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contents

검색결과 4,231건 처리시간 0.027초

콘텐츠 조직화를 통한 e러닝 학습환경 최적화에 관한 연구 (Exploring Optimal e-Learning Environment : The Role of Contents Organizing in e-Learning)

  • 박찬욱;강인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5-128
    • /
    • 2010
  • The dramatic increase in e-Learning enrollments in higher education is likely to continue. These e-Learning environments have made learning much more convenient by stretching the spatial and temporal barriers. Their effectiveness, however, remains to be examined. In this research, the author explore the importance of personalization, interactivity and the important role of contents organizing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Furthermore, the authors divide e-learning outcome into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outcome. Indeed, e-Learning for psychomotor outcome has been viewed as impossible. The authors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heory and practice.

  • PDF

How E-learning Business for Teens Has Evolved in Korea: The Case of MegaStudy

  • Kim, Ji-Whan;Kim, Seong-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1호
    • /
    • pp.10-15
    • /
    • 2012
  • Since MegaStudy started e-learning business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e-learning industry began to expand and steadily gain atten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learning business for teens and the growth of MegaStudy. The three institutional mechanisms were us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ided the development of the business. The regulatory mechanism was the government policy to prevent the expansion of the offline private education sector, which greatly aided the growth of the e-learning business. The mimetic mechanism was the notion to mimic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business initiatives. The normative mechanism involved the widespread social norm suggesting that every student should be given an equal opportunity of private education.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case of MegaStudy as a successful case of the e-learning companies. It analyzed the business model of MegaStudy, which is based on its advantage as the front-runner and its high-quality contents and services.

A Study on Platform Development for Web 2.0-based e-Learning

  • Yang, Je-Min;Park, Jae-Ch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1호
    • /
    • pp.1-8
    • /
    • 2009
  • The new paradigm called the web 2.0 recently appeared in the web environment. We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effects which may be brought about by application of the web 2.0 to e-learning; we think that it can improve problem solving skills of learners and reinforce their creativity. But until now, e-learning model, which understood the web 2.0 concept completely, has been never developed. In this context, we propose the web 2.0-based e-learning platform which induces all the courses for education such as the selection of topic, preparation of lecture schedule and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to be decided by participants. We believe that this platform can replace or supplement the e-learning of web 1.0 age, and realize the positive effects.

VR 기반 산업안전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VR-based Industrial Safety Education)

  • 정종원;정기효;정재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3-3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VR-based industrial safety educa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study, three types of safety learning contents(VR-based learning, rule-based learning, and case-based learning)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 three college students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VR-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sustaining learning outcomes compared to other two conventional contents groups. In addition, participants perceived VR-based safety learning is attractive that facilitates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usefulness.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라인 대학에서 오프강의 병행에 대한 효과- (A study on how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 influence learning attitudes: Effectiveness of conducting off-line lectures at a Cyber University)

  • 이진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3-377
    • /
    • 2009
  • 본 연구는 학습자의 효과적 학습을 위해 온라인 상 콘텐츠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와 오프 강의가 콘텐츠 품질을 인식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다속성 태도모델(multiattribute attitude model)의 속성만족도-중요도 모델(attribute satisfaction-importance model)을 중심으로 온라인 학습에 있어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오프 강의를 병행했을 때의 학습태도(learning attitude) 형성의 변화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콘텐츠 만족도에 대한 신념(belief)은 콘텐츠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로 음성강의, 동영상강의, WBI방식 강의로 나누어 평가한다. 여기에 웹상의 강의와 오프강의를 병행했을 때 형성되는 학습태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

  • PDF

u-러닝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 방안 (Method of Developing Contents for U-Learning)

  • 안성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3-6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u-러닝을 위한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u-러닝 콘텐츠 개발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특징과 u-러닝의 성격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5개 부문 17개 항목의 u-러닝 콘텐츠 개발 지침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개발 지침의 내용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분야의 전문가 및 실무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u-러닝 콘텐츠 개발 지침은 내용 타당성과 신뢰성을 모두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발 지침은 곧 확산될 u-러닝을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의 이정표가 되어 준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미래의 기술 발달을 예견하고 이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미리 제시함으로써 기술 발달과 변화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콘텐츠 제작에 기여한 것이다.

