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e Syngma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이승만 대통령의 전쟁지도 (President Syngman Rhee and the Conduct of the Korean War)

  • 김행복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1호
    • /
    • pp.35-70
    • /
    • 2003
  • President Lee, Syngman was ROK supreme commander at the Korean war. But, it is doubt that he executed his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by the ROK constitution and law. At the phase of the Korean War conduct, his role may be divided into 'military operation execution one' and 'political-diplomacy one'. He appointed unqualified person to the important position of the national defence, didn't make war execution system, and was not make to meet the war. And, after transferring the ROK force operation commanding authority to the Commander in Chief, UN Command, his role was extremely trivial at the military operation execution phase. Any way, he intended to recover the inferior national strength and military capacity with USA aid, and concentrated his effort toward diplomacy with USA. At last, he succeeded in making a mutual defence treaty and gained a big result to harden Korea national security after war. In sum, president Lee was shrewd politician and diplomat than military leader.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he supplemented the lost part of military affairs side with diplomat one.

  • PDF

영어신문의 외교사적 역할: 코리언 리퍼블릭 (1953.8.15~1954.8.14)의 사설을 중심으로 (Korean English-language Newspapers as Tool of Public Diplomacy: Case Study of Editorials of Korean Republic)

  • 이선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6권
    • /
    • pp.219-236
    • /
    • 2011
  • 한국에서는 19세기 말부터 영어 신문들이 창간되었다. 한국의 소식과 국제 문제에 대한 한국의 의견을 외국인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다. 그 중 하나인 코리언 리퍼블릭(코리아 헤럴드 전신)은 1953년 8월 15일에 만들어져, 한국 외교 정책의 도구로 쓰였다. 당시 한국 전쟁 휴전협정이 조인되면서, 국제 정세는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이러한 외교 무대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의 입장을 이 신문에 강력히 반영했다. 이는 오늘날 친숙한 미디어 외교 이론이 나오기 전에 이미 미디어를 통해 중요한 외교 안건이 다뤄졌음을 시사한다. 이 논문은 국제무대에서 논의되는 한국 문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한 영어 미디어에 대한 연구다. 창간 이후 1년간의 사설을 분석한 결과, 코리언 리퍼블릭은 한국이 북진 통일을 목표로 미국으로부터 최대한의 군사 및 경제 원조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영어 신문은 한반도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지향했으며, 재무장을 통한 일본의 팽창주의를 경계했다. 무엇보다 독도문제 등에 있어서, 한반도 수역에 관한 한국의 주권을 강조했다. 다자간 외교에 관해서는 당시 사회주의 입장이 우세한 국제여론이 전후 한반도 문제를 처리하던 정치회담에 반영되는 것을 우려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