해 의의 있게 증가되었다(p<0.05). 좌심실과 심실중격 대비 우심실 무게비는 대조군의 $0.35{\pm}0.04$에 비해 $0.52{\pm}0.0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우심실 비대 소견을 보였고(p<0.05), 말초 폐동맥의 외측지름대비 벽두께비는 폐쇄군이 $22.4{\pm}6.7%$로 대조군의 $6.7{\pm}3.4%$에 비해 증가되었다(p<0.05). 결론: 한쪽 폐의 폐정맥 폐쇄는 폐동맥고혈압, 우심실 비대, 말초 폐동맥의 중막 비후 소견을 유도하였다. 이는 폐동맥 혈관개조의 병리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측 폐정맥을 폐쇄하는 경우 반대측 폐장의 폐혈류량 증가뿐만 아니라 혈관개조를 유발하는 내막의 손상을 동반함을 알 수 있었다.

농흉의 임상적 고찰64례 보고 (Clinical Study of Empyema Thoracis: a review of 64 cases)

  • 장정수;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4호
    • /
    • pp.403-410
    • /
    • 1979
  • A Clinical analysis of 64 patients of thoracic empyema was done who received surgical intervention at Dept. of Thoracic Surgery of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in the period of 3 years from September 1976 to October 1979. Following was the results: 1. Seven cases [10.9%] were under the age of 15 years, 16 cases [25%] was between 15-30 years and 41 cases [64.1%] was above the age of 30 years. A proportion of children and adult was 1:8. 2. Male and female ratio was 3:1. Right and left side pleural cavity ratio was 2.4:1. 3. Predisposing factors were pneumonia [35.9%] and pulmonary tuberculosis [28.1%]. 4.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ymptoms were dyspnea, cough, chest pain and fever in order. 5. Etiologic organisms were confirmed in 39 cases [86.7%] which requested in 45 cases. Staphylococcal infections were 11 cases and streptococcal, pneumococcal pseudomonas infection was infected in order. 6. Pneumothorax was associated with empyema on 21 cases [32.8%]; among those 13 cases [61.9%] were tuberculous in nature. 7. Sensitivity test was revealed that Minocin was most very sensitive drug, and next Erythromycin, Gentamycin and Penbrex in order. But most resistant drugs were Penicillin, Kanamycin, Streptomycin and Tetracycline in order. 8. Treatments were combined with antibiotics therapy and several surgical procedures for empyema. 26 cases [40.6%] were treated with closed thoracotomy drainage, 17 cases [26.6%] with open thoracotomy tube drainage and 9 cases decortication and 9 cases thoracoplasty. 9. 2 death cases occurred in 64 cases of thoracic empyema, and 79.7% cases were discharged with recovery and improvement.

  • PDF

난치성 간질환자에서 간질관련요인이 발작간 정신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izure-Related Variables on Interictal Psychiatric Symptoms in the Intractable Epileptic Patients)

  • 김종훈;한우상;이상건;류인균;하규섭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205-213
    • /
    • 199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ictal psychiatric symptoms and seizure-related variables such as structural changes, regional interictal perfusion changes, the number of interictal epileptic discharges and the presence of accompanying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GTC). The subjects were 75 patients (47 males : mean age $28.3{\pm}7.7$) with intractable epilepsy, Interictal psychiatric symptoms were rated by Symptom Checklist-90-R(SCL-90-R). Each of 4 seizure variables was measured by MRI, $^{99m}TC-HMPAO$ SPECT and the prolonged EEG monitoring. The mean SCL-90-R subscale T-scores and the ratio of the patients with definite psychiatric symptoms(T-score > 65 at any one subscale of SCL-90-R)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with different seizure variables. Demographic variables and clinical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with different seizure variables. The patients with right mesial temporal sclerosis had higher mean SCL-90-R scores for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and psychotic symptoms than the patients with left mesial temporal sclerosis, and they also showed higher ratio of definite psychiatric symptoms. The presence of interictal epileptic discharges was related with higher T-scores of paranoid subscale. The areas of hypoperfusion, the presence of the GTC, and other clinical seizure 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mean SCL-90-R subscale T-scores.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speculated that interictal subictal epileptic dischrages may be related with psychiatric symptoms of the intractable epileptic patients, especially with right mesial temporal sclerosis.

  • PDF

심실중격결손 봉합이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ple VSD Repair on Doppler-Derived Right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

  • 정태은;이영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24-129
    • /
    • 1999
  • 배경: 심실 중격 결손으로 인한 좌우 단락은 폐정맥 환류의 증가로 인한 좌심방 및 좌심실의 비대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폐동맥압이나 폐혈관 저항을 증가 시키므로 우심실의 후부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폐동맥 고혈압을 추정하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의 변화를 추적하여 우심실 부하의 변화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심실 중격 결손 환아의 술 후 관리 지침에 반영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다른 심기형이나 증후군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형 심실중격결손으로 진단받고, 봉합술을 전후하여 어떠한 전신 질환이나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12명을 대상으로, M-mode 및Doppler 심초음파도를 이용하여 봉합술 전, 술후 3개월 그리고 술후 6개월에서 1년 사이(평균9.5$\pm$1.8개월)의 심박수, 좌심방/대동맥 내경비(LA/Ao), 우심실 박출 전기(right ventricular pre-ejection period : RVPEP)와 우심실 박출 기간(right ventricular ejection time : RVET)을 구하여 그 비(RVPEP/RVET)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결과:심박수는 술후 실시한 두 차례의 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137.1$\pm$13.7 vs 114.4$\pm$21.1 and 104.1$\pm$10.2, p<0.01). 좌심방/대동맥 내경비는 술후 실시한 두 차례의 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1.71$\pm$0.32 vs 1.47$\pm$0.33 and 1.390.23, p<0.05). RVPEP/RVET는 술후 두 차례의 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0.38$\pm$0.09 vs 0.32$\pm$0.08 and 0.29$\pm$0.09, p<0.01) 각각을 심박수로 교정한 RVPEP/RVET는 술후 3개월에는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술후 6개월에서 1년 사이에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0.32$\pm$0.03 vs 0.30$\pm$0.05 and 0.28$\pm$0.06, p<0.05). 결론: 심실중격결손으로 인한 좌우 단락은 폐동맥압의 증가를 유발하여 우심실의 후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의 변화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심실의 과부하 상태가 수술적 교정 직후부터 정상으로 회복되기 시작하나, 단순형 심실중격결손이라 할지라도 술후 6개월 이상까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