  • PDF

온라인 학습에서 콘텐츠의 제시유형과 제시수준, 메타인지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tents presentation types, levels and metacognition on concept map in online learning)

  • 이성주;전희정;나재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1-81
    • /
    • 2013
  •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콘텐츠의 제시유형과 제시수준, 그리고 학습자의 메타인지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시유형과 제시수준, 그리고 학습자의 메타인지에 따른 개념도 형성과 학습 과정을 살펴보았다.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제시유형은 의미중심형과 맥락중심형으로, 제시수준은 기본형과 결핍형으로 구분하여 제공하였고, 학습자의 메타인지는 검사결과에 따라 상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콘텐츠의 제시유형에서 의미중심형(M=45.00, SE=1.97)이 맥락중심형(M=34.71, SE=1.98)보다 더 높은 개념도 형성을 보였다. 콘텐츠의 제시수준별 집단간(F=.002, p>.05), 메타인지 상하 집단간에는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제시수준과 메타인지 사이에 상호작용(F=6.225, p<.05) 효과가 있어 메타인지 상집단은 결핍형에서, 하집단은 기본형에서 보다 높은 개념도 형성을 보였다. 또한 온라인 학습 과정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메타인지가 콘텐츠의 결점과 결핍을 보완하여 학습을 실행하게 하는 중요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융합시대의 이러닝 콘텐츠 개발대가 산정기준의 실효성 제고 정책 (A Study on Policy for Actualizing the Development Cost Estimation Guidelines of e-Learning Contents in Era of Convergence)

  • 노규성;한태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9-56
    • /
    • 2015
  • 최근 정부는 이러닝 콘텐츠 개발의 대가 기준에 대한 조사를 기반으로 명확한 대가 기준을 수립하고 이러닝 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 대가 산정 가이드라인(기준)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제도적인 뒷받침이 없으면 제도가 취지와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사문서화될 소지를 안고 있어 정책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가기준 활용 활성화를 위해 이론적 배경 정리와 분석을 통해 대가기준의 단계적 적용 활성화, 대가기준의 제정 고시 및 정기적 조정, 대가기준운영위원회 운영, 이러닝산업 실태조사와의 연계성, 저작권 공동 소유 문화 확산, 개발과정의 체계적인 모니터링, 대가기준 적용 활성화 정책 연구, 표준계약서와 연동을 통한 정책 실효성 제고 등의 정책을 제언하게 되었다.

외국인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및 e-Learning 요구분석 (Needs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e-Learning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 이수경;변숙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33-240
    • /
    • 2011
  • 본 연구는 외국인근로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하여,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사전교육, 사후 지원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외국인근로자 교육훈련 방법론으로 e-Learning의 도입 및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총 1,872명의 외국인 근로자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 내용은 첫째, 사전교육의 운영 실태, 문제점, 개선사항, 둘째, 사후지원 측면에서 직장 배치 후 교육 참여 의사와 애로사항, 셋째, e-Learning에 대한 선호도, 요구 등이었다. 연구결과, 사전교육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제시되었으며, 사후지원에서 외국인근로자들은 직장생활을 하면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높은 의지를 가지고 있으나, 시간 부족, 이동 등의 문제를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이들은 e-Learning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요구를 보였다. 이에 작업장 이탈의 어려움을 해소시키고 상이한 교육 조건 및 수준에 따른 맞춤식의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e-Learning의 가능성과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이러닝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학습자 수강동기, 인식, 학습행태 조사연구 (Distance E-learners' Motivation, Perception, and Learning Behaviour in Vocational Training Environment)

  • 이수경;박연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9-508
    • /
    • 2017
  • 정보통신기술 및 교육패러다임 변화와 맞물려 이러닝을 활용한 직업교육훈련은 그동안 몇 차례 굵직한 변화를 겪어 왔다. 이러닝을 통한 직업능력개발의 트렌드는 학습의 모바일화, 짧은 콘텐츠의 증가, 학습경험제공의 민첩성과 현장 밀착성으로 요약 가능한 가운데, 본 연구는 이러닝을 통한 직업교육훈련 대상자들의 학습동기, 교육구성요소에 대한 중요성 인식, 학습 행태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6개 훈련기관의 4,021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응답을 분석한 결과, 자발적 자기계발 차원의 학습이 회사의 직무교육차원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러닝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학습내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형식에 치우진 교육콘텐츠 개발이나 훈련평가가 보다 내용 중심적으로 변화해야함을 시사하였다. 학습 행태측면에서도 학습장소와 시간 활용이 보다 융통적으로 변화하였고, 시간을 정해놓지 않고 틈틈이 불규칙적으로, 특정시점에 몰아서 학습